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병원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8초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Panel의 진단적 유용성 평가: 90일 미만 발열영아에서의 예비 연구 (Diagnostic Evaluation of the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Panel: A Pilot Study Includi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90 Days)

  • 김경민;박지영;박경운;손영주;최윤영;한미선;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92-100
    • /
    • 2021
  • 목적: 중추신경계 감염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 신속한 원인 병원체의 확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열이 있는 영아의 뇌척수액 검체에서 원인 병원체 검출을 위한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ME) panel 검사 방법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한 90일 미만의 영아로부터 채취한 뇌척수액으로 기존검사(세균 배양, Xpert® enterovirus assay, herpes simplex virus-1 and -2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한 후 -7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된 검체를 대상으로 BioFire® ME panel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72개 검체(원인 병원체가 검출된 24개와 검출되지 않은 48개)가 포함되었다. BioFire® ME panel 검사 결과, 기존검사로 원인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은 48개의 검체 중 41개(85.4%)는 음성이었고 원인 병원체가 검출된 24개 검체 중 22개(91.7%)가 동일한 결과(enterovirus 19개, Streptococcus agalactiae 2개, Streptococcus pneumoniae 1개)를 보여 전체 일치율은 87.5% (63/72)였다. 병원체가 기존검사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BioFire® ME panel에서 검출된 7개의 검체 중 6개에서 human parechovirus (HPeV)가 검출되었다. 결론: 열이 있는 90일 미만 영아에서 BioFire® ME panel 검사법은 원인 병원체가 밝혀진 기존검사 결과와는 비교적 높은 일치도를 보이며, HPeV를 추가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향후, 소아청소년 진료 영역에서 BioFire® ME panel 검사법을 적용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어린이병원 신규간호사를 위한 간호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ediatric nurs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competency for newly graduated nurses in a children's hospital)

  • 신혜경;김효영;김현정;김민경;신현주;이후연;한지희;이혜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9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tandardized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nursing competency on newly graduated nurses in a children's hospital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a pediatric nurse education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by evaluating the clinical competency and field adaptation. Methods: In the first step,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DIE) model. As a second step,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a single group repeat measures desig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competency and field adaptation over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Additionally, 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subjective data on the effect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the field adaptation of newly graduated nurses in a children's hospital. The categories deriv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getting special guidance," "better care," "becoming a nurse at a children's hospital" and "winning together."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enhances the clinical competency of new nurses in children's hospitals. In addition, it provided the necessary data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ew nurses, help them adapt effectively, and establish appropriate interventions.

어린이보호포장제도 도입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151호
    • /
    • pp.125-146
    • /
    • 2005
  • 세정제, 접착제 등 각종 화학생활용품은 음용하거나 흡입할 경우 중독 등의 위해가 우려되며, 특히 어린이의 안전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2002년 국민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중독사고로 인한 병원 진료건수는 연간 8,300여건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망자수도 연간 8.8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서울 등 5대 도시에 거주하는 629가구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13.2%가 중독사고 경험, 91%가 "어린이보호포장" 도입을 희망하고 있는 바, 지난 달 22일부터 어린이보호포장이 의무도입됐다. 본고에서는 어린이보호포장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법안에 대해 살펴본다.

  • PDF

어린이 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어린이병원 POE 연구 - 어린이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OE by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Child inpatients in a Hospital - Focused on the Caregivers of Child Inpatients -)

  • 하지민;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152-160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high quality of healthcare environments for a user-oriented children's hospital by identifying the user needs according to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especially the hospitalization period. Caregivers, mostly parents of children in a children's hospital,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user's demands, satisfaction and hospital environment assessment were measured. A total of 10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SPSS WIN 18.0 Version softwar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hospitalization period of the child (less than 7 days, 7-20 days, and more than 21 days). 2)When the patients stayed longer in the hospital, their satisfaction was lower and their demands were higher. The long-term group required a more spacious bathroom for the child in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s well as sufficient individual storage spac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length of stay. 3)The longer they were hospitalized, the more negative they evaluated the hospital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i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at impact the user's satisfaction and dema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actors such as territoriality, privacy, accessability, and aesthetic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long-term child in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장기적인 임상 경과에 대한 단일 기관 경험 (Long-term Clinical Consequences in Patients with Urea Cycle Disorders in Korea: A Single-center Experience)

  • 이준;김민지;유석동;윤주영;김유미;전종근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21
  • 목적: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선천성 대사이상질환으로, 요소 회로 각 단계의 특정 효소의 결핍에 따라 다양한 질환과 임상적 증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다양한 종류에 따른 장기적 임상 경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등록된 22명의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과 생화학적, 유전학적 검사 결과들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진단된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OTCD 10명(45.5%), ASSD 6명(27.3%), CPS1D 3명, HHHS 2명 ARG1D 1명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시 평균연령은 32.7±66.2개월(범위 0.1-228.0개월) 이었다.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 8명(36.4%)에서 성장 장애가 동반되었다. 또한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11명(50%)에서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관찰되었다. 분자유전학적 분석 결과 새로운 돌연변이 14개를 포함해 37개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 유형(과오돌연변이 14개, 넌센스 6개, 결실변이 6개, 스플라이싱변이 6개, 결실삽입변이 3개, 삽입변이 1개, 중복변이 1개)이 확인됐다. 진행성 성장 장애와 나쁜 신경학적 결과는 혈장 이소루이신과 루이신 농도와 각각 관련이 있었다. 결론: 단백의 제한과 같은 조치나 과다한 질소를 제거하는 약제의 복용에도 불구하고,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예후는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가지사슬아미노산의 보충이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성장부전과, 대사성 위기 또는 신경학적 예후에 효과를 보일지에 관해서는 전향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어린이건강관리 2-겨울철의 어린이 감기

  • 이익준
    • 건강소식
    • /
    • 제11권2호통권99호
    • /
    • pp.19-22
    • /
    • 1987
  • 감기를 앓는 어린아이들이 병원을 방문 했을때 기침약을 주는데 이는 세균을 죽이거나 감기라는 병을 근절시키는 근본적인 약은 아닙니다. 다만 기관지의 간질간질한 기운을 없애고, 기침의 횟수를 줄게하여 가래가 부드럽게 올라오도록 도움을 줄 뿐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