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획 특성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어선의 GM 변화에 따른 운동응답특성 실험적 연구

  • 최이찬;김정휘;임남균;윤동협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9-421
    • /
    • 2022
  • 어선은 어획물로 인한 무게 변화 및 어구 사용에 의한 외력으로 GM이 변화한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GM을 추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현재 적용되는 추정식은 어선에 대입하기에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논문은 어선의 GM 추정식 개발에 기여하기 위해 어선의 Roll 운동응답을 분석하고, 실험과 시뮬레이션의 GM과 파경사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7톤 급의 실제 운항 중인 어선의 모델선 GM을 변화시키면서 파경사별 Roll 운동응답 데이터를 수집한다. GM 변화의 경우 선박 무게중심부에 높이 방향으로 추를 조절할 수 있도록 했으며, 파경사는 동일 주기 4가지 파경사를 선정하였다. GM과 파경사가 커질수록 Roll 응답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GM과 파경사가 커짐에 따라 기울기가 비선형성을 보이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어선의 GM과 파경사의 관계를 파악하고, GM추정에 사용할 수 있느 보정 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 추후에 본 연구 내용을 활용하여 운항 중인 어선의 실시간 GM 추정시스템 개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제주도(濟州道)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의 구조개선(構造改善)에 관한 연구(硏究)

  • 장철호;이병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14-30
    • /
    • 1995
  • 한국(韓國)의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은 국내외 여건의 변화로 경쟁력(競爭力)을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구조개선(構造改善)을 통한 활로개척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으나, 중앙정부(中央政府) 차원의 어업여건(漁業與件) 개선은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방화시대(地方化時代)를 맞이하여 수산정책(水産政策)도 지방정책(地方政策)에 의한 지역적 특성을 가진 정책으로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그런 차원에서 본토(本土)와는 지리적(地理的), 사회적(社會的), 경제적(經濟的)으로 상당히 독립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주도(濟州道)에 있어서의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에 관한 각종 자료를 이용하여 어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나아가 생산성(生産性)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어업구조(漁業構造)의 개선방향(改善方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연구결과(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주도(濟州道)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의 실태(實態) 1) 어업인구(漁業人口)는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부녀자(婦女子) 비율이 뚜렷하게 높다. 2) 어선세력(漁船勢力)은 10톤이하의 소형선(小型船)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10~50톤급의 증가률(增加率)도 매우 높다. 3) 어항(漁港)은 107개가 있으나 그중 80%는 비법정(非法定)의 소규모(小規模) 어항(漁港)이었다. 4) 어선어업(漁船漁業)은 연승(延繩) 유자망(流刺網) 채낚기 분기초망어업(焚寄抄網漁業)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5) 생산물(生産物)의 종류는 어류(魚類)가 주축을 이루고 있고, 대부분 고급(高級) 어종(魚種)이며, 가격은 상당히 높다. 6) 어선어업(漁船漁業)의 한어기(閑漁期)에 관광산업(觀光産業)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는 유어어업(遊漁漁業)은 상당히 발전할 소지를 가지 고 있다. 2. 문제점(問題點) 1) 어업인구(漁業人口)는 감소하는 반면 부녀자(婦女子)의 참여율은 높아 어선어업(漁船漁業)에 종사할 인력의 수급이 어려우며, 이것이 조업규모(操業規模)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2) 어항시설(漁港施設)이 미비하여 어선어업(漁船漁業)의 규모를 확대시키기가 곤란하다. 3)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 어획물(漁獲物)의 판매를 위한 제도 및 시설이 소비환경(消費環境) 및 기호변화(嗜好變化)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4) 유어어선(遊漁漁船)의 운영기반(運營基盤)이 취약하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5) 어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교육(技術敎育) 및 연구(硏究) 지도체제(指導體制)가 취약하다. 3. 구조개선(構造改善)의 방향(方向) 1) 어업인력(漁業人力)의 안정적인 수급(需給)을 위하여 어민(漁民)의 정주환경(定住環境)을 개선하고, 어민후계자(漁民後繼者) 육성사업(育成事業)의 자금지원 수준을 향상시켜야 하며, 수산고등학교(水産高等學校) 졸업자(卒業者)를 수산계대학(水産系大學)에 일정 비율 정원외(定員外) 특예입학(特例入學) 시킴으로써 기술(技術)의 고도화(高度化)와 어촌 정착 동기를 높여 주어야 한다. 2) 어업인력(漁業人力) 감소에 대비하여 어선의 장비를 현대화, 생력화(省力化)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3) 어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어항시설(漁港施設)을 확충하고, 소비자(消費者)의 기호변화(嗜好變化)에 대응하여 위탁판매(委託販賣) 장소를 중심으로 종합어시장(綜合魚市場)을 개설해야 하며, 이와는 별도로 활어위판장(活魚委販場)을 시설하여 어획물(漁獲物) 부가가치제고(附加價値提高) 및 유통개선(流通改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4) 유어어선(遊漁漁船)의 운영도 편의시설(便宜施設)을 확충하고 인공어장(人工漁場)의 조성을 추진하여 안정적인 부업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5) 연구(硏究) 지도(指導)의 강화를 위하여 제주도(濟州道)에 소재하고 있는 연구(硏究) 지도기관(指導機關)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필요하다면 기관을 개편 증설하고, 어업인력(漁業人力)의 질적 향상을 위한 어민교육원(漁民敎育院)의 설립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한국 동해 어족생물의 일주기적 유영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 Distribution and Activity Patterns of Fishes in the Korean Eastern Sea)

