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절길이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DAG: An Efficient Method for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DDAG: 효율적인 한국어 형태소 해석 방법)

  • Kim, Deok-Bon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341-353
    • /
    • 1993
  • 기존의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들은 철자 변화형 어절에 대한 처리가 매우 효율적이지 못했다. 대개가 문제를 일으키는 형태소들의 변형들을 모두 사전에 등록하여 후처리 형태로 다루려 하거나, 각 형태/음운 규칙을 적용한 다음 거기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들을 사전 검색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들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과다한 사전 정보의 중복이나 계산의 중복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면을 많이 내포한다. 또한, 기존의 한국어 형태소 시스템들은 거의 모두가 형태소해석 엔진과 언어학적인 지식(특히, 철자 규칙과 형태소 배열 규칙)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시스템 확장이 매우 어려웠다. 이 논문에서는, 철자 변화형 어절을 후처리에 의하지 않고, 사전 검색과 함께 하나의 오토마타에 의해 처리하면서, 형태소 해석시 발생하는 중복 계산을 최대한 배경하고, 또한 형태소 해석 엔진과 언어학적인 지식을 완전히 분리하여 시스템의 확장성을 한층 높인, 효율적인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 DDAG를 소개한다. 이 시스템의 주요 알고리즘의 계산적인 복잡도는 n이 입력 어절의 길이이고, m이 입력 어절을 이루고 있는 형태소의 최대 수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1) 철자 변화의 처리와 사전 검색 부분의 계산적인 복잡도는 $O(n^2)$이고, (2) 형태소 배열 검사와 모든 가능한 결과를 출력해 내는 부분은 $O(2^m)$이다. 여기에서 m의 실질적인 값은 복잡한 한국어 용언의 경우 최대 8이다.

  • PDF

A Postprocessing Method of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by Mis-recognized Morphology Presumption (오인식 형태소 추정에 의한 한국어 문자 인식 후처리 기법)

  • Kim, Young-Hun;Lee, Young-Hwa;Lee, Sang-J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C
    • /
    • v.36C no.7
    • /
    • pp.46-55
    • /
    • 1999
  • We proposed the new method of postprocessing which not only reduces the frequency of dictionary access using morphological analysis but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character recognizer. In this paper, after estimating morphological construction of mis-recognized word using the part of speech that is analyzed, correct presumed mis-recognized morphology. The postprocessing using a morphology unit reduce candidate because of short than word and frequency of dictionary acces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morphological analysis for candidate. To select right candidate is only necessary to dictionary access. The proposed results show that reduced the frequency of dictionary access to 60% than postprocessing method using a word unit and recognition rate improved from 94% to 97%.

  • PDF

Analysis on Preschoolers'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Type-Token Ratio by their Sex and Play Situation Type (유아의 성별과 놀이상황 유형별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

  • Sung, Mi Young;Chang, Moon Soo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6
    • /
    • pp.43-5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eschoolers' utterance features by their gender and play situation typ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 5-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yad were participated in each play session during 10 minutes. The play session was videotaped and the videotaped data were transcribed by CBS(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MLU-e, MLU-w, MLU-m were longer than that of boys in a familiar play situation. Second, preschoolers' MLU-w was longer in an unfamiliar play situation than in familiar ones and preschoolers' type-token ratio were higher in an unfamiliar play situation than in familiar ones.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preschoolers' spontaneous speech are discussed.

The Factors In Reading Hangul Text : font width-to-height ratio of a letter, line length (글자꼴, 글줄길이, 글줄모양과 한글의 가독성)

  • Lee, Soo-Jeong;Jung, Woo-Hyun;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193-205
    • /
    • 1993
  • 한글의 글자꼴과 장평율 그리고 글줄 길이와 글줄꼴 처리 방식이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글자꼴은 명조체, 고딕체, 샘물체를 사용하였고, 장평율은 글자의 가로 대 세로 비율을 1 대 1, 1 대 2 그리고 2 대 1로 변형시킨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글줄 길이는 60mm와 120mm의 두 가지로 하였고 글줄 끝에서 음절 단위로 끊어 쓴 문장과 어절 단위로 끊어 쓰되 띄어쓰기 여백을 조절한 문장과 조절하지 않은 문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글자꼴에서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이 샘물체보다 좋았고,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이 1 대 1이거나 1 대 2인 글자의 가독성이 2 대 1인 글자의 가독성보다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글 정보 처리 과정에서 자모보다 글자가 중요한 시각 정보로 사용되고 한번 응시하는 동안에 표집되는 글자수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글줄 길이는 120mm일 때의 가독성이 더 좋았고 글줄 끝처리 방식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phoric Resolution in Anomia and Wernike Aphasia (실어증에서 나타나는 참조어 정보처리과정의 특성 : 명칭 실어증과 이해성 실어증을 중심으로)

