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 애착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2초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 최효신;신영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07-215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D시 소재 K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실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퇴원 일주일 전부터 4번에 걸쳐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통상적인 퇴원교육만 제공하였다. 성과변수로서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아애착점수(F=6.16, p=.005)와 양육자신감 점수(F=16.50, p<.001)가 유의하게 높았고, 양육스트레스 점수는 낮았다(F=5.56, p=.004). 이런 경향은 퇴원 2주후에도 지속되었다. 결론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퇴원을 앞둔 미숙아들의 어머니에게 모아애착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며, 양육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어머니의 애착경험 및 심리적 통제행동과 어머니에 대한 청소년의 애착이 청소년의 심리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Adolescents : Influences of Mothers' Attachment Experience,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 and Adolescents' Attachment)

  • 이지인;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5-189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influences of mothers' attachment experience and separation-anxious psychological control and of adolescents' attachmen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independence. Participants were 302 high school students (106 boys; 196 girls) and their mothers.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were by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1) Mothers' attachment experience with their moth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girl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mothers' separation-anxious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attachment. 2) Adolescent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predicted their emotional and functional psychological independence negatively. 3)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functional independence of boys but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independence of both boys and girls.

  • PDF

어머니의 양육체계와 유아의 애착체계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aregiving System and Child's Attachment System)

  • 유영미;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5-143
    • /
    • 2005
  •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attachment/caregiving system at a dyadic level, and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s of caregiving, maternal caregiving behavior, and child attachment. Seventy-five middle-class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ages 3-4)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a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s of caregiving and maternal caregiving behavior at the secure/insecure and ordered/disordered level. The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s of caregiving and their preschooler's attachment, and between maternal caregiving behavior and their preschooler's attachment at the secure/insecure level were also stro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s of caregiving and their preschooler's attachment was mediated by maternal caregiving behavior.

  • PDF

어머니 애착수준 및 언어통제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 남효정;장경은
    • 아동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43-16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he selected participants comprised 224 infants, aged 24-35 months and their mothers (224) at 25 long day care centers located Goyang-si, Gimpo-si in Gyeonggi-do, Incheon and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Secondly, to assess the relative influences of two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mothers and infants, including infants' age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imperative-oriented verbal controls,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s, and contact seeking all influenced infants'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약손요법이 미숙아 어머니의 애착 및 애착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Yakson Therapy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s in Mother of Preterm Infants)

  • 임혜상;박은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04-2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akson therapy conducted by mother of preterm infants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 Method: A quasi experimental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5. The participants were 30 mothers of preterm infants hospitaliz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15 in the Yakson therapy group and 15 in control group). Yakson therapy consists of three phases: laying a hand, caressing by hand, and laying a hand again taking 5 minutes for each phase. Yakson therapy was provided to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5-minutes 5 times for 15 day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with x2-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maternal attachment (F=5.54, p=.0258). And the attachment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akson therapy can be used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

  • PDF

이중점화기법을 통해 본 남녀 대학생의 '성공/실패'에 대한 암묵적 표상 (A Study of College students'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uccess/failure' by dual-priming task)

  • 조혜자 ;방희정 ;조숙자 ;김현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101-123
    • /
    • 2008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연합된 성공/실패에 대한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어머니/바구니와 성공/실패를 이중점화자극으로 100ms 동안 제시하고 난 뒤, 150ms 후(SOA 250ms)에 수용/거부와 관련된 목표자극(probe)을 제시하고 어의판단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조건의 반응이 통제조건보다 빨랐으며, 수용에 대한 반응이 거부 반응보다 빨랐고, 여자집단의 반응이 남자보다 빨랐다. 연구 2에서는 남녀별로 애착 고집단과 저집단을 나누어, 어머니와 성공/실패를 이중점화시킨 뒤 수용/거부에 대한 어의판단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공/실패와 수용/거부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 성공-수용에 대한 반응은 가장 빨랐고, 실패-수용, 실패-거부, 성공-거부의 순으로 반응이 느려졌다. 한편 남자집단에서는 애착고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자집단에서는 3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여자 애착 고집단에서는 성공-수용, 성공-거부에 대한 반응차이가 크지 않았고, 실패-거부에 대한 반응이 매우 느렸으나, 여자 애착 저집단에서는 성공-수용은 매우 빠른데 비해 성공-거부는 매우 느렸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긍정성 및 성별, 애착유형에 따라 다른 성공/실패 도식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 PDF

반응성 애착 장애아(反應性 愛着 障碍兒)와 정상아의 의사소통 및 모자 상호작용 유형 비교연구 (COMPARISON OF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REACTIVE ATTACHMENT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 이혜련;최영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18-132
    • /
    • 1994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 장애아와 정상아의 의사소통 및 모자 상호작용 유형을 비교하기 위해 반응성 애착 장애아와 정상아 각 12명씩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가 참석했다. 어머니와 아동은 이혜련 신경정신과 의원의 놀이치료실에 내원하여 가정에서 하듯이 놀이하라는 지시를 받고 15분간의 자유놀이를 하였고 이를 녹화하였다. 녹화된 테이프를 전사자료로 작성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상호작용 유형은 시간 표집 방법으로 분석하여 빈도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는 t-검증 ,상관계수로 통계처리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두 집단 아동의 비사소통 유형에서는 '수용적 발어', '정보요구', '기술', '자기기술'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2) 두 집단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에서는 '수용적 발어', '명명하기'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3) 두 집단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반응성 애착 장애아와 그들의 어머니 모두가 먼저 상호작용을시작하는 빈도가 적었고, 아동의 혼자놀이는 더 많았으며 혼자놀이 시의 어머니의 반응은 통제와 무반응이 정상아 집단보다 많았다. 4) 두 집단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던 항목들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아동의 '수용적 발어', '정보요구', '기술'. '자기기술'은 '상호작용시작'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혼자놀이', '통제', '무반응'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