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업활동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Mapping of Fishing Activity using V-Pass Data - Focusing on the Southeast Sea of Korea - (선박패스(V-Pass) 자료를 활용한 어업활동 지도 제작 연구 - 남해동부해역을 중심으로 -)

  • HAN, Jae-Rim;KIM, Tae-Hoon;CHOI, Eun Yeong;CHOI,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112-125
    • /
    • 2021
  • Marine spatial planning(MSP) designates the marine as nine kinds of use zones for the systematic and rational management of marine spaces. One of them is the fishery protection zone, which is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fishery products, including the protection and fosterage of fishing activities. This study intends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fishing activity space, one of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of fisheries protection zones, by mapping of fishery activities using V-Pass data and deriving the fishery activity concentrated zone. To this end, pre-processing of V-Pass data was performed, such as constructing a dataset that combines static and dynamic information, calculating the speed of fishing vessels, extracting fishing activity points, and removing data in non-fishing activity zone. Finally, using the selected V-Pass point data, a fishery activity map was made by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the concentrated space of fishery activity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s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ing vessel and the season. The pre-processing technique of large volume V-Pass data and the mapping method of fishing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fishing activities in the future.

An Empirical Analysis of Non-fishery Work Participation as a Risk Management Strategy for Fishery Households (어가의 위험관리 전략으로써 어업 외 활동 참여 행태 분석)

  • Lee, Sejin;Cheu, Sungmin;Park, Seoyun;An, Do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30 no.3
    • /
    • pp.63-73
    • /
    • 2024
  • 기후변화 및 수산자원 보호 등으로 인한 어획량 감소 그리고 어업경영비의 증가에 따라 어가의 어업 소득 의존도는 낮아지고 있다. 2020년 어업총조사에 따르면 62.9%의 어가가 어업 외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업 외 활동이 대체 소득원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어업 생산에서 발생되는 위험을 관리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어가의 경우 외생적 위험을 직접 통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나 어업 외 활동 등 소득원 다각화를 통하여 어가경제의 총괄적 위험도를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 위험의 대리변수로 가격 위험을 사용하고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하여 가격위험 변화에 따른 어업 외 소득 비중의 조정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어업 외 활동이 어업 생산과 관련된 위험을 관리하는데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가의 규모에 따라 대응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소규모 어가가 대규모 어가에 비해 어업 외 활동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업 외 활동의 확대가 어업 생산의 축소 및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관리의 직·간접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어업 부문의 생산 위험 관리 전략으로써 어업 외 활동의 잠재적역할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Pragmatic Approach for Determining Overfishing and Overfished Condition for Assessing Data-deficient Fisheries (평가자료가 결핍된 어업의 과도어획상태와 자원의 남획여부를 결정하는 실용적인 방법)

  • Zhang, Chang-Ik;Lee, Jae-Min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5 no.5
    • /
    • pp.1009-1019
    • /
    • 2013
  • 본 연구는 어업자원이 건강한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남획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현재 어업활동이 과도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자원평가를 수행시에는 고가의 자료와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는데, 특히 소규모 어업과 다종어업에서 어려움이 더욱 심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어업자원의 구체적인 상태와 어업활동의 객관적인 상태를 고려해서 어업자원을 보존하고 어업활동을 규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자원량과 어획사망률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없거나, 추정할 수있는 과학적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자원량을 대용해서 단위노력당어획량을 사용하고 어획사망률을 대용해서 어획노력량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의 실현가능성과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복수어종으로 집계된 어획량과 어획노력량 만으로 된 경우나 또는 개체군 특성치 정보와 체장자료 만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대해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수산자원의 보존이라는 전지구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자원상태와 어업상태를 판단해서 어획활동을 규제하고 조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n Workwear for Fishing (어업용 작업복에 관한 연구)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93-294
    • /
    • 2021
  • 본 연구는 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작업복 착용실태와 불편사항 및 문제점, 작업복에서 요구되는 기능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업에 적합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적 작업복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어업인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어업인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남성이 약 85%이며, 근무경력은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많았다. 작업복은 상하 분리형을 좋아하며,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착용 작업복에 대한 만족도는 땀투과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선호하는 색상은 무채색이 가장 많고 상하 분리형 스타일과 지퍼 여밈을 좋아하였다. 연령에 따라 작업복 구입 시 고려사항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30대 이하와 40대는 활동성을, 50대는 내구성을, 60대는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연령에 따른 작업복 만족도는 활동성, 압박감, 탈착성, 맞음새, 두께감, 기능성, 보온성, 옷의 무게감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어업용 작업복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Marine Accidents in Fishing Activity Protection Zones and Port and Navigation Zones to Improve Fishing Vessel Security (어선 통항 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활동보호구역과 항만·항행구역의 해양사고 비교분석)