  • 이대재;김성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2호
    • /
    • pp.85-94
    • /
    • 2001
  • 1997년 10월 2일부터 10일 사이에 동해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어탐기록과 CTD를 이용한 해양관측 결과 및 중층트롤에 의한 어획물의 생물학적 조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족생물의 일주기적인 유영행동특성을 검토,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7년 10월 3일에 북위 $36^\circ$04', 동경 $130^\circ$53'의 조사 해역의 경우, 수온약층은 수심 60~110m의 수층에 형성되었고, 혼합층과 수심 250m이 저층 수괴 사이의 온도차와 염분 차는 각각$21^\circ$, 0.6%이었다. 2.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1997년 10월 2일~3일에 대한 일주기적 연직회유행동을 고찰할 때, 주간에 수온약층 아래쪽 수심 250 m 전후에 분포하는 생물군의 평균상승속도는 시간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0.51m/min이었고, 일출을 전후하여 100~ 125 m 수층에서 하향 이동하는 생물군의 평균하강 속도는 0.41 m/min이었다. 3.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는 표층, 중층, 저층의 순으로 높았고, 개체 생물의 반사강도는 저층, 중층, 표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중층트롤에 의한 시험조업의 결과, 초음파 산란층에 분포하는 어획 생물 중에서 살오징어가 점유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 95.7%이었고, 그 평균 외투장과 평균체중은 각각 25.3 cm, 390.0g이었으며, 위 내용물은 살오징어, 갑각류, 치어류 등이었다.

  • PDF

황해 동부해역 참홍어의 지리적 분포특성과 어획량 변동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atch Fluctu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Eastern Yellow Sea)

  • 장명훈;조현수;권대현;차병열;황자혜;한경남;임양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5-302
    • /
    • 2014
  • 황해에서 주로 어획되는 참홍어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13년까지 황해 동부 해역에 30개 정점을 선정하여 오터트롤을 이용하여 참홍어를 채집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92번의 트롤 예망 중에서 112회에 442개체의 참홍어가 채집되었다. 참홍어는 봄과 가을에 전체 조사해역에 넓게 분포하였으나, 여름에 북부 외해 일부 해역과 겨울의 남부 외해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당년생의 참홍어는 봄과 가을에 조사해역의 연안역보다 외해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참홍어는 조사해역의 수온 $3.8{\sim}14.5^{\circ}C$, 염분 31.2~34.2 범위에서 분포하였으며, 수온은 참홍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적정 서식 수온은 $5{\sim}14^{\circ}C$이며 조사해역에서 수심과 염분은 참홍어 분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참홍어의 연도별 생산량은 어획생산변동 통계와 수협의 판매 자료를 이용하여 다시 산정하였다.

남해 정치망에서 채집한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특성 (Morphogenetic Identification of Eel's Larva (Leptocephalus) Collected by Set net in Namhae, Korea)

  • 홍창기;한경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8-135
    • /
    • 2023
  • 엽상자어(Leptocephalus)는 뱀장어목(Anguiliformes)에 속하는 어류의 자어로 5~6월에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정치망에서 멸치와 함께 어획 후 방류하지만 대부분 폐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멸치어업을 하는 정치망에서 무분별하게 포획되는 엽상자어의 종을 구명하여 수산자원보호 및 이들 자치어 생태 연구를 위한 기초 생물학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엽상자어는 5~6월에 남해의 정치망에서 채집하였으며, 외부형태와 유전학적 특성을 붕장어(Conger myriaster), 갯장어(Muraenesox cinereus) 및 뱀장어속(Anguilla) 4종의 성어와 비교하였다. 유전학적 분석은 추출한 DNA를 12s rRNA, 16s rRNA 부분단편을 PCR로 증폭하여 염기배열을 분석한 후 분자계통수를 작성하여 장어류 유생이 붕장어, 갯장어 및 뱀장어속 4종 중 어느 쪽의 성체와 클러스터 그룹화를 이루는지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엽상자어의 외부형태 계수 및 계측결과 엽상자어의 전장에 대한 머리길이의 백분비와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백분비는 붕장어와 가장 유사한 비율을 보였고, 척추골수 역시 붕장어와 가장 유사하였다. 또한 엽상자어의 유전자 분석결과는 모두 붕장어 성체와 클러스터 그룹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남해안에서 5~6월에 어획되는 엽상자어는 모두 붕장어의 자어임을 할 수 있었다.

