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 박물관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4초

국립등대박물관 스토리텔링 체험전시 연출 사례연구 -<등대와 과학>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Storytelling Experiential Exhibition at the National Lighthouse Museum)

  • 김송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2-165
    • /
    • 2023
  •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에 위치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관 2층에 위치한 <등대와 과학> 상설전시의 전시연출 방향을 간략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해당 전시는 박물관 주 관람층인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단위의 관람객을 타겟으로 하고 자연채광을 최대한 살리고 바다 풍경을 관람할수 있는 통창과 포토존이 어우러지는 공간을 구성했다. 전시콘텐츠는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따라 동선을 유도하도록 스토리텔링했으며 전시방식은 항로표지에 적용된 과학원리를 관람객이 흥미롭게 체험할수 있도록 체험형 전시로 연출했다.

  • PDF

어린이박물관 전시공간의 접근도 향상을 위한 이미지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for hight accessibility in Museum for Children)

  • 송정화;임채진;유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29
    • /
    • 2011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model of Albert Mehrabian & JAMES a. Russ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a method of planning a spatial image improving the degree of access that is audience's dependent response to a display space image of a museum for children. A museum for children is the place for education with experience and its main audience is children and parents. It indicates with a basis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model that a designer needs to consider the emotional response of children and parents in designing the space. The space design starts from a plan of space image that is delivered to audience through the five senses. Image on the space means visual image as people acquire information mostly through the sense of sight. Visual image consists of shape, the feel of a material, and color t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sensibility of audience. Therefore, firstly, this research measures the degree of audience's approach and avoidence on image of display space.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rovement method by analyzing differences on the access of each space and audience based on visual image. Secondly, four factors a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adjective survey result.

국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System for Korea Children's Museum)

  • 유진;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53
    • /
    • 2007
  • Children's museum has roles of the characterized place for children as well as the museum for education. Therefore, specific color selection especially for childr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This study is the short investigation on various interior color systems of children's museums in Korea. In case of Children's Museum in National Museum of Korea, each exhibition area is apparently divided by adopting colors in accord with the subject of each space. Middle color in that museum generally gives stability, and clear color and accent color give better perception and vitality Children's folk Museum has adopted Korean traditional colors, O-Bang Colors, which have indicated Korean tradition for ages. All sections in Incheon Children's Museum are spatially divided, but similar colors of ceiling, wall, and floor give boring atmosphere. Since original colors of furniture in Science section distract attraction of children, proper color selection should be required for better reaction from children.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ing for detailed investigation in color system of children's museum and the proper interior color planning of the next children's museums with their main purpose for children in the future.

  • PDF

피아제 인지발달단계에 따른 어린이 박물관 선호전시체험과 어린이의 심리특성에 맞춘 관람동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s of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nalysis of Preferred Experience of Children's Museum according to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 양혜진;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7-45
    • /
    • 2010
  • Children likes to play and learn by playing at anywhere as a psychological trait. Children's museum is designed for limited age of 'children,' they learn more actively by playing at the museum with interactive display. In this paper, we analyze Movement of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nalysis of Preferred Experience of Children's Museum according to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It is significant study to investigate user's needs space proposal by grasping user's mentality. After itinerary tracking, we found children's preferred and non-preferred experience displays and as a result, we divided children's Museums into three types, M museum is represented by preoperational period, called 'Go around play' type ; Y museum is represented by 'concrete operational period', called 'Smart road play' type ; and H museum is represented by 'formal operational period' called 'Open search play' type. The conclusions are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depending on the age discrimin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play, and preferred plays are different by children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children playing in the children's museum by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aspects will have to be designed. Efficient for viewing by age should be different on the basis. This study has shown that, when planning a children's museum, Planners should discriminate the movements of children and analysis of preferred experience of children's museum according to three museum types friendly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가야 갑주를 활용한 박물관 어린이 체험용 갑주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mor Design for Children's Experience with Gaya Armor in Museums)

  • 조현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5호
    • /
    • pp.56-68
    • /
    • 2014
  • The study is about developing of armor design for the children's experience with Gaya armor in museum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bine the culture of Korean traditional armor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 relic of Gaya a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for children's experience. The current problems of Gaya armor for the children's experience are discrepancies in the material,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traditional Gaya armor in regards to the aspects of the education and; unsuitability for safety and operation of the outfit in regards to the aspects of the function.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10 different styles of armor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aspects and functional aspects, and this paper confirms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Korean armor by reaffirmation to artistic possibilities and merchantability of Gaya armor.

