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류 양식장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8초

양식장용 자동 먹이공급시스템 설계 (Design of Auto Feed Supply System for Fish Farm)

  • 오진석;조관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09-713
    • /
    • 2009
  • 근해의 수질오염은 수산양식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해에서 외해로 양식장이 이동하고 있다. 외해 양식장의 구축을 위해서는 자동먹이 공급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해상의 양식장에서의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어류는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를 먹는 양이 변화하며, 해상 양식장의 경우 육상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본 논문은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량을 계산하고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모형 실험을 통하여 먹이 공급 장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넙치육상양식장의 사료투여 후 경시적 수질변화

  • 강봉조;오덕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7-198
    • /
    • 2000
  • 양식어류의 질병발생은 병원생물에 의한 질병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있으나, 양식산업의 발달과 수적인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양식을 위해서는 앞으로 수질환경 측면도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양식장의 유입수와 유출수의 수질특성 및 양식장의 순환수처리 등에 대해서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조등, 1998 ; 서등 1997), 사료투여 후 짧은 시간동안의 수질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중략)

  • PDF

해산 어류 양식장 가두리의 DO수지 -곤리도 방어 양식장의 경우- (Dissolved Oxygen Budget in Floating Net Cage of Fish Farm at the Coastal Area -In case of yellow tail farm in Konli-Do-)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4
    • /
    • 1988
  • 본 연구는 1987년 9월 8일, 9일 양일간에 걸쳐 24시간 동안 곤리도 금성수산 방어 가두리 양식장에서 해산어류 양식장${\cdot}$가두리의 방양한도를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용존산소 수지를 해석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두리에 수용된 당년생 방어 2,800kg이 1일간 소비하는 산소량은 $3.09g/m^3$였고, 가두리 안의 수체에 의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은 $1.24g/m^2{\cdot}day$였으며,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생산공급된 산소량과 대기로 부터 해수중으로 녹아 들어간 산소량의 합계는 수중 유기물의 분해와 플랑크톤의 호흡을 포함하는 수조자체의 산소소비량의 $43\%$를 감당하는 수준이었고, 그 나머지 $57\%$와 사육어가 소비하는 다량의 산소는 가두리 안밖으로 교류하는 해수유동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었다. 이 어장의 가두리에 수용할 어체량은 해수교환율에 의해 결정되는 듯이 보이며, 어장내의 조류에 대한 가두리 배치방식에 따라 해수교환율이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가두리마다의 해수유통에 따라 수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SinGAN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넙치 질병 이미지 증강 (Image Augmentation of Paralichthys Olivaceus Disease Using SinGAN Deep Learning Model)

  • 손현승;최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22-330
    • /
    • 2021
  • 수산 양식장에서 어류 질병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밀폐된 공간 안에서 확산하기 때문에 집단 폐사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런 이유로 질병의 조기 발견은 양식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양식장에서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초기에 병이 든 어류를 자동식별이 가능한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딥러닝 기반의 어류 질병 자동식별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어류의 질병 이미지가 충분하지 않아 객체 식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질병 자동식별 예측을 위한 질병 이미지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inGAN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정상 이미지와 질병 이미지를 합성해 다양한 어류 질병 이미지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넙치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3가지 질병 스쿠티카병, 비브리오증, 림포시스티스에 대해서 SinGAN 기반으로 질병 이미지를 증강한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 정상 이미지 11장에 각 질병 패턴 10가지를 합성하여서 스쿠티카병 110장, 비브리오증 110장, 림포시스티스 110장으로 총 330장을 만들었고 이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4배수 하여 1,320장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다.

양식 해수 어류에서 분리한 Vibrio harveyi이 특성

  • 이창훈;김수미;원경이;한현자;김도형;박수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51-452
    • /
    • 2000
  • 1999년 여름철 우리 나라의 몇몇 해수 어류 양식장과 종묘 배양장에서 Vibrio harveyi가 원인균으로 생각되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어종별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넙치의 탈장, 복부팽만, 장충혈, 장액 삼출 및 간출혈과 조피볼락의 체표 궤양 및 간울혈을 들 수 있었으며 같은 시기에 감염증을 나타낸 turbot에서는 체표 출혈과 장출혈이 특징적인 증상이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넙치의 병징은 에드와드병으로 추정되기 쉬운 특징이 있기 때문인지 각 양어장에서는 간단히 에드와드병으로 진단하고 그에 대한 치료가 실시되고 있었으나 치료 효과가 비교적 낮아서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중략)

  • PDF

활어운반 스트레스에 대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와 큰민어(Nibea japonica)의 생리적 반응

  • 허준욱;장영진;문승현;이정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4-275
    • /
    • 2000
  • 집약적인 양식에서는 부적절한 수질과 영양, 고밀도 사육으로 인해 최적 환경하에서 사육되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핸들링, 가두기, 수송 및 질병처리 등은 어류에게 여러가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 요인들은 양식장의 어류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략)

  • PDF

넙치 및 조피볼락에 있어서 저오염 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최세민;김강웅;배승철;이병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9-300
    • /
    • 2001
  • 양식장의 궁극적인 오염은 섭취되지 않은 사료와 어류에 의해 소화되지 않은 과잉의 영양소들이 배설물로 수증에 용해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킨다. 특히 수질오염의 주원인은 인과 질소이므로 이러한 영양소의 이용률 증대를 통한사료의 질적 개선을 이루어야만 저오염 사료개발이 가능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어류양식산업이 확대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넙치에 있어서 인요구량과 인축적률, 조피볼락에 있어서 단백질 및 인소화율 실험에 대한 재검정을 통해 저오염 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스쿠티카섬모충에 감염된 자주복 Takifugu rubripes 기관포직의 병리학적 현상

  • 강법세;나오수;이영돈;이정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40-541
    • /
    • 2001
  • 제주도 해산어류의 양식은 대부분 육상 양식수조를 이용하여 사육하고 있다. 좋은 입지적 조건과 연중수온 변동폭이 적고 오염원으로 부터 차단된 지하해수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생산을 하고 있으나, 최근에 들어 단일 어종에만 치우친 넙치의 생산에 대한 우려로 일부 업체에서는 경제성이 높은 능성어류나 복어류에 대한 연구로 품종 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국내의 자주복 양식은 일부 양식장에서 일본으로부터 수정란을 도입하여 종묘생산과 양성을 실시하고 있다. (중략)

  • PDF

여수 돌산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증조성 및 양적변동

  • 한경호;신상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67-568
    • /
    • 2001
  • 여수 돌산도 연안은 자원학적ㆍ해양학적인 특색에 의해서 오래전부터 해양생물들이 산란ㆍ서식장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생물들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는 곳이다. 최근 급진적인 산업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다량유입으로 유입되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연안에 밀집된 가두리 양식장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우리나라 정치망 어장에 출현하는 어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소형 정치망 자료에 의한 천수만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및 양적 변동 (이ㆍ석, 1984), 경북 연안의 정치망 업(서 등, 1986)과 경북 영일만 영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한 등, 1997)등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