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의 중의성 해소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Word Sense Disambiguation in Query Translation of CLTR (교차 언어 문서 검색에서 질의어의 중의성 해소 방법)

  • Kang, In-Su;Lee, Jong-Hyeok;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52-58
    • /
    • 1997
  • 정보 검색에서는 질의문과 문서를 동일한 표현으로 변환시켜 관련성을 비교하게 된다. 특히 질의문과 문서의 언어가 서로 다른 교차 언어 문서 검색 (CLTR : Cross-Language Text Retrieval) 에서 이러한 변환 과정은 언어 변환을 수반하게 된다. 교차 언어 문서 검색의 기존 연구에는 사전, 말뭉치, 기계 번역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간 변환에는 필연적으로 의미의 중의성이 발생되며 사전에 기반한 기존 연구에서는 다의어의 중의성 의미해소를 고려치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의어의 언어 변환시 한-일 대역어 사전 및 카도가와 시소러스 (각천(角川) 시소러스) 에 기반한 질의어 중의성 해소 방법과 공기하는 대역어를 갖는 문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일본어 특허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5 %의 정확도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KorLex (세종 전자사전과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 Kang, Sangwook;Kim, Minho;Kwon, Hyuk-chul;Jeon, SungKyu;Oh, Juhy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7
    • /
    • pp.500-505
    • /
    • 2015
  • The Sejong Electronic(machine readable) Dictionary, which was developed by the 21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a systematic of immanence information of Korean words. It helps in solving the problem of electronical presentation of a general text dictionary commonly u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problems can also be solved using the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as a limitation of suggesting structure of sentences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In this paper, we discuss limitations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by using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as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 selection-restricted noun of argument using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Korean Structural Disambiguation using Adverb Information (부사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구조 중의성 해소)

  • Shin, Seung-Eun;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110-115
    • /
    • 2000
  • 자연 언어 처리의 구문 분석에서는 중의성 있는 결과가 많이 생성된다. 이러한 중의성을 해소하는데 어휘정보가 유용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어휘정보와 이를 이용한 중의성 해소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구문 구조 분석 시 부사에 의해 발생되는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수식어 사전을 이용하여 구문 분석에서의 구조 중의성을 해소하였다. 수식어 사전의 어휘정보와 대상 말뭉치를 통해 각각의 부사에 대한 문법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어 구문구조 분석에서 부사에 의해 발생되는 중의성을 줄일 수 있다.

  • PDF

Parse Tree Selection using Adverb Information (부사 정보를 이용한 구문 구조 선택)

  • Shin, Seung-Eun;Jung, Cheon-Young;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81-387
    • /
    • 2001
  • 자연 언어 처리의 구문 구조 분석에서는 수식 관계의 중의성에 의한 많은 구문 구조가 생성된다. 이러한 중의성을 해소하는데 어휘 정보가 유용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구문 구조 분석 시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어휘 정보로 부사 수식 정보와 부사 확률 정보를 사용한다. 부사들의 사용과 수식 패턴들을 대량의 말뭉치로부터 조사하고, 수식 패턴들 중 비교적 규칙적인 것들을 부사 수식 정보로, 피수식어의 상대적 위치와 피수식어의 품사에 대한 확률을 부사 확률 정보로 구성하였다. 구문 구조들 중 가장 옳은 구문 구조를 선택하기 위해 부사 수식 정보와 부사 확률 정보를 이용하였고, 구문 분석에서 부사에 의한 중의성을 해소하였다.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Knowledge Embedding (지식 임베딩 심층학습을 이용한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 Oh, Dongsuk;Yang, Kisu;Kim, Kuekyeng;Whang, Taesu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72-275
    • /
    • 2019
  •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은 지식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 기반 방법과 각종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도학습 방법이 있다. 지도학습 방법은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대량의 정제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반대로 지식 기반 방법은 대량의 정제된 학습데이터는 필요없지만 높은 성능을 기대할수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지식내에 있는 정보와 정제된 학습데이터를 기계학습 모델에 학습하여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을 해결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지식 정보는 상위어(Hypernym)와 하위어(Hyponym), 동의어(Synonym)가 가지는 의미설명(Gloss)정보이다. 이 정보의 표상을 기존의 문장의 표상과 같이 활용하여 중의성 단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하지만 정확한 문장의 표상을 얻기 위해서는 단어의 표상을 잘 만들어줘야 하는데 기존의 방법론들은 모두 문장내의 문맥정보만을 파악하여 표현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정보와 문맥정보를 담은 단어의 표상정보를 만들기 위해 구문정보, 의미관계 그래프정보를 GCN(Graph Convolutional Network)를 활용하여 임베딩을 표현하였고, 기존의 모델에 반영하여 문맥정보만을 활용한 단어 표상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세종 전자사전과 준지도식 학습 방법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 Kang, Sangwook;Kim, Minho;Kwon, Hyuk-chul;Oh, Jyhy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2
    • /
    • pp.107-112
    • /
    • 2016
  • The Sejong Electronic(machine-readable) Dictionary, developed by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systematically organized information on Korean words. It helps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electronic formatting of the still-commonly-used hard-copy dictionar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has a limitation relate to sentence structure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This paper discuses the limitations of word-sense disambiguation(WSD) that uses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d selection-restricted nouns from the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An alternative method that utilized semi-supervised learning, the chi-square test and some other means to make WSD decisions is presented herein.

