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재활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1초

연장음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 비교 연구 (The perceptual judgment of sound prolongation: Equal-appearing interval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 박진;차화정;배세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59-67
    • /
    • 2023
  • 본 연구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해 각각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을 통한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한 후, 두 평가의 결과치가 선형적인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4명(남: 9명, 여: 25명, 평균연령: 32.9세)이 평가자로 참여였다. 실험참여자는 먼저 한국어 평마찰음 /s/를 원래 길이에서 80 ms씩 연장하여 2,000 ms(i.e., 285 ms, 365 ms., ..., 2,125 ms, 2,205 ms)까지 연장 변조한 총 25개의 자극이 들어 있는 문장을 듣고, 등간척도(1-7점, 1은 '정상', 7은 '심도')로 평가하였다. 이후에 등간척도 평가 결과, '경중도'(4점)에 해당하는 음성샘플을 선정해 이를 기준 평가치(modulus)로 하여 직접크기평정을 실시하였다. 두 평가 결과치에 대한 산포도를 작성한 후, 모형 분석을 통해 두 측정치 간의 관계가 선형적(linear)인지 비선형적(curvilinear)인지 R2값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두 평가 결과치의 관계가 비선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에 있어 등간척도보다는 직접크기평정이 적절한 평가 방법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SAFMEDS 교수전략을 적용한 전문가 교육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fessional Education Using SAFMEDS Teaching Strategy)

  • 정경희;최진혁;안성우;신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1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유창성 향상에 유용한 SAFMEDS(Say All Fast a Minute Each Day Shuffled)전략의 교육적 유용성을 보여준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는 일반대학원 정규과정에 개설된 자폐성 장애 연구를 수강한 3명의 대학원생들이며, 이들은 수업을 통해 자폐성장애와 언어행동분석 관련 이론 및 교육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도구는 언어행동분석 용어목록 60 쌍이며, 이것은 앞-뒷면에 용어-정의가 각각 인쇄되어 하나의 쌍으로 구성된 플래시카드(flashcard) 형태이다. 대상자들은 용어목록 앞면에 적힌 용어의 정의를 보고 뒷면에 적힌 용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학습하였다. SAFMEDS 훈련으로 나타난 주요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자 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반응이 증가하고 오반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고, 대상자 B와 C도 정반응이 증가하고 오반응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대상자 B의 언어목록 제시 방법이 대상자 A와 C의 제시유형과는 달랐지만 모든 대상자들의 유창성 향상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SAFMEDS 전략이 언어목록 습득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창한 언어목록을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교육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교육뿐 아니라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SAFMEDS 전략의 유용성을 알리고 이를 다양한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시 끼어들기 특성 종단적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n interruption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 곽효정;황시현;송푸름;심현섭;이수복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75-87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특성을 분석하고 아동의 비유창성과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2-5세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6쌍, 일반아동과 어머니 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에서 나타난 발화를 총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normal disfluency) 빈도와 AD(abnormal disfluency)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빈도 및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평가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비유창성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끼어들기 빈도와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말더듬아동 집단은 평가 시점보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끼어들기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평가 시점에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끼어들기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에서 시점별(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와 아동과 부모의 끼어들기 특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아동의 ND 및 AD 빈도와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끼어들기 특성을 대화 상대방의 발화를 방해하는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로 해석하여 말더듬아동·부모 상호작용 치료 시 끼어들기 행동에 대한 조언이 적절한지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의사소통장애 분야에서 디지털 치료제(DTx) 개발과 관련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DTx)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 윤은미;임익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7-66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의 정의를 확인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해 확인해보고,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 동향을 국내 수준에서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2015년 이후 연구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치료제가 의사소통장애 분야에서 언어장애와 말장애 대상자들 중 어떤 장애 분야에 적용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기술이 적용된 연구가 이루어 왔는가 역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 치료제는 소프트웨어라는 점,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적용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치료제이며 근거 기반 치료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 치료제와 관련해서 엄청난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관련된 연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장애 대상자에게 디지털 치료제를 적용한 2015년 연구 사례를 분석한 결과 언어장애에 해당하는 연구가 전체 22편 중에서 17편으로 주를 이루었고, 말장애 분야 연구,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었다. 디지털 치료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중 가장 많이 적용된 기술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었다. 가상현실보다는 증강현실을 적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AI를 적용한 연구도 있었다. 그리고 디지털 치료제의 적용 후 효과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디지털 치료제 개발과 관련해서 대부분은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한 편의 연구는 앱 개발을 위해 진행된 연구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의사소통장애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보다 광범위한 기술을 적용한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장애인의 입 모양 인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p shape recognition method for the disabled)

