• Title/Summary/Keyword: 얼굴감정 표현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ynamic Facial Expression of Fuzzy Modeling Using Probability of Emotion (감정확률을 이용한 동적 얼굴표정의 퍼지 모델링)

  • Gang, Hyo-Seok;Baek, Jae-Ho;Kim, Eun-Tae;Park, M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401-404
    • /
    • 2007
  • 본 논문은 거울 투영을 이용하여 2D의 감정인식 데이터베이스를 3D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감정 확률을 이용하여 퍼지 모델링을 기반으로한 얼굴표정을 생성하고, 표정을 움직이는 3가지 기본 움직임에 대한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얼굴표현함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거울 투영을 통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2D에서 사용되는 감정인식에 대한 특징벡터를 3D에 적용한다. 이로 인해, 2D의 모델링 대상이 되는 실제 모델의 기본감정에 대한 비선형적인 얼굴표정을 퍼지를 기반으로 모델링한다. 그리고 얼굴표정을 표현하는데 기본 감정 6가지인 행복, 슬픔, 혐오, 화남, 놀람, 무서움으로 표현되며 기본 감정의 확률에 대해서 각 감정의 평균값을 사용하고, 6가지 감정 확률을 이용하여 동적 얼굴표정을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을 3D 인간형 아바타에 적용하여 실제 모델의 표정 벡터와 비교 분석한다.

  • PDF

Face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ICA-Factorial Representation (ICA-Factorial 표현을 이용한 얼굴감정인식)

  • 한수정;고현주;곽근창;전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29-33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Factorial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감정인식을 수행한다. 얼굴감정인식은 두 단계인 특징추출과 인식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특징추출방법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얼굴영상의 고차원 공간을 저차원 특징공간으로 변환한 후 ICA-factorial 표현방법을 통해 좀 더 효과적으로 특징벡터를 추출한다. 인식단계는 최소거리 분류방법인 유클리디안 거리를 이용하여 얼굴감정을 인식한다. 이 방법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6개의 기본감정(행복, 슬픔, 화남, 놀람, 공포, 혐오)에 대해 얼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존의 방법인 Eigenfaces, Fishefaces와 비교하여 좋은 인식성능을 보이고자 한다.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ICA-Factorial Representation Method (ICA-factorial 표현법을 이용한 얼굴감정인식)

  • Han, Su-Jeong;Kwak, Keun-Chang;Go, Hyoun-Joo;Kim, Sung-Suk;Chun, M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3 no.3
    • /
    • pp.371-37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s using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factorial representation metho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consists of two stages. First, a method of Feature extraction transforms the high dimensional face space into a low dimensional feature space using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n, the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by using ICA-factorial representation method. The second recognition stage is performed by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based KNN(K-Nearest Neighbor) algorithm. We constructed the facial expression database for six basic expressions(happiness, sadness, angry, surprise, fear, dislike) and obtained a better performance than previous works.

An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Method using Facial Image and Speech Signal (음성 신호와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인식 몇 표현 기법)

  • Ju, Jong-Tae;Mun, Byeong-Hyeon;Seo, Sang-Uk;Jang, In-Hun;Sim, Gwi-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333-3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식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음성신호와 얼굴영상을 가지고 4개의(기쁨, 슬픔, 화남, 놀람) 감정으로 인식하고 각각 얻어진 감정인식 결과를 Multi modal 기법을 이용해서 이들의 감정을 융합한다. 이를 위해 얼굴영상을 이용한 감정인식에서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법을 이용해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음성신호는 언어적 특성을 배재한 acoustic feature를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이 추출된 특징들을 각각 신경망에 적용시켜 감정별로 패턴을 분류하였고, 인식된 결과는 감정표현 시스템에 작용하여 감정을 표현하였다.

  • PDF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using Facial Expression (얼굴표정을 이용한 감정인식 및 표현 기법)

  • Ju, Jong-Tae;Park, Gyeong-Jin;Go, Gwang-Eun;Yang, Hyeon-Chang;Sim, Gwi-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95-2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얼굴표정을 통해 4개의 기본감정(기쁨, 슬픔, 화남, 놀람)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감정표현 시스템을 구현한다. 먼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법을 이용하여 고차원의 영상 특징 데이터를 저차원 특징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선형 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법에 적용시켜 좀 더 효율적인 특징벡터를 추출한 다음 감정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얼굴 표현 시스템에 적용시켜 감정을 표현한다.