  • Hyundong Kim;Sangwon Park;Young-soo Park;Dae-won Kim;Gokhan Camliyur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2
    • /
    • pp.118-126
    • /
    • 2023
  •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demand for ocean use, the Marine Spatial Planning system was introduced to rationally allocate ocean space, under which fishing activity protection zones have been designated to protect fishery activities and promote fishery resource protection. However, fishing vessels that mainly sail in fishing activity protection zones are exposed to risk, such that they account for about 70% of marine accidents that occur in Korea, Proper risk management is thu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rine accidents in fishing activities protection zones and port and navigation zones to secure the safety of fishing vessels passing within fishing activity protection zones. To this end, the traffic volume in marine use zones was investigated, and marine accidents were investigated by ship type, accident type, tonnage, accident cause, and loss of life. Analysis determined that most of the marine accidents per unit area of each type occurred in port and navigation zones, but overall most marine accidents occurred in fishing activity protection zon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raffic safety management was necessary because many human accidents occurred.

우리나라 풍랑특보와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 비교 (2010-2020년)

  • 강민균;설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21-223
    • /
    • 2021
  • 풍랑특보는 우리나라 부근을 항행하는 선박 및 해상 업무 종사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11년(2010-2020년) 동안 기상청에서 발표한 서해·남해·동해의 앞바다 및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의 풍랑특보와 주요 해양기상부이의 관측자료를 비교·분석하여 풍랑특보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각 해역에 대한 풍랑특보와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를 일별, 월별, 연별로 통계를 내어 연평균, 월평균, 계절별로 비교한 결과, 풍랑특보의 적중률이 전 해역에 걸쳐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상에서의 풍랑특보가 어선의 어업활동, 여객선 운항 및 관광, 해상 레저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해양기상 예·특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for Leading Fisheries Household md Body Corporate (수산 선도어가 및 법인체를 위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Min-A;Jung, Eun-Yi;Park, Ma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97-500
    • /
    • 2000
  • 컴퓨터의 출현과 도입으로 사무자동화 뿐만 아니라 경영 그 자체가 정보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최근 정보시스템 및 통신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계정보시스템은 조직의 중요한 정의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복잡한 현대 조직의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를 지원하고, 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활동에 관심이 있는 다양한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대다수의 영어조합법인의 취약한 경영방식 및 기존의 수작업을 통한 회계 세무 업무를 회계정보시스템을 통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수행한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회계정보시스템과의 차이점은 전문 지식이 없는 어업인들이 쉽게 복식장부를 기재할 수 있고 회계의 업무처리를 간소화시키기 위해서 3전표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어업활동에 필요한 계정과목을 어업인을 위해 최적화시키는데 있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은 어업경영을 위한 자산, 자본, 부채, 수익, 비용의 계정을 통해서 실질적인 재정상태와 경영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 것이다.

  • PDF

전어, 돌돔의 등방향반사강도에 관한 연구

  • 오성우;안장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6-57
    • /
    • 2000
  • 1994년 UN해양법의 발효와 해양인접국들의 배타적경제수역 선포에 따라 어장상실, 조업수역의 축소등으로 인하여 어업생산활동은 축소되고 어업생산량도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자원관리형 어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자원관리형 어업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업생물자원의 보호와 함께 지속적인 최대생산량을 얻기 위해서는 어종별로 그 해역에 존재하는 자원의 생체량 추정 및 그 변동에 대하여 파악하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략)

  • PDF

Korean Policy for Overseas Fisheries (한국(韓國)의 해외어업정책(海外漁業政策))