A Framework for WordNet-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워드넷 기반의 단어 중의성 해소 프레임워크)

  • Ren, Chulan;Cho, Sehy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3 no.4
    • /
    • pp.325-331
    • /
    • 2013
  • This paper a framework and method for resolving word sense disambiguation and present the results. In this work, WordNet is used for two different purposes: one as a dictionary and the other as an ontology, contain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representing hypernym-hyponym relations.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wofold. First, it provides a very simple method that is easily implemented. Second, we do not suffer from the lack of large corpus data which would have been necessary in a statistical method. In the future this can be extended to incorporate other relations, such as synonyms, meronyms, and antonyms.

Desambiguation Method based on a Lexicon of Typographical Units (`어절 정보 사전`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의 중의성 (Ambiguity) 해결)

  • Nam, Jee-S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75-82
    • /
    • 1997
  • 이글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시 발생하는 중의성의 유형에 대해서 논의하고, 그와 같은 여러 유형의 중의성의 발생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어절 정보 사전 시스템'의 구축을 강조하였다. 한국어 문서에 대한 형태소 분석시 발생하는 중의성은, 영어나 유럽어와는 달리, 어휘 형성 정보 뿐아니라 어절 형성 정보, 구문 구조에 관한 부분적인 정보까지도 제공되어야 비로소 해소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이와 같은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고안된 범용의 사전 (Lexicon)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접사가 동반되어 구성될 수 있는 '파생 명사(Affixed Noun)'들의 경우에 논의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실제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파생어 사전은. 주어진 어절에 대한 형태소 분절시 발생할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중의적 가능성을 해소해 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사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어와 접사 사전이 모듈화되어 완성되어야 한다. 같은 방법으로 모든 합성어 유형에 대한 사전이 구축되고, 그러한 기본 형태들에 대한 '변화형' 사전이 결합되면 어절 정보를 갖춘 대용량의 한국어 MRD의 구현이 가능해질 것이다.

  • PDF

Noun and Verb Polysemy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UWordMap (어휘지도(UWordMap)를 활용한 명사와 용언의 다의어 중의성 해소)

  • Shin, Joon-Choul;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16-219
    • /
    • 2015
  • 컴퓨터를 이용하여 명사와 용언의 의미를 자동으로 분별하는 것은 기계번역이나 검색 등의 기술에서 아주 중요한 기반 기술이다. 최근에 동형이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 결과로 약 96%의 정확률을 보이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다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일부 어휘만을 한정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휘지도를 이용하여 다의어를 분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어휘지도에 등록된 모든 일반 명사와 용언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문장에서 나타나는 명사와 용언의 관계를 어휘지도에서 찾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다의어를 분별하였다. 아직은 그 정확률이 실용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전체 다의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다의어 분별 연구 방향에 도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ing Performance of Web Search Engine using Query Word Senses and User Feedback (질의어 의미정보와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웹 검색엔진의 성능향상)

  • Yoon,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2
    • /
    • pp.280-285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improving performance using word senses and user feedback in web information retrieval, compared with the retrieval based on ambiguous user query and index. Disambiguation using word senses is very important processing for improving performance by eliminating the irrelevant pages from the result. According to semantic categories of nouns which are used as index for retrieval, we build the word sense knowledge-base and categorize the web pages.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system with user feedback deciding the query sense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o web p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