서부태평야지역에서 일본 다랑어선망어업의 어획특성 (Catch Specification of Japanese Tuna Purse Seine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 김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3호
    • /
    • pp.243-249
    • /
    • 1999
  • Specificity of catches has been analyzed to japanese tuna purse seine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hing and increase sustainable production and productivity of Korean tuna purse seine.The result are as follows;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fish catche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1) to promote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skipjack Kastsuwonus Pelamis, LINNAEUS and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ONNATERRE (Small : smaller than 10kg) and proportion was 86.8% of total.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Z2) to increase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yellowfin tuna (Large : larger than 10kg) and proportion was 9.5%.On the other hand, fish operating that have caught skipjack and yellowfin tuna (Small and Larger) was not so much. Fish catches for one species raised volume of the catches while catches for multi-species decreased it since principal composition score for one species and both species together has been increased.Fish school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chools each of which wa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payaho and ship, school associated with shark, whale and porpoise and school of breezing, feeding and jumping from propor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fish catches of school types. However, the biological pattern is different among school associated with ship, payaho and school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for analysis eigen vector. School associated with ship, payaho and school associated with drifting object associated is judged as school which be assembled to vessel and drifted log temporary.

  • PDF

여수 연안 승망 어장에서 어획된 어업생물의 계절별 분포특성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 주찬순;박진형;박주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3호
    • /
    • pp.158-168
    • /
    • 2006
  •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by a funnel net was carried out in the coastal water off Dolsan Island, Yeosu from 2002 to 2003.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23 fishery creatures species were caught. Seabream(Acanthopagrus schlegeli), sea bass(Lateolabrax japonicus), mullet(Mugil cephalus), puffer(Takifugu niphobles) and rockfish(Sebastes inermis) predominated. These five species accounted for 85.1% of the total number of fishery creatures caught. Seasonal peaks of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summer, while those of number of individuals occurred in autumn.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winter. Th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observed from May to August. Thes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mainly due to predominance of seabream, sea bass and mullet which accounted for most of all fishery creatures caught. The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showed that sea bass and mullet were caught mainly from spring to summer, seabream and puffer were caught mainly in autumn, and rockfish and brotula(Hoplobrotula armata) were caught mainly in winter.

거제연안 새우조망 조업구역과 비 조업구역에서의 어획물 특성 (Catches characteristics between fishing area and non-fishing area in the shrimp beam trawl of Geoje waters, Korea)

  • 조삼광;김현영;박창두;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377-384
    • /
    • 2013
  •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catch characteristics of shrimp beam trawl in a fishing area and a non-fishing area during the period of fishing season and off-fishing season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A commercial fishing boat (4.99 tons) was used for the test fishing. The amount of total catches were 14,654g in the fishing area and 12,359g in the non-fishing area, shrimp catches of non-fishing area were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fishing area during the period of off-fishing season (June and August). However, total catches were 27,670g in the fishing area and 33,004g in the non-fishing area, shrimp catches of fishing area were bigger than that of non-fishing area during the period of fishing season (October and December).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tches characteristics between fishing area and non-fishing area showed the reversed results for the period of fishing season and off-fishing season.

어획특성을 이용한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회유경로 추정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h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using Catch Distributions)

  • 김희용;임유나;송세현;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6-384
    • /
    • 2016
  • Seasonal catch distributions of large purse seines and daily landings of coastal set ne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migration path of th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round Korean waters. The Spanish mackerel start to move toward the coastal region in the South and West Sea in May for spawning and stay until July, when spawning finishes. Afterwards, they start to migrate to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ern East Sea and are found irrespective of the onshore and offshore regions. Therefore, they disappear from the offshore reg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une and July, and a new recruitment population of age 0 begins to inflow into the coastal fishing grounds in the South Sea and West Sea in August, one month earlier than in the Japanese coastal region of the East Sea.

삼중자망에 의한 동해 심해 수산자원의 망목별 어획특성 (Fishing investigation with trammel nets by mesh size in the Korean deep-water of the East Sea)

  • 박해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1호
    • /
    • pp.1-17
    • /
    • 2013
  • The investigation for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in the Korean deep-water of the East Sea (also known as Sea of Japan) was carried out with trammel nets of 7 mesh sizes (6.1~24.2cm) offshore Donghae (2006) and Yangyang (2007) of Korea. The catches were 1,268kg and composed of 37 species between 200m and 1,200m in depth. The principal species caught were Taknka's snailfish, salmon snailfish, red snow crab, hunchback sculpin, snow crab, spinyhead sculpin, Tanaka's eelpout, Alaska cod and so on. Those were target fish for commercial value except salmon snailfish. The mesh sizes for the largest catch were 10.6cm and 15.2cm in the fishing ground of Donghae and Yangyang, respectively. The habitat of snow crab was shallower than that of red snow crab in both areas. Trammel net enabled to investigate fish in deep-water with small fishing vessel and rather cheap expenses in contrast to bottom trawl that required too much of it. With increasing inner mesh size of trammel net the mean size of some principal species such as Taknka's snailfish, spinyhead sculpin, hunchback sculpin, Pacific cod, snow crab, red snow crab and hybrid between snow crab and red snow crab tended to be large in certain range of mesh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