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종

Search Result 96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stimation of the Benefits from the Water Ecosystem Improvement through Environmental Flow (환경생태유량 공급 편익 산정)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0-90
    • /
    • 2018
  • 환경의 가치, 특히 물의 가치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하천관리는 환경적 측면보다는 이수와 치수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하천 고유의 수생태계 서비스기능 유지에 필요한 용수의 확보에 정책적인 배려가 부족하였다. 그러나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환경개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물관리에 있어 이용뿐만 아니라 환경측면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하천 수생태에 대한 정책 역시 과거보다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물환경보전법 공포를 통해 수생태건강성 유지를 위한 환경생태유량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바 있다. 실질적인 환경생태유량 공급 정책방안 마련을 위해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하천 수생태에 주는 효과에 대한 편익 정보를 산정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편익을 산정해 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비시장재화 가치평가법인 선택실험법을 적용하였다. 한편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를 하천의 주요 어종 관련 지표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환경생태유량 공급에 대한 편익산정시 하천고유어종 변화, 하천 어종 수 변화, 외래어종 변화의 3가지 속성에 대한 한계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수행, 특히 수생태계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결정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Major Fishes Caught in Korean Seas (한국 주요 어종의 지방산 조성 및 ${\omega}-3$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 Ahn, Byung-Hak;Shin, Hyun-K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9 no.3
    • /
    • pp.181-187
    • /
    • 1987
  • The lipids of ten major fishes caught in Korean seas were analyzed for fatty acid composition and for the content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 major fatty acids present were hexadecanoic acid $(14{\sim}24%)$, hexadecenoic acid $(4{\sim}13%)$, octadecenoic acid $(8{\sim}29%)$, eicospentaenoic acid $(4{\sim}18%)$ and docosahexenoic acid $(6{\sim}33%)$. The ${\omega}-3$ polyunsturated fatty acids ranged from 18% to 48% of the total fatty acids depending on the species. The content of eicosapentaenoic acid was relatively high in sardine, gizzard shad and atka fish on the basic of fresh body weight, while that of docosahexaenoic acid was highest in hair tail and followed by atka fish and sardine.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in Eelgrass Meadows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 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9 no.5
    • /
    • pp.509-517
    • /
    • 1986
  • Abundances of small fishes that utilized eelgrass meadows of Hansilpo, Chungmu, were analyzed to determine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monthly changes of this temperate seagrass fish community during 1983-1986. A total of 4,646 fishes that comprised 35 species in 19 families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on. Pholis taczanowskii, Pseudoblennius cottoide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nd Sryngnathus schlegeli predominated in ichthyofauna that occupied the eelgrass meadows most of the year. These four most abundant fish speci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4\%$ of the number of fish collected. Juveniles of economically valuable fish species such as Sebastes inermis, Platycephalus indicus and Limanda yokohamae were also collected in the study area. Seasonal changes in bot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s of fish populations wer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se eelgrass meadows. A peak abundance of total fishes occurred during spring, with a secondary peak during fall. The lowest abundance of total fishes occurred in winter. Each abundant fish species showed its own seasonal abundance pattern, and a peak abundance 1-3 months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with some overlap of the increased larval recruitment.

  • PDF

Species Composit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Winged Stow Nets on Anchors off Namhae Island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낭장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 Heo, Seong-Hoe;Gwak, Seok-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4 no.3
    • /
    • pp.309-319
    • /
    • 1998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winged stow net on anchors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was studied from May 1989 m April 1990.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56 fish species were collected. Engraulis japonicus, Conger myriaster, Trichiurus lepturus, Sardinella zunasi, Ammodytes personatus, and Thryssa kammalensis predominated. These six species accounted for 93.9% of the total number and 81.3% of the total biomass of fishes collected. Fishes collected by winged stow nets on anchors were primarily small fish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 fish species. Both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hanged with season. Seasonal peaks of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spring and fall, while those of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ccurred in spring.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observed in winter. Low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observed in summer. These low diversity indices in summer were mainly due to predominance of E.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0% of all fishes collected. More species and greater biomass were collected during nighttime.

