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저귀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9초

사일리지용 옥수수 포장에서 어저귀 (Abutilon avicennae) 방제를 위한 Dicamba 액제 적정 시용수준 구명 (Optimum Application Level of Dicamba Heribicide for Control of Abutilon avicennae in Silage Corn Field)

  • 서성;정의수;김종근;강우성;최기준;임용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0
    • /
    • 1999
  • 본 시험은 어저귀(Abutilon avicennae) 발생 사일리지용 옥수수 포장에서 제초제 처리수준에 따른 어저귀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여 적정 제초제 시용수준을 구명하고자, 방치구(무처리구)와 dicamba 액제수준($0.75{\ell},\;1.0{\ell},\;1.25{\ell},\;1.5{\ell}$)을 달리한 5처리를 두고 1995년도와 '96년도 2개년에 걸쳐 수원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실시되었다. 공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은 P 3352였으며, dicamba 액제는 옥수수 5~6엽기때 경엽처리하였다. 방치구의 옥수수 생육은 잡초와의 경합으로 저조하였으며, 제초제 처리구에 비해 출수기와 출사기가 2~3일 정도 늦었다. 어저귀 방제효과는 dicamba 액제 처리시 94.7~98.1% 범위로 우수하였으며, 제초제 처리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Dicamba 액제 $1{\ell},\;1.25{\ell},\;1.5{\ell}$ 처리시 옥수수의 생육초기에 약해가 약간 관찰되었으나 수량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 건물수량, 암이삭의 길이와 무게 등은 dicamba 액제 처리구에서 양호하여 방치구의 건물수량(12,070 ka/ha)은 제초제 처리구(18,050~18.795kg)의 64.2~66.9% 수준이었으며(P<0.05), dicamba 처리수준간 수량 차이는 없었다. 건물수량중 암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53.4~56.8% 범위였고, 옥수수 경엽과 암이삭의 조단백질 함량 등 일반성분, ADF, NDF, 건물소화율 및 TDN 등의 사료가치는 처리간 차이가 경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어저귀 발생 옥수수 포장에서 어저귀의 효율적 제거를 위해서는 dicamba 액제 처리가 바람직하며, 옥수수에 대한 약해없이 높은 방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정 dicamba 액제 처리수준은 ha당 $0.75{\sim}1.0{\ell}$였다.

  • PDF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쇠비름(Porturaca oleracea)의 병원균, Drechslera portulacae가 생산하는 식물독소의 구조 동정 - 제 2 보. Zeaenol의 단리 및 제초활성 (Identification of Phytotoxins Produced by Drechslera portulacae, a Pathogen of Purslane(Portulaca oleracea) - II. Isolation of Zeaenol and Its Herbicidal Activity)

  • 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2-198
    • /
    • 1994
  • 잡초병원균 Drechslera portulacae가 생산하는 식물독소를 단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결정한 결과, zeaenol으로서 동정하였다. Zeaenol은 기지 물질이나 지금까지 입체화학적인 면에서는 불명인 채 남아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그 입체구조를 명백하게 하였다. 또한, 잡초방제적인 측면에서 식물독소의 활용가능성을 찾기 위하여 zeaenol의 제초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피 및 어저귀의 유묘의 초장에 대한 억제효과는 보여주지 않았으나, $3{\times}10^{-5}M$의 처리구에서 식용피 및 어저귀의 유근의 생장을 대조구에 비해 각각 22.8%, 54.8% 억제하였다.

  • PDF

2, 4, 6-trinitrotoluene에 대해 내성을 지닌 토착 식물종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creening of 2, 4, 6-trinitntoluene Tolerant Indigenous Herbaceous Piano)

  • 배범한;김선영;이인숙;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3-11
    • /
    • 2001
  • TNT를 제거하기 위한 식물종을 선정하기 위해 8종의 대표적인 야초류를 이용하여 TNT 식물독성 임계점을 측정하였다. 독성 임계점은 TNT 농도변화에 대한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 및 수분 흡수 능력 등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TNT가 식물에게 미치는 독성효과는 오염물의 농도와 식물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60-80mgTNT/L 농도는 어저귀, 식용피, 자귀풀 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발아 후 14일동안 어저귀, 식용피, 자귀풀의 뿌리 생장에 있어 식물 독성 임계점(50%) 농도는 5-40 mgTNT/L이며 지상부 생장은 50-73mgTNT/L, 생체량은 68-99mgTNT/L이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체량은 TNT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분 흡수량도 감소하였다. 야초류의 서로 다른 독성 임계점을 비교해 보면 뿌리 길이 > 지상부 길이 > 생체량 > 발아율 순으로 TNT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실험 결과, 8종의 식물 중에서 어저귀와 자귀풀은 TNT에 대해 내성을 지닌 종으로 판명되었다.

