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린이안전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Safety Education for Workers in Children's Facilities) (어린이안전교육 (어린이이용시설종사자 안전교육))

  • Kim, Da-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93-94
    • /
    • 2022
  • 어린이가 위험에 노출된 경우 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어린이 안전에 관한 「어린이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에 어린이이용시설종사자는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하는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기관에서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매년 이수하여야 한다. 한국어린이안전재단은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인력 및 시설을 확보하여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대응한다.

  • PDF

A Study of the safety on the kid's furniture (어린이 가구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 Kim, Gyeong-Hui;Gang, S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295-300
    • /
    • 2013
  • 어린이 가구는 어른 가구의 축소가 아닌 새로운 제품 분야이다. 이미 많은 업체에서 어린이 가구를 출시하는데 대체적으로 안전성을 이유로 고가의 제품이다. 지금 사회의 가구 구성의 다양화로 인한 어린이가구가 한 제품의 분야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어린이 가구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졌으며 실용성과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이는 어린이들이 가구를 놀이용으로 신체적 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구의 특징으로 어린이들의 피부에 접촉이 잦고 가구의 재질에 따른 촉감 등에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어린이가 어린이가구에 부딪히는 느낌, 이용성, 재미와도 연결되어 감성을 키울 수 있다고 본다. 어린이들은 표현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어린이가구의 안전성에 보다 더 주의해야한다고 여긴다. 즉 어린이가구의 안전성을 추구는 실제적 구매욕구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인 부모들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하가다. 어린이 가구의 시장은 중국이나 동남아에서 제조되어 한국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위해 재질과 실용성을 가미한 어린이 가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f the safety on the Kid's toy (어린이 장난감의 안전에 관한 연구)

  • Kim, Gyeong-Hui;Gang, S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57-662
    • /
    • 2011
  • 어린이 장난감은 과거보다 더 안전성의 필요가 되고 있다. 현대 사회의 가족변화로 인한 구성원으로 인하여 어린이가 귀한 존재가 입장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어린이 용구에 대한 관심의 집중도가 높아졌으며 장난감에 대한 인식 변화와 안전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도 많이 커졌다. 이는 어린이들이 장난감을 가장 많이 신체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난감의 특성상 어린이, 특히 유아들이지만 입에 물거나 피부에 문지르고 소리나는 것에 민감하고 장난감의 재질에 따른 향, 촉감 등에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어린이의 처음 부딪히는 감각의 느낌과도 연결되어 감각의 기능에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어린이들의 연령층에 따라 표현력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므로 어린이 장난감의 안전성에 어른들이 주의해야할 이유라고 여긴다. 즉 어린이 장난감의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제2의 소비자인 부모, 친척, 친지, 어린이와 연관된 직종의 어른들일 것이다. 장난감의 시장은 서구보다 발전되지 않았지만 근래에 들어 어린이 장난감은 중국이나 동남아에서 제조되어 한국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실질적 노력 추구가 더욱 더 필요하다.

  • PDF

Special Theme - 어린이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방향

  • Gang, Gyeong-Hwa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8
    • /
    • pp.6-10
    • /
    • 2012
  • 가을철은 기온이 선선해지면서 사람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어린이들도 학교나 가정 등, 실내외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쉬워진다. 특히 어린이들은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주의력과 판단력 등 인지능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한 까닭에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이 미숙하다. 띠라서 상시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위험요소들에 대한 주의와 대처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어린이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 10월, 이번호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교육의 중요성과 각종 안전사고 사례, 예방과 응급처치 등에 대한 특집을 마련한다.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olicy Targe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Measure - Focusing on Children, Guardians, and Workers in Children's Facilities - (어린이 안전대책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정책대상자 인식조사 연구 - 어린이, 보호자,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 중심으로 -)

