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 디자인

Search Result 42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Form-Language in Product Design -Focus on the Example of the Study from Industrial Designer- (제품디자인의 조형언어에 대한 연구 -산업디자이너의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정충모;이재용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243-254
    • /
    • 2003
  • This research, we will begin our analysis of the types of research example of designers by the linguistic studies of products form. Specially, we had a mind to generate the linguistic concept of products form by the linguistic relations between tools and thinking, and analysed how activate the roles of form language in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areas. We understood the relations of design process about idea generation, same means of interpretation of form and the generation of form concept, by using of the roles of form language made in design process. We showed the research examples of Enzo Mari and the origins of form language in view point of design history. Also, we classified the form linguistic concerns of designers and scholars interested in design areas by dividing various factors in view point of language. Finally, through the process of this classification, the researches of form language call for further study, as more the examples of detailed design practises and the individualized form language of products than systematic researches and abstract theories about products, and emphasized this viewpoint, we suggest a going-on research theme, the individualized products' differences of form language and concerns viewpoint of inter-culture, the concept generation of form language of products can be inter-coexistent.

  • PDF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Detail Design Language of the Idiosyncrasy of Community Facilities with the Qualitative Method - in Cases of Concord, Lexington and Arlington, Massachusetts - (정성적 접근방법에 따른 도시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설계 언어 형상에 관한 연구 -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타운을 사례로 -)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5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상세 설계의 대상물에 대한 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대상물의 이미지를 상징화하는 단계적 발전 과정을 거쳐 그 시설의 상세 설계적 언어를 형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지닌 세 커뮤니티를 조사하여 디자인 언어와 상징화되는 이미지를 구명해 보면서 디자인 언어의 구성과 설계요소와의 관계 커뮤니티의 목표 등과 연관시켜 커뮤니티의 본질성을 추구하는 수단을 평가 분석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커뮤니티 시설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검토하는 방법을 통섭적으로 제시하였다. 설계 언어의 형상 분석의 수단을 구체화 하는 데는 시각적 형태, 설계 주제의 상황, 설계요소의 관계성, 설계요소의 위치와 구성 등과 연관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상세설계 언어의 형상을 개발하는 시도로 네 가지 기본 전제를 세우고 그를 설명해 보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징화를 위한 설계언어연구 대상의 사례로 미국의 전통성이 강한 메사츄세츠주에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각기 다르게 지니고 있는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등의 세 커뮤니티를 택하였다. 사례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시각적 노트와 디자인 의미와 그 상징성을 바탕으로 상징과 시각적 언어를 찾으면서 상세 요소의 디자인 언어를 비교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디자인 언어와 의미 및 그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편익을 기초로 사회, 건강, 환경, 경제 등 네 가지로 세부 분류된 커뮤니티 시설을 검토하였다. 커뮤니티 시설 특성을 파악하는 기법 발굴 과정에서 시작된 시각적 형상으로부터 상징과 그 의미 등을 구명하면서 그를 정성화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설계 언어, 상징적 언어, 커뮤니티, 자연적 심미성 등의 네 가지로 대표되는 평가 요소에 의하여 분석 평가 검토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그 상세설계언어의 형상에 관하여 통섭적 접근이 이루어 졌다.

Meta Design (메타 디자인의 가능성)

  • 오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2-133
    • /
    • 2000
  • 오늘날 메타(mee)라는 용어는 '메타언어', '메타과학', '메타비평' 등의 합성어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이 사회에서 확인 받고 있다. 특히 메타언어는 메타라는 용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메타언어는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에서 언어의 한 특성, 흑은 자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보다 일반화된 개념으로 소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 PDF

탑재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 비교 - C vs. ADA

  • Park, Su-Hyeon;Gu, Cheol-Hoe;Gang, Su-Yeon;Lee, Sa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6.2-46.2
    • /
    • 2009
  • 탑재소프트웨어는 위성의 자세, 전력, 열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위성의 탑재컴퓨터 상에서 실행된다. 탑재소프트웨어는 추력기, 배터리, 온도조절장치와 같은 위성의 하드웨어 장치를 자치적으로 관리한다. 지상에서 위성을 운영할 수 있도록 탑재소프트웨어는 지상으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처리하고, 위성의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한다. 위성의 탑재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하여 C 언어와 ADA 언어가 주로 사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하위레벨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C 언어와 ADA 언어를 비교 분석한다. 프로그래밍언어는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 논문은 프로그래밍언어와 함께 다목적실용위성과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소개한다. 다목적실용위성의 탑재소프트웨어는 절차 지향언어인 C로 작성되었으며, 함수 호출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경우, 객체지향언어인 ADA로 작성되었으며, HOOD(Hierarchical Object-Oriented Design) 기법에 따라 모델링되었다. 탑재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언어는 위성의 탑재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요구된다. 이 논문은 C와 ADA 언어가 메모리주소 및 로우 스토리지를 다루는 방법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Foreigners'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Design Thinking Analysis (디자인 사고 분석을 통한 외국인의 한국 언어 학습의 연구)

