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절길이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Analysis on Suitability of Words and Sentences in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First Grade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 Chang, Hyewon;Lim, Mii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2
    • /
    • pp.247-267
    • /
    • 2016
  •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ause difficulty not by mathematical knowledge but concomitantly by words and sentences for the first graders who just started learning Korean alphabets. This study focused on the suitability of words and sentences in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first grade. We analyzed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familiarity in terms of words and the structure, length, and expression in terms of sentences. The results show some causes that lead the first graders to the difficulty. In more detail, we found 108 difficult words and 6 unfamiliar words for the first graders. And it is noticed that the textbooks contain 37 compound sentences, 727 complex sentences, and 38 compound-complex sentences. They also contain 237 long sentences that are composed of 9 words or more, 168 sentences that assign two activities or more, and 52 sentences that contain three nouns or adjectives or more successively. Based on these results and discussion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writing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On "Dimension" Nouns In Korean (한국어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하여)

  • Song, Kuen-Young;Hong, Chai-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60-266
    • /
    • 2001
  • 본 논문은 불어 명사의 의미 통사적 분류와 관련된 '대상부류(classes d'objets)'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의미적, 형식적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자연언어 처리에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일부 명사들은 어떤 대상 혹은 현상의 다양한 속성이 특정 차원에서 갖는 규모의 의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길이', '깊이', '넓이', '높이', '키', '무게', '온도', '기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은 측정의 개념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통사적으로도 일정한 속성을 공유한다. 즉 '측정하다', '재다' 등 측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사 및 수량 표현과 더불어 일정한 통사 형식으로 실현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국어 명사들을 "크기" 명사라 명명하며, "크기" 명사와 특징적으로 결합하는 '측정하다', '재다' 등의 동사를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적정술어라 부른다. 또한 "크기" 명사는 결합 가능한 단위명사의 종류 및 호응 가능한 정도 형용사의 종류 등에 따라 세부 하위유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로 술어와의 통사적 결합관계를 기준으로 "크기" 명사 부류를 외형적으로 한정하고, 이 부류에 속하는 개개 명사들의 통사적 세부 속성을 전자사전의 체계로 구축한다면 한국어 "크기" 명사에 대한 전반적이고 총체적인 의미적 통사적 분류와 기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크기" 명사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이들 명사를 특징지어주는 단위명사 부류의 연구와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크기" 명사를 한정하고 분류하는 보다 엄밀하고 형식적인 기준과 그 의미 통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한국어 자동처리에 활용되어 "크기" 명사를 포함하는 구문의 자동분석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in Science Textbooks across Grade Levels: Focus on Text Cohesion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 분석 -텍스트 정합성을 중심으로-)

  • Ryu, Jisu;Jeon, Moong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71-82
    • /
    • 2021
  • Learn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careful matching of text features to expected reader features (i.e.,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nd background knowledg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is systematic principle i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s. The current study examined science textbook texts on 20 measures provided by Auto-Kohesion, a Korean language analysis tool. In addition to surface-level features (basic counts, word-related measures,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previous text analysis studies, the present study included cohesion-related features as well (noun overlap ratios, connectives, pronouns). The main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surface measures (e.g., word and sentence length, word frequency) overall increased in complexity with grade levels, whereas the majority of the other measures, particularly cohesion-related measures, did not systematically vary across grade level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of lower grades are expected to experience learning difficulties and lowered motivation due to the challenging texts. Textbooks are also not likely to be suitable for students of higher grades to develop the ability to process difficulty level texts required for higher educa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various text-related features including cohesion-related measure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