놀이개념으로 접근한 어린이과학관 전시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lay of children science museum approaching to playing concept)

  • 최미옥;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1-85
    • /
    • 2004
  • It became new social interest for children to have their own appropriate physical, mental, social environment as one independent identity, In these social atmosphere, new design method and standard of children's residence, education, playing environment which can fill their desire. When home and school are the first places to meet the world and learn, museum and science hall are the representing places to provid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especially to preschoolers, they are the prior education system. it is the most important these science halls to give children potential familiarity of science rather than direct knowledge. Also these places should be stepping stones of the process of intellectual growth as foundation stones for future science education. On this research i will provide a direction to space planning of children's science hall, extended to children' museum studying display producing of playing conception, the necessary element of children's physical, mental, social behavior development process.

  • PDF

History of Planetarium in Korea

  • Park, Soonchang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71.3-71.3
    • /
    • 2017
  • Zeiss사에 의해 고안되어 제작된 최초의 근대식 천체투영기(Planetarium)는 1923년 독일박물관에 설치되었다. 세계 최초의 천체투영관은 큰 이목을 끌었고, 이 소식은 전세계로 전해져 유럽의 퍼지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는 미국의 갑부들이 자기 도시에 천체투영관을 설립하였다. 우리나라는 재일동포 사업가 이현수에게 일본 GOTO사의 천체투영기를 기증받아 1967년 4월 29일 광화문 전화국 옥상에 최초의 천체투영관이 개관하였다. 이 투영기는 1970년 남산어린이회관으로 이전되었다가, 1975년 광진구에 있는 어린이회관으로 옮긴 후 2005년 퇴역하였다. 2017년은 천체투영관이 도입된 지 50주년이 해로, 2017년 10월 현재 우리나라에 88곳의 천체투영관이 운영중이며 연 200만명이 방문하는 중요한 천문교육시설이 되었다.

  • PDF

철도폐선 자원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Efficient Utilization of Disused Railroads Resources)

  • 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02
    • /
    • 2016
  • 선행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안동시 철도 폐선부지의 활용 방안을 분석한 결과 실개천 조성, 철도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철도 역사박물관, 철도폐선을 활용한 레저시설, 철도 객차를 활용한 호텔 및 편의시설, 기존 역사를 활용한 쇼핑몰, 임청각 복원, 어린이 기차공원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 PDF

오감 정보처리 기술을 이용한 여행체험 증강현실 설계 (A Design of the Tour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using Five Sense Information Technology)

  • 정경희;홍성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198-201
    • /
    • 2011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과 컴퓨팅간의 응용 융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증강 현실 기술 분야는 인간이 보고 느끼는 현실감을 극대화 하여 인간의 실세계를 가상세계로 아주 잘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으며 온도나 감촉을 느끼고, 향기를 맡는 등 실제 체감하는 것과 똑같이 여행할 수 있도록 오감인식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여행체험 증강 현실이 가능한 설계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는 여행하기 위하여 많은 돈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원하는 지역을 3차원 전용체험관에서 여행할 수 있으며, 어린이 혹은 청소년들이 세계적 박물관을 관람할 경우 현실보다 더 실재감 있고, 현실보다 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과학관 중 천문과학관이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Astronomical Science Museum among the Science Museum in Korea)

  • Do, Hee-Jin;Chang, Heon-Young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59.4-60
    • /
    • 2015
  • "과학관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등록된 전국의 국 공 사립 과학관은 2012년을 기점으로 100개를 넘었고 현재는 170여개 기관이 이른다. 해당 법률에서 규정하는 과학관은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과학에 대한 탐구심 함양, 과학문화의 대중화 등 과학문화 확산의 한 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과학관은 등록 요건에 따라 '종합과학관'과 '전문과학관'으로 분류를 하며 특히 전문과학관의 경우 과학의 여러 분야 중 한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 맞는 전시물과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천문과 우주를 테마로 한 과학관은 2009년 세계 천문의해를 기점으로 건립이 가속화 되었고 그 비중은 전체 과학관 중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분류가 미흡하고 해당 기관들 상호간에 제대로 된 협력체계가 미비한 현실이다. 이와 유사한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의 경우 과학관과 마찬가지로 해당 학문에 대한 홍보와 대중화를 위해 관련 법률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전공자들에 대한 별도의 자격제도와 해당 기관에서의 지위를 부여받은 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 법률의 비교를 통하여 각 기관들의 설립목적과 운영취지, 자격제도 등을 알아보고 천문우주 과학전공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제도 도입 및 과학관 건립시 그들을 채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