  • Kim, Ga-Young;Hwang, Yu-Mi;Moon, Young-Sun;Park, Yoon;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55-46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화자가 참조어(대명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오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참조어에 관한 처리기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와 이해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자에게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정오판정 과제로 문장, 혹은 문단을 제시하고 사용된 참조어가 옳은지 그른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험 2는 채워넣기 과제로 문장, 문단을 제시하고 괄호 안에 들어갈 참조어를 보기에서 고르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된 참조어는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그리고 지시 관형사였다. 인칭 대명사의 경우는 인칭과 수로 나누어 각각 1인칭, 2인칭의 단수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되었으며, 문장 내에서 각각 주격조사 '가', 보조사 '는', 소유격조사 '의'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다. (나는, 너는, 우리는, 너희는/ 내가, 너가, 우리가, 너희가/ 나의, 너의, 우리의, 너희의) 지시 대명사의 경우는 사물을 나타내는 것과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이것, 그것, 저것/ 이곳, 그곳, 저곳) 지시 관형사의 경우는 '이', '그', '저'가 각각 명사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는데 지시대명사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는 실험과제간(정오판정, 채워넣기), 실험재료간(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의 차이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내에서도 각각의 재료들 간에 오류반응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참조어 범주간 별개의 처리과정이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적 상황, 대명사의 개념적 거리, 빈도, 사용된 문장의 길이 등 여타의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 PDF

Korean phrase structure parsing using sequence-to-sequence learning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구구조 구문 분석)

  • Hwang, Hyunsun;Lee, Changki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0-24
    • /
    • 2016
  • Sequence-to-sequence 모델은 입력열을 길이가 다른 출력열로 변환하는 모델로, 단일 신경망 구조만을 사용하는 End-to-end 방식의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한국어 구구조 구문 분석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구구조 구문 트리를 괄호와 구문 태그 및 어절로 이루어진 출력열의 형태로 만들고 어절들을 단일 기호 'XX'로 치환하여 출력 단어 사전의 수를 줄였다. 그리고 최근 기계번역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연구된 Attention mechanism과 Input-feeding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세종말뭉치의 구구조 구문 분석 데이터에 대해 기존의 연구보다 높은 F1 89.03%의 성능을 보였다.

  • PDF

A recognition algorithm of Korean verb and noun idiomatic phrases (한국어 동사와 명사 관용구 인식 알고리즘)

  • Lee, Ho 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70-175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 관용구 인식 알고리즘에 대하여 논의한다. 다음(daum) 전자 사전에는 관용구의 의미를,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라고 설명되어 있다. 한국어 관용구의 길이는 2글자 ~ 4글자인 경우가 많으며 그 이상인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관용구는 일반 사전에 동사와 명사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품사 표시나 구절 표시 없이 어절의 문자열 형태로만 표현되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 사전에 품사 표시나 구절 표시 없이 어절 문자열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한국어 관용구를 입력 문장에서 인식하는 관용구 인식 알고리즘에 대하여 논의한다. 그리고 연어 인식과 명사의 의미 속성 처리에 대하여서도 논의한다.

  • PDF

Korean phrase structure parsing using sequence-to-sequence learning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구구조 구문 분석)

  • Hwang, Hyunsun;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0-24
    • /
    • 2016
  • Sequence-to-sequence 모델은 입력열을 길이가 다른 출력열로 변환하는 모델로, 단일 신경망 구조만을 사용하는 End-to-end 방식의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한국어 구구조 구문 분석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구구조 구문 트리를 괄호와 구문 태그 및 어절로 이루어진 출력열의 형태로 만들고 어절들을 단일 기호 'XX'로 치환하여 출력 단어 사전의 수를 줄였다. 그리고 최근 기계번역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연구된 Attention mechanism과 Input-feeding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세종말뭉치의 구구조 구문 분석 데이터에 대해 기존의 연구보다 높은 F1 89.03%의 성능을 보였다.

  • PDF

The Influence of Lexical Factors on Verbal Eojeol Recognition: Evidence from L1 Korean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한국어 용언 어절 재인에 미치는 어휘 변인의 영향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예-)

  • Kim, Youngjoo;Lee, Sunjin;Lee, Eun-Ha;Nam, Kichun;Jun, Hyunae;Lee, Sun-Young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9 no.3
    • /
    • pp.25-53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lexical factors on verbal Eojeol recognition. To meet the goal, forty-five L2 Korean learners and twenty-two Korean native speakers took Eojeol decision tasks measured with the lexical factors such as 'number of strokes',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number of syllables', 'number of morphemes', 'whole Eojeol frequency', 'root frequency', 'first-syllable-sharing frequency', and 'number of dictionary meanings.' As a result, 'whole Eojeol frequency'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to predict Eojeol recognition reaction time for native speakers and L2 learners, which supports the full-list model. Other lexical factors influencing Eojeol recognition reaction time in L2 learners were different following their proficiency level.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use groups and breath groups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 연구)

  • Yoo, Doyoung;Shin, Jiyo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2 no.1
    • /
    • pp.19-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alization of pause and breath groups from adult speakers and to examine how gender, generation, and tasks can affect this realiz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forty-eight male or female speakers. Their gener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 old. Task and gender affected both the realization of pause and breath groups. The length of the pause groups was longer in the read speech than in the spontaneous speech and female speech.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breath group was longer in the spontaneous speech and the male speech. In the spontaneous speech, which requires planning, the speaker produced shorter length of pause group. The short sentence length of the reading material influenced the reason for which the length of the breath group was shorter in the reading speech. Gender difference resulted from difference in pause patterns between genders. In the case of the breath groups, the male speaker produced longer duration of pause than the female speaker did, which may be due to difference in lung capacity between genders. On the other hand, generation did not affect either the pause groups or the breath groups. The generation factor only influenced the number of syllables and the eojeol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speech rate between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