  • Lee, Pei Zhi;Kim, Boy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5
    • /
    • pp.345-351
    • /
    • 2017
  •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elevated as the demand for studying the language among foreign students has grown sharply over the past few years. Unfortunately, foreign students fac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language, conflicts are also deepening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Using Erin Sander's design research spiral, this paper investigates foreigners'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identify the main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ir learning process. Research findings collected with the design analysis revealed needs and insights that offer opportunities relevant specifically for the conception,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learning.

CCS domain in PtolemyII (PtolemyII의 CCS도메인)

  • 황혜정;김윤정;남기혁;김일곤;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48-450
    • /
    • 2003
  • PtolemyII는 내장형 시스템과 같이 이질적 성질을 가진 병렬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디자인 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해준다. PtolemyII의 CSP 도메인은 병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명세할 수 있는 프로세스 알제브라 언어인 CSP를 구현한 것이다. CCS도 프로세스 알제브라 언어로써 정형적으로 병렬시스템을 명세하고 검증할 수 있다. 이 두 프로세스 알제브라 언어는 비슷한 목적으로 가지고 개발되었으나 통신의 세부적인 부분의 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CCS 기반의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는 CCS 도메인을 구현하여 PtolemyII에 추가하였으며, PtolemyII에 구현된 CCS 도메인의 커널구조와 구현 방법을 설명하겠다. CCS 도메인 구현은 기존의 개발자들이 actor-oriented 디자인을 하는 PtolemyII의 디자인 방법을 따라 기존의 프로세스 알제브라 언어들의 문법을 익히지 않고도 모델링 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PtolemyII에 CCS도메인을 추가함으로써 정형적 명세의 다양성을 높였다.

  • PDF

The effect of animation software interface on design thinking process - Protocol analysis of Alice and KidsPlay -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디자인 사고 과정에 미치는 영향 - Alice와 KidsPlay 프로그램 프로토콜 분석을 중심으로 -)

  • Jin, Yan;Lee, Hyun Kyung;Lee, Sang Won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1
    • /
    • pp.37-48
    • /
    • 2016
  • Nowadays, CAD has became an essential tool for designers due to its easy edition and manipulation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Differences between design tool interfaces can cause gaps when visualize designer's ideas. This study is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levels of metaphor interface language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Hutchins that high-level language interface can reduce the steps of process to visualize the idea of the designers than low-level language interface.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igh-level language interface will less interrupt the flow of the design thinking and make more various visual outcomes than the low-level language interface. We verified the hypothesis by analyzing differences of design thinking flow between user groups who used two different animation software. Hopefully,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can be able to guide the use pattern of the CAD tools.

A comparison of sensibility image across nations : The evaluation of product image based on the color and concept image scale (국가 간 감성이미지의 비교 연구 : 색채와 언어 이미지 척도를 이용한 제품 이미지의 평가)

  • 신수길;한광희;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61-169
    • /
    • 1998
  • 제품의 “감성이미지”란 제품의 기능과 함께 제품의 전달하는 감각적 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적 표상을 통합하는 이미지이다. 감성이미지의 국제 비교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구가나 문화의 맥락 속에서 해석하고, 이들 이미지를 상호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생활문하 속에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감성이미지를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비교 평가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먼저, 각 문화 집단을 특징 지울 수 있는 표상개념으로 “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구성하였다. 이 언어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자인 요소로 색채를 활용하여, 언어 개념과 색채 요소에 상응하는 자동차 제품의 감성 이미지가 각 문화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각 문화 집단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적용하는 감성 이미지는 언어와 색체 요소로 구체화 될 뿐 아니라, 이들 집단이 형성한 사회적 표상(social representation)의 개념으로 비교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