  • PDF

Diet Partitioning between Co-occurring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and Amblychaeturichthys sciistius in the Southeastern Korean Waters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과 수염문절(Amblychaeturichthys sciistius)의 먹이 분할)

  • Huh, Sung-Hoi;Park, Joo Myun;Baeck, Gun Wo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8 no.2
    • /
    • pp.79-86
    • /
    • 2016
  • Stomach contents of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and A. sciistius (Perciformes: Gobiidae) from southeastern waters off Korea were analyzed to determine dietary habits and the presence of any inter- and intra-specific partitioning of food resources. These two species were bottom-feeding carnivores that consumed mainly benthic crustaceans, and other demersal invertebrates and planktonic organisms were also important in their diet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es based on gravimetric contributions of the different prey taxa to stomach contents revealed significant inter-specific dietary differences; i.e. partitioning of food resources between the two species. Size-related change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for their diets.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range of prey ingested by the two species could often be related to differences in the feeding behaviors. Our results of stomach contents analyses provide clear evidence of niche segregation between co-occurring A. hexanema and A. sciistius in southeastern Korean waters, which would reduce the likelihood of inter-specific competition for food resources.

Study on mercury concentrations of freshwater fish from Lake An-dong and its upper stream (안동호 및 상류수계 내 어류 중 수은 농도 특성연구)

  • Byeon, Myeong-Seop;Lee, Jae-Yoon;Park, Jin-Joo;Shin, Sun-Kyoung;Han, Jin-Seok;Kim, Young-Hee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5
    • /
    • pp.492-497
    • /
    • 2010
  • In this study, mercury concentrations in freshwater fish from Lake An-dong basin were investigated an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national freshwater fish monitoring survey. The mercury concentrations of fish from Lake An-dong were in the range of 37~611 ng/g and Korean piscivorous chub, the top predator showed the highest average mercury concentrations, $198{\pm}97\;ng/g$. Most of fish caught from upstream of Lake An-dong were herbivorous and omnivorous, and goby minnow and pale chub showed relatively lower mercury concentrations of $21{\pm}16\;ng/g$ and $33{\pm}24\;ng/g$, respectively. Especially, mercury concentrations of long nosed barbel and largemouth bass caught from Lake An-dong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average of the national survey monitoring data.

The Fish community of the Ungchon Stream Around the New Dam Intended Area (댐예정지를 중심으로 한 웅천천 수계의 어류군집에 관하여)

  • Hong, Young-Pyo;Jang, Min-Ho;Kang, Ho;Choi, Sin-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7 no.1
    • /
    • pp.79-88
    • /
    • 1999
  • The fish fauna, notified species, and fish community was studied at the six stations in a 18km section of the Ungchon stream, a mountain stream in Korea, where a new dam is planned from 1994 to 1996. Twentynine species (11 families, 25 genera) were found. Nine species were endemic to Korea. The Dominant specie in the studied area were Zacco temmincki, Z. platypus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Some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Coreoperca herzi) including the Korean endangered species such as Pseudopungtudgia nigra and Liobagrus obesus were not found in this stream anymore. The average of area density was 0.69 individuals per square meter and the volume density was 1.45 individuals per cubic meter.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in the middle region. According to communit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ix stations, similality coefficients of station one, four, five and six were higher than oth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fish fauna was found between six study staions.

  • PDF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Wonju-stream (원주천의 어류군집 분석)

  • Choi Jun-Kil;Shin Hyun-Seon;Choi Jae-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1
    • /
    • pp.46-54
    • /
    • 2005
  • The change of fish community in the Wonju-stream was investigated from May to November, 2004. During the period,24 species belonging to 6 families were collected. There were 10 Korean endemic species$(41.7\%)$, including Pseudopungtungia tenuicorpa, Coreoleuciscus spiendidus, Squalidus gracitis majimae,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Microphysogobio yaluensis,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Liobagus andersoni and Odontobutis interrupts.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54.7\%)$,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16.7\%)$. Also, Carassius auratus$(5.4\%)$, I. koreensis$(3.4\%)$, Orthrias toni$(3.3\%)$, and Pungtungia herzi$(3.0\%)$ appeared. According to the fish species compositions, the fish community was divided into 2 groups by an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s(UPGMA). The comparison of the fish community showed that benthic fish species were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water-column species, resistant 1,o substrate changes and water pollution were increased.