  • PDF

Development of Vision based Emotion Recognition Robot (비전 기반의 감정인식 로봇 개발)

  • Park, Sang-Sung;Kim, Jung-Nyun;An, Dong-Kyu;Kim, Jae-Yeon;Jang,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670-672
    • /
    • 2005
  • 본 논문은 비전을 기반으로 한 감정인식 로봇에 관한 논문이다. 피부스킨칼라와 얼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한 얼굴검출과 감정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개발한 로봇 시스템을 설명한다. 얼굴 검출은 RGB 칼라 공간을 CIElab칼라 공간으로 변환하여, 피부스킨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Face Filter로 얼굴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통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기하학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눈, 코, 입의 위치를 판별하여 표정 인식의 기본 데이터로 활용한다. 눈썹과 입의 영역에 감정 인식 윈도우를 적용하여, 윈도우 내에서의 픽셀값의 변화와 크기의 변화로 감정인식의 특징 칼을 추출한다. 추출된 값은 실험에 의해서 미리 구해진 샘플과 비교를 통해 강정을 표현하고, 표현된 감정은 Serial Communication을 통하여 로봇에 전달되고, 감정 데이터를 받은 얼굴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를 통해 표정을 표현한다.

  • PDF

Impact Analysis of nonverbal multimodals for recognition of emotion expressed virtual humans (가상 인간의 감정 표현 인식을 위한 비언어적 다중모달 영향 분석)

  • Kim, Jin 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5
    • /
    • pp.9-19
    • /
    • 2012
  • Virtual human used as HCI in digital contents expresses his various emotions across modalities like facial expression and body posture. However, few studies considered combinations of such nonverbal multimodal in emotion perception. Computational engine models have to consider how a combination of nonverbal modal like facial expression and body posture will be perceived by users to implement emotional virtual human, This paper proposes the impacts of nonverbal multimodal in design of emotion expressed virtual human. First, the relative impacts are analysed between different modals by exploring emotion recognition of modalities for virtual human. Then, experiment evaluates the contribution of the facial and postural congruent expressions to recognize basic emotion categories, as well as the valence and activation dimensions. Measurements are carried out to the impact of incongruent expressions of multimodal on the recognition of superposed emotions which are known to be frequent in everyday lif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gruence of facial and postural expression of virtual human facilitates perception of emotion categories and categorical recognition is influenced by the facial expression modality, furthermore, postural modality are preferred to establish a judgement about level of activation dimension.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implementation of animation engine system and behavior syncronization for emotion expressed virtual human.

Dynamic Facial Expression of Fuzzy Modeling Using Probability of Emotion (감정확률을 이용한 동적 얼굴표정의 퍼지 모델링)

  • Kang, Hyo-Seok;Baek, Jae-Ho;Kim, Eun-Tai;Park, Mign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1
    • /
    • pp.1-5
    • /
    • 2009
  • This paper suggests to apply mirror-reflected method based 2D emotion recognition database to 3D application. Also, it makes facial expression of fuzzy modeling using probability of emotion. Suggested facial expression function applies fuzzy theory to 3 basic movement for facial expressions. This method applies 3D application to feature vector for emotion recognition from 2D application using mirror-reflected multi-image. Thus, we can have model based on fuzzy nonlinear facial expression of a 2D model for a real model. We use average values about probability of 6 basic expressions such as happy, sad, disgust, angry, surprise and fear. Furthermore, dynimic facial expressions are made via fuzzy modelli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feature vectors of real model with 3D human-like avatar.

HEEAS: On the Implementation and an Animation Algorithm of an Emotional Expression (HEEAS: 감정표현 애니메이션 알고리즘과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Sang-Kil;Min Yong-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3
    • /
    • pp.125-1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structed a HEEAAS(Human Emotional Expression Animaion System), which is an animation system to show both the face and the body motion from the inputted voice about just 4 types of emotions such as fear, dislike, surprise and normal. To implement our paper, we chose the korean young man in his twenties who was to show appropriate emotions the most correctly. Also, we have focused on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about making the real animation in making both face and body codes of emotions from the inputted voice signal. That is, we can reduce the search time to use the binary search technique from the face and body motion databases, Throughout the experiment, we have a 99.9% accuracy of the real emotional expression in the cartoon animation.

  • PDF

3D Avatar Messenger Using Lip Shape Change for Face model (얼굴 입모양 변화를 이용한 3D Avatar Messenger)

  • Kim, Myoung-Su;Lee, Hyun-Cheol;Kim, Eun-Serk;Hur, G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5-228
    • /
    • 2005
  • 얼굴표정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의사소통의 표현이 되며 상대방에게 직접적인 표현방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컴퓨터를 매개체로 하는 메신저간의 의사 전달에 있어서 얼굴표정을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문자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대방이 느끼는 내적인 감정까지 인식하여 대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3D 메시로 구성된 얼굴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메시지의 한글 음절을 분석 추출 하고, 3D 얼굴 메시에 서 8개의 입술 제어점을 사용하여 입 모양의 변화를 보여주는 3D Avatar 아바타 메신저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