  • PDF

신규 cyclohexanedione계 화합물 EK3143과 EK3150의 제초작용 발현특성과 Acetyl CoA Carboxyl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Action Characteristics of EK3143 and EK3150, New Cyclohexanedione Herbicides, and Their Effects on Acetyl CoA Carboxylase Activity)

  • 김진석;송종환;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4-324
    • /
    • 1998
  • 신규로 합성한 cyclohexanedione계 화합물 EK3143과 EK3150의 제초작용 발현의 특성을 기존약제와 비교조사하고, 이들이 ACCase에 대해 어떠한 저해활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제반실험을 수행하였다. Sethoxydim은 화본과식물에만 제초효과를 가지며 생육정지와 함께 조직의 황화, 괴사가 나타난다, 반면에 Ek3143과 EK3150은 화본과식물에 대한 활성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까마중, 어저귀 등의 광엽잡초에 대해서는 보다 강한 활성을 가졌다. EK3143은 저농도의 보다 폭넓은 범위에서는 백화증상이, 고농도에서는 sethoxydim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고 EK3150은 모든 농도에서 식물체의 백화를 유기시켰으며 광엽잡초의 경우 분열조직에서 그 증상이 뚜렷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본과식물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과 옥수수 ACCase에 대한 저해정도간에는 일치된 경향을 보였으나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까마중에 대한 ACCase 활성과 전식물체(intact plant)에서의 제초활성간에는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즉 EK3143과 EK3150은 어저귀와 까마중의 ACC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sethoxydim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이지만, 광엽잡초에 대한 제초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EK3150이 ACCase에 대해서는 EK3143보다 오히려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색소감소 정도가 신장저해보다 빨리 나타나는 norflurazon 및 EK3140 처리에서와는 달리, EK3143과 EK3150 처리에서는 색소감소 보다 신장저해가 보다 빠르게 나타나 다른 저해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EK3143 EK3150은 ACCase 이외에 다른 작용점을 추가로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약간의 구조변경에따라 제초작용점간의 결합정도에 차이가 생김으로써 생육저해 또는 백화증상이 서로 비중을 달리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수수 지상부의 부산물과 추출물의 제초활성 (Weed Control Efficacy of the Residues and its Aqueous Extract of Sorghum Shoots)

  • 박수혁;원옥재;;엄민용;황기선;황재복;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3-248
    • /
    • 2015
  • 본 연구는 수수 지상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하며 생물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수 지상부 분말을 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피,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의 발아 억제율은 최대 40% 정도였으며 발아한 개체들의 지상부 생육억제율은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털비름에서 최대 30%, 화본과잡초인 피와 바랭이에서는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 추출물의 발아억제 효과는 피를 제외한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에서는 $25mg\;ml^{-1}$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50%의 발아를 저해하는 농도가 피에서는 $60mg\;ml^{-1}$였으나 나머지 세 초종에서는 $1060mg\;ml^{-1}$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경엽처리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11개 전착제 중 DOS70, TM15, TDE7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DOS70는 주요 잡초종을 60%까지 방제할 수 있었다. 비록 수수 지상부 부산물의 잡초방제효과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처리에 의한 잡초종자 및 개체밀도의 점진적인 경감이 기대된다.

카드뮴 오염 토양에 Phytoremediation의 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f the Potential for Phytoremediation of Cd Contaminated Soil)

  • 백경화;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15-320
    • /
    • 2002
  • 본 연구는 어저귀(Abutilon avicennae)를 이용한 식물상 복원공법의 가능성과 카드뮴이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독성효과, 오염물과 식물유무에 따른 토양미생물의 활성변화, 카드뮴의 식물체내와 토양에서의 거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뿌리의 생체량은 90일 후 대조구에 비해 약 4배정도 저해를 받았으며, 지상부의 길이 생장 또한 대조구에 비해 약 3배정도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내 카드뮴의 축적은 50일째 뿌리> 줄기> 잎의 순서로 축적을 나타냈으나, 90일이 경과된 후 카드뮴 축적은 뿌리>줄기>종자>잎으로 지상부 부분의 카드뮴이 잎에서 종자로 전이가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카드뮴 오염 유무에 상관없이 식물구는 무식물 구에 비해 미생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고 컬럼 하층부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토양에서의 카드뮴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초기 가용성 카드뮴의 3.5%가 식물체내로 이동하였음이 관찰되었다.

