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휘사용행태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Lexicon-Use Behaviour of Architects & the Basic Lexicons in House Design (주택디자인에서 건축가들의 어휘 사용행태 및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

  • Youn, Dae-Ha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7 no.5
    • /
    • pp.27-37
    • /
    • 2006
  • This paper analyzed statistically two corpora that were constructed from the texts about house designs written by Korean architects and PA Awards architec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s of words in Korean house-design corpus were 9,352 and those of words in PA Awards house design corpus were 2,379. The former were 18.7% and the latter 4.8% of about 50,000 words regarded as the rest using scale in actual life. (2) When the architects described their house designs, the lexicon-concentration phenomenon was pervasive in both groups. Therefore, we can infer that the high-frequency lexicons are very important in house design. (3) The architects' behaviour patterns of using the house-design lexicons, went by rules according to the word frequency order. The tendency formulas of them had the $R^{2}$ values which were more than 90%. (4) In Korean house design corpus, the high frequency lexicons were '공간', '층', '주택', '집', '대지', '거실', and '실'. In PA awards house design corpus, they were 'house','room','space','living','wall','level' and 'area'. From these results, We can tell that 'space' is the highest frequency word in house design of the two groups, and that '대지 ' and 'wall' are the words that reveal we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 Study on Proposal of Emotional expression for Online instant Messenger (온라인 인스턴트 메신저의 감정표현 방법 제안에 관한 연구)

  • Kim, Ju-Yong;Soh, Yeon-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8-54
    • /
    • 2007
  •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터넷이 실생활이 되면서, 온라인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메신저에서는 이모티콘 및 플래시콘 혹은 윙크 등 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온라인의 감정표현은 흥미위주이며, 오프라인의 다양한 감정표현에 비해서 제한적이다 따라서 오프라인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감정표현을 온라인에서 표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행태 이해를 통해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제안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생활에서 사용자의 감정표현 방법을 바탕으로 온라인 메신저에 적용하여 새로운 감성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로, 감정어휘와 표현방법의 사용자 조사를 통해 감정표현 방법에 대한 컨셉을 제안하였다. 우선 메신저 사용 행태와 요구사항 도출을 위한 사용자 FGI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FGI로 얻어진 사용자들의 메신저 사용행태를 통해, 텍스트와 모션을 활용하는 '텍스트콘'을 컨셉 아이디어로 도출하였다. 아이디어에 적용하기 위해 모션을 감정으로 인해 파생되는 행동과 체감각 요소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인 표현방법 및 적용 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감정어휘와 표현방법(행동, 체감각)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내용은 '사용자 참여 관찰'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어휘와 행동을 정리하고 구제화하여 그 결과를 '텍스트콘'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이용한 감정표현에 있어 텍스트를 선호하고 텍스트에 대한 요구사형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감정표현 컨셉 아이디어 '텍스트콘'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참여 관찰'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이모티콘으로 대표되는 그래픽 아이콘 중심의 사용자 감정표현 방법을 보조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실생활에서 사용자가 표현하고 받아들이는 신체언와 행동을 적용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감정에 의한 생리적 반응 요소를 외적인 반응과 내적인 반응으로 구분하여, '체감각'이라고 하는 내적반응을 중심표현방법으로 삼아, 기존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Medical Terminolog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Field of Cardiopulmonary Bypass (한.중.일 의학용어 비교 분석 - 심폐바이패스 영역를 중심으로 -)

  • Kim, Won-G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0 no.3 s.272
    • /
    • pp.159-167
    • /
    • 2007
  • Background: Vocabularies originating from Chinese characters constitute an important common factor in the medical terminologies used 3 eastern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medical terminologies of these 3 countries in the field of cardiopulmonary bypass (CPB) and; thereby, facilitate further understanding among the 3 medical societies. Material and Method: A total of 129 English terms (core 85 and related 44) in the field of CPB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into each country's official terminology, with help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Tokyo Michi Memorial Hospital(Japan), and Yanbian Welfare Hospital and Harbin Children Hospital (China). Dictionaries and CPB textbooks were also cited. In addition to the official terminology used in each country, the frequency of use of English terms in a clinical setting was also analyzed. Result and Conclusion: Among the 129 terms, 28 (21.7%) were identical between the 3 countries, as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86 terms were identical between only two countries, mostly betwee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the identity rate in CPB terminology between Korea and Japan was 86.8%; wherea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etween Japan and China the rates were both 24.8%. The frequency of use of English terms in clinical practices was much higher in Korea and Japan than in China. Despite some inherent limitations involved in the analysis, this study can be a meaningful foundation in facilitat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medical societies of these 3 eastern Asian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