  • 한성현;권오상;이응혁;홍승홍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585-588
    • /
    • 1998
  • 현재의 언어자동인식은 목소리의 음성 정보와 얼굴영상의 화상정보를 병행처리하여 초기의 음성 정보만을 처리한 경우보다 높은 인식률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는 언어의 인식에서 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장애니에게는 간단한 의미 전달의 수단이나 각종 재활보조기기의 제어 등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음성정보처리를 배제한 영상정보처리 면에서, 본 논문의 대상이 되는 장애인은 신체의 부자연스러움으로 인해 처리되는 얼굴의 영상이 정상인과 같은 바른 자세가 되지 못하고, 기울어진다든지 틀어져서 기존의 방법들로는 정상인보다 현저히 낮은 입모양의 인식률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들과는 달리 청색 표식을 이용한 색상불할법과 라벨링을 통해 입 모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장애인과 같은 기울어진 얼굴영상에 대해서도 정상인과 같은 입 모양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착용전후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과 말 명료도에 관한 연구

  • 정문규;김호중;최성희;표화영;심현섭;최홍식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대회
    • /
    • pp.183-183
    • /
    • 1999
  • 배경 : 주로 palatal defect 환자들의 상악(maxilla)의 결손으로 인한 형태와 기능을 복구시키기 위한 보철적 재활(prosthetic rehabilitation)방법으로 쓰이는 obturator는 비음의 초래를 막고 vocal tract의 모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palatal cancer 환자를 대상으로 말산출(speech production)에 관한 obturator 장착 효과에 대한보고는 거의 없다. 또한 모음은 자음에 비해 더 nasality에 영향을 주며 모음 삼각도의 면적크기가 말 명료도의 객관적인 측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연구목적 : 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 장착 전후 모음 산출 측정치를 통해 모음 삼각도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obturator 장착이 말 명료도 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주는지 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퇴행성질환과 말언어장애 재활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Speech Rehabilitation)

  • 윤지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83
    • /
    • 2017
  •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Parkinson's disease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ay induce impairment of speech motor system. This review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ysarthria and symptom management for these conditions. Given the progressive nature of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ust be aware of appropriat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equipment at the early stage of the disease course. Patient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can maintain 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s.

  • PDF

식도발성 : 인두식도분절의 형태학적 연구 (ESOPHAGEAL SPEECH : MORPHOLOGICAL STUDY OF THE PHARYNGOESOPHAGEAL SEGMENT)

  • 홍원표;이원상;유병문;윤주헌;김유현;정태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2-14
    • /
    • 1987
  • 후두 악성종양의 치료로서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는 의사 전달수단인 언어의 장애를 동반하게 된다. 후두전적출술후 언어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음성재활법이 제시되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고 있으나 그중 식도발성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이지만 시간이 걸리고 배우기가 어려워 환자들이 쉽게 단념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저자들은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10명의 환자에서 인두식도분절을 fluoroscopy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식도발성을 잘하는 예에서는 pseudoglottis의 전후길이가 좌우길이보다 길었고 식도발성을 못하는 9례에서는 좌우길이가 전후길이보다 크거나 길었다. 2) 식도발성을 못하는 9례중 7례에서 인두식도 분절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인두식도분절에서 pseudoglottis의 모양이 식도발성을 잘하는 예에서는 정상성대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4) 식도발성을 잘하는 예에서는 pseudoglottis의 위치가 윤상인두괄약근 상방 2cm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식도발성을 못하는 9례중 6례에서는 pseudoglottis의 위치가 윤상인두괄약근 위치였으며 2례에서는 pseudoglottis가 각각 윤상인두괄약근상방 1cm, 1.5cm에 있었다.

  • PDF

한글점자번역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ngeul-Braille Translation System)

  • 김풍민;김상국;하영렬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3년도 제5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05-629
    • /
    • 1993
  • 시각장애인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청각과 촉각있으며, 청각으로는 어떤 음성매체를 통하여 사람의 목소리나 소리로써 의사전달이 이루어지며, 촉각으로는 시각장애인이 학습하여 익혀온 점자표기법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이 촉각을 사용하는 방식인 점자표기법에 통일성을 기하고, 그 사용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일반 워드프로세서 기능에 점자출력이 가능하도록 한글점자번역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그러므로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여 많은 시각장애인들도 일반문자에 의한 교육 및 의사전달, 그리고 컴퓨터를 활용한 직업재활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마비말장애 화자의 일련운동속도 분석 (Analysis of sequential motion rate in dysarthric speakers using a software)

  • 박희준;안신욱;신범주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73-177
    • /
    • 2018
  • Purpose: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whether the articulatory diadochokinesis (sequential motionrate, SMR) collected using the Motor Speech Disorder Assessment (MSDA) software module can diagnose dysarthria and determine its severity. Methods: Two subject groups, one with spastic dysarthria (n=26) and a control group of speakers (n=30) without neurological disease, were set up. From both groups, the SMR was collected by MSDA at a time, and then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For the parameters of syllable rate, jitter, and the mean syllable length (MSL) at the front and back, the control group displayed better results than the dysarthria patients. Conclusions: At the level of articulatory diadochokine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MSDA software in clinical practice was generally suitable for quickly recording the parameters of syllable rate, jitter, and mean syllable 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