구리 내성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per Tolerance of Herbaceous Plants)

  • 김성현;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3-47
    • /
    • 2004
  • 본 연구는 구리 내성을 가진 식물을 선별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피, 알팔파, 닭의장풀, 해바라기, 옥수수, 어저귀 등 6종 유식물의 토양 내 구리 농도별 생장율 및 구리 제거율 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및 50, 100, 200, 300 ㎎-CuCl₂/㎏ 의 토양에 각 식물의 종자를 심어 14일 후 수거하여 발아율, 유식물의 생장 및 생체량, 구리 축적 및 제거력 등을 관찰하였다. 구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저해가 나타나지 않은 식물로는 피, 해바라기, 닭의장풀 등이었다. 그러나 해바라기의 경우 300 ㎎-CuCl₂/㎏ 에서 유식물의 뿌리 및 지상부의 생장율이 대조구의 약 7% 수준으로 큰 저해를 받았으며 생체량도 대조구의 약 35%에 불과해 구리에 의한 생체량 저해가 가장 심한 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피와 닭의장풀은 고농도의 구리 오염 토양에서도 생장률이 높아 구리에 대한 내성이 가장 뛰어난 식물로 나타났다. 특히 피의 경우, 토양 내 구리 제거율이 30% 이상이었으며, 토양 내 구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축적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300 ㎎-CuCl₂/㎏ 에서 ㎏당 약 1020㎎의 Cu를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나 phytoremediation에 사용될 가능성 있는 종으로 사료된다.

식물성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 부직포 제조 및 특성 -어저귀, 칡섬유를 중심으로- (The Properties of Plant Fiber and Polyester Blended Nonwoven Fabrics)

  • 이혜자;김남은;유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1696-1706
    • /
    • 2009
  • Nonwoven fabrics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that include household, industrial, agricultural, medical goods, especially in the automobile industry. In this study, eco-friendly fiber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investigated as a substitute material for polyester fibers in nonwovens. To make plant fiber bundles, stems of Indian mallow (IM), and Kuzu vine (KV) were retted; in addition, the non-cellulose component was partially removed. Plant fiber bundles and polyester fibers (P) were blended and needle punched to produce nonwovens. Five kinds of nonwovens were manufactured: P100 (Polyester 100%), IM10 (IM 10% and Polyester 90%), IM20 (IM 20% and Polyester 80%), KV10 (KV 10% and Polyester 90%), and KV20 (KV 20% and Polyester 80%). The color values, surface appearanc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tear strength, abrasion strength, flexstiffness, moisture regain, water or oil absorbency, and static electricity of manufactured nonwovens are investigated. As the blended ratios of IM or KV increased, the brightness of nonwoven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polyester 100%.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strength, and flexstiffness of IM10 as well as KV10 were higher than those of P100, IM20, and KV20, resulting from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nonwoven fibers. Moisture regain and water or oil absorbency increased, while static electricit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plant fibers. IM or KV and polyester blended nonwovens showed improved properties over P100 that could be substituted for P100 as a novel material for textiles.

대용섬유자원으로써 어저귀를 이용한 한지제조(제2보) -인피 및 목질부 섬유를 이용한 한지 제조- (Manufacturing of Korean Paper(Hanji) with Indian Mallow (Abutilon avicennae Gaertner) as the Alternative Fiber Resources(II) - Manufacturing of The Hajis Made from Bast Fiber and woody core fibers -)

  • 정선화;조남석;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4
  • 생장속도가 빨라서 단위면적당 Biomass의 생산량이 많은 어저귀(Indian mallow, Abutilon avicennae G.)를 원료로 하여 펄프화하였으며, 제조한 한지의 물리적·기계적·현미경적 특성에 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제조한 한지의 특성을 살펴보면 광학적, 강도적, 현미경적인 특성에서 설포메틸 펄프화법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고, 장섬유인 인피부 펄프에 대한 단섬유인 목질부 펄프의 혼입량 증가에 따른 변화에 있어 지질(밀도, 백색도, 불투명도, 지합)의 변화는 점차 증가했으나, 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