  • ChangYoung Song;WonHoi K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869-88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measures. Method: The current status of child safety accidents was investigated and implications were deduced by analyzing major child safety measures by government department in the past. In addition,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people including children, guardians,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 who are subject to child safety policies. Result: Regarding the safety of children's living space(environment), 35.3% of guardians answered that more than 1/3 of them were not safe. Both guardians(95.3%)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89%) answered that there was the highest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second risk factor was parents(carelessness of workers at children's facilities)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careless of guardians at home). Looking at the risks by place, "road and sidewalk" was the most dangerous place and for child safety, guardians(64.3%) and workers (78.3%) both said that the role of "parent" is the most important. For improvements to prevent child safety accidents, the response rate of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road traffic facilities" is the most necessary with 75.8% for guardians and 65% for child use facilities. Conclusion: The reinforcement measure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sure the continuity of child safety measures, it should be operated effectively so that those subjec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Child Safety, which took effect in August 2022, can feel it.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children's policy targets, promotion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safety field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safety infrastructure for each field to secure child safety.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that can ensure safety for children themselves and to come up with detailed measures to make safety education for parents(guardians) mandatory.

기고문 - 어린이는 제품안전의 아버지다

  • 한국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246
    • /
    • pp.14-17
    • /
    • 2014
  • 우리의 모습은 아이들에게 투영되고, 이어진다. 안전을 위해 어린이들을 제품으로부터 보호하는 노력은 우리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뛰어놀 수 있어야 우리도 안전하고 미래도 행복할 수 있다. 이번 4월호에서는 미국, 호주, 일본, 캐나다의 제품안전정책을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Solution of School Zone Problems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

  • 신동철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2-322
    • /
    • 1998
  • 본 논문은 학교 권역의 도로 및 교통요건을 조사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기준의 적용 실태와 문제점 등을 분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의 조성기준을 적정화하고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어린이 보호구역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이 지정·관리기준 및 외국의 School Zone 사례를 살펴보았다. 현재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광주시 남구의 14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별 도로 및 교통현황과 함께 적용되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범위 및 교통규제, 중요안전 시설물의 설치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 연도주민의 설문을 통해 보행의 안전성과 교통사고의 위험성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12m 이하의 이면도로가 전체대상 통학로의 64.6%에 해당되며, 2차로 이상의 도로는 35.4%로서 이면도로에 접하는 초등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규제방안으로 시행되고 잇는 것은 8개 초등학교의 시차별 주차규제와 4개 초등학교의 총 10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설문을 통해 보행환경의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차량의 속도와 주차차량에 의한 통행 방해나 사고위험을 가장 많이 인식함에 따라 그에 따른 안전시설의 추가 설치가 뒤따라야 하겠다. 이러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나 보행자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유지 및 관리가 중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ws Related to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규의 개선방향)

  • 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2
    • /
    • pp.47-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aws related to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LRSMCPF) including the "Safety Supervision Law of Children's Play Facilities(SSLCPF)" and the "Quality Management and Industrial Products Safety Management Law(QMIPSAL)",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by 4 phases-development of products, landscape design,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nsidering landscape project procedure-and to propose a revision of the la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arious LRSMCPF, SSLCPF and QMIPSAL, as basic law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regarding the features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and play spaces, which are both comparatively varied and complex. 2. In development of products, the one-year duration of safety certification based on QMIPSAL was too short and the procedure for safety certification were redundant in both products and plants inspection, and export and import product inspection. 3. The field inspection of construction sites based on SSLCPF was repeated with quality control and a consultation of rules based on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Law". 4. There are not enough safety inspection organizations regarding children's play facilities to meet the demand of safety certification, safety inspection, and safety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5. For children's play safety,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play connected with the phases is needed to ensure safe play equipment, to construct safe playgrounds, and to manage play facilities. The criteria, regulations, and procedure regarding safety certification and safety inspection of play facilities must be revised efficiently and standardized to a global level as well. To improve the system and contents of safety certification and inspection, authorization of safety inspection organizations based on landscape architecture is needed.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concretely analyze in detail the laws, enforcement decrees and rules, and ordinances that consid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professional landscape architects, inspectors, and law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