  • Park, Gyu-Seok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7 no.2
    • /
    • pp.207-216
    • /
    • 1995
  • 1970년대 중반 세계 주요 연안국(沿岸國)들이 배타적(排他的) 어업수역(漁業水域) 또는 경제수역(經濟水域)의 선포를 통하여 해양관할권(海洋管轄權)을 확대할 때까지 한국은 원양어업(遠洋漁業)의 발전과 어획량 증대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 당시 정부의 주요 정책은 재정 지원을 통하여 원양어선(遠洋漁船)의 선복량을 확충하는 것이었지만, 새로운 해양법질서(海洋法秩序)가 도입된 후로는 원양어업(遠洋漁業)에 대한지원 정책을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 당시 한국의 원양어업(遠洋漁業)에 가해진 압박을 타개하기 위하여 연안국(沿岸國)의 규제를 최소화하는 노력과 함께 경제성 있는 대체어장(代替漁場)의 개발에 주력한 결과 성공을 거두었는데, 그것은 바로 수산자원(水産資源) 보유국(保有國)과의 쌍무협정(雙務協定) 체결을 통한 어업의 계속과 더불어 공해어업(公海漁業)으로의 전환이었다. 최근에 한국의 원양어업(遠洋漁業)이 당면하고 있는 현안은 공해어업(公海漁業)에 대한 국제사회(國際社會)의 규제 강화와 더불어 국내 수산물 시장의 개방이라는 내우외환(內憂外患)이 겹친 위기상황(危機狀況)이다. 이러한 난국을 타개함으로써 원양어업(遠洋漁業)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기 위하여 한국정부(韓國政府)는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연안국(沿岸國)과의 협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국제수산기구(國際水産機構)에서의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현재 한국은 14개 연안국(沿岸國)과 쌍무적 어업협정(漁業協定)을 체결하여 기술이전 및 재정 지원을 통한 공동번영(共同繁榮)을 추구하고 있으며, 10개 국제수산기구(國際水産機構)에 가입하여 수산자원(水産資源)의 보존과 해양환경(海洋環境)의 보호에 노력하고 있다. 둘째, 원양어선(遠洋漁船)의 감축과 연근해어업(沿近海漁業) 구조 조정을 통한 합리적인 수산업 체제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즉, 원양어업(遠洋漁業)의 양적 팽창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질적인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안정적인 산업으로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경영의 합리화와 같은 업계 자체의 체질 개선 노력을 지원할 것이다. 셋째, 현대의 해양법질서(海洋法秩序) 하에서 한국원양어업(韓國遠洋漁業)의 활로는 주로 자원보유국(資源保有國)과의 합작사업(合作事業)에서 찾을 수 밖에 없다. 이것이야 말로 연안국(沿岸國)과 원양어업국(遠洋漁業國)에게 공통적으로 이롭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양어업(遠洋漁業)을 해외합작사업(海外合作事業)으로 전환하는 데에 있어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부분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즉, 장래성 있는 사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재정지원(財政支援), 생산된 수산물의 국내시장반입(國內市場搬入)에 대한 특별한 배려, 그리고 기업의 해외투자의욕(海外投資意慾)을 고취시키는 정책의 수행이다. 수산자원(水産資源)은 그 자체가재생산성(再生産性)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보존관리(保存管理)한다면 영속적인 이용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이념은 1982년 유엔 해양법협약(海洋法協約)에서도 최선의 과학적 증거로써 "보존(保存)"과 "이용(利用)"의 조화를 유지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정부(韓國政府)도 그러한 차원의 국제협력(國際協力)에 기꺼이 동참함과 동시에, "투명성(透明性)"과 "책임(責任)"을 이행하는 어업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진행 중이다.

  • PDF

무선수중전화기의 수중음향특성 해석

  • 박문갑;윤갑동;김석계;윤종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8-49
    • /
    • 2000
  • 잠수기 어업 등과 같은 수중 활동에서 대부분의 경우 수중과 수상 간에는 통신수단이 없거나 있어도 효율이 낮은 유선 전화기나 밧줄 등으로 의사 전달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우리 해양 환경에 맞는 무선수중전화기 개발의 기술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