Analysis of habita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for Endangered Fish (Liobagrus Obesus) using MD-SWMS (MD-SWMS를 이용한 멸종위기 어종(퉁사리)의 서식환경 특성 분석)

  • Park, Sung-Chun;Jin, Young-Hoon;Roh, Kyong-Bum;Lee,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5-749
    • /
    • 2012
  • 국내 주요하천은 지속적인 산업화와 난개발로 인해 생태계파괴 및 수변생물의 서식처 환경 악화로 하천 생태계에 많은 악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하천의 기능과 생물의 다양성, 하천환경 및 생태학적인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커짐에 따라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매우 중요시 하고 있으며, 하천의 난개발로 인한 피해를 복원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 생태계 건전화 개념을 도입하여 담수성 어류 서식처 제공 및 이동에 필요한 유량을 산정한 한국 수자원공사(1995)의 연구가 있으며, 김규호 등(1996a, 1996b)은 물고기 서식처 환경 중 특히 수심과 유속 등 수리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유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경범(2011)은 섬진강의 하천환경 회복을 위한 연구대상 구간에서의 대표어종을 선정하여 서식처 특성 파악을 위해 하천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도 하천의 기능과 생태학적 기능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학적 서식처 연구에서는 아직까진 미진한 부분이 많이 있다. 그 예로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어종과 같은 생물의 서식처 확보를 위한 연구가 아직까지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1급 어종인 퉁사리를 대상으로 서식환경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퉁사리의 생태학적 서식특성과 현재 지석천 상류 유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서식구간을 중심으로 MD-SWMS (Multi-Dimensional, 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상재료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입도가 큰 굵은모래 및 잔자갈, 굵은자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리학적 특성분석결과 서식구간 내에서는 비교적 빠른 유속이 나타났다. 이러한 퉁사리의 서식환경의 특성 분석으로 서식구간 내 입도가 큰 하상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구간이 생성되지 않을 정도의 유사이송량과 유속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퉁사리의 장기적인 서식환경 조성과 보존을 위해 대상구간의 유사이송의 연구와 실측 및 수변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exotic fish in Korean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내 외래어종의 분포특성)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2-51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계에서는 배스로 대표되는 외래어종의 유입에 따른 심각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외래어종은 활발한 먹이활동 및 영역다툼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종의 섭취 및 경쟁 우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보도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어종 중 배스(Large mouth bass)에 초점을 두고 동계 및 춘계의 서식처 특성을 살펴본다. 다양한 수계 중 갇혀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에 초점을 맞추고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현장조사 중 일부는 강과 같이 열린 서식처 공간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스가 동면을 하지 않는 대신 수온에 큰 영향을 받으며 저수온기의 서식활동을 지속한다는 가정 하에 수온과 배스가 활동하는 영역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4개 지점 이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수심 20 m 정도의 깊은 저수지에서부터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도시형 하천까지 포함한다. 이 중 수심 20 m 정도의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7회 이상의 정밀 조사를 수행하여 수심별, 수온별 배스의 서식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배스는 $1-2^{\circ}C$의 수온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서식처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온의 평면적 분포는 서식처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온 안정기인 동계의 경우는 수온 종분포에 따라 군락을 형성하며 서식층을 결정한다는 점도 유추된다. 4월 중순 이후의 춘계는 배스의 산란기로 종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하계에는 다시 부화한 개체가 독립적으로 서식처를 이동하는 또다른 종확산의 시기이다. 따라서 계절별에 따른 보다 면밀하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4계절 순환에 따른 배스의 서식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