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관절 전후방향 검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디지털 방사선검사 시스템에서 어깨관절 전후방향 검사 시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 저감화를 위한 적절한 조사야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Collimation Size for Dose Reduction in the Thyroid and Breast during Shoulder Anteroposterior Projection with Digital Radiography Systems)

  • 이상빈;김한용;주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39-44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방사선 검사 시스템(digital radiography system; DR)에서 어깨관절 전후방향 검사(shoulder anteroposterior projection; shoulder AP) 시 조사야 크기를 조절하여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 관련 인자와 노출지수를 측정 및 비교하고, 적절한 조사야 크기를 제시하는 것이다. 흉부팬텀을 사용하여 갑상선과 유방 위치에 검출기 소자를 부착 후, 조사야 크기를 17"×17", 12"×10", 10"×8", 8"×8"의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입사표면선량(entrance surface dose; ESD), 면적선량(dose area product; DAP), 입사피부선량(entrance skin exposure; ESE), 노출지수(exposure index; EI)를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DR에서 shoulder AP 검사 시 조사야 크기를 17"×17"에서 8"×8"로 변경하였을 경우 갑상선과 유방의 ESD는 각각 94.30%, 99.00%, DAP는 72.12% 감소하였다. 또한, 표준 조사야 크기(12"×10")에서 조사야 크기를 8"×8"로 변경하였을 때, ESD는 갑상선의 경우 94.28%, 유방은 60.56%, DAP는 40.95% 감소하였다. 하지만, ESE와 EI는 조사야 크기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DR 시스템에서 shoulder AP 검사 시 8"×8"의 조사야를 적용한다면, 갑상선과 유방 같은 방사선민감장기의 방사선 노출을 저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깨관절의 접시오목을 나타내는 Grashey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Grashey Method Viewing the Glenohumeral(shoulder) Joint)

  • 이재섭;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31-335
    • /
    • 2015
  •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Glenohumeral joint's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한 몸통 회전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0명(남:13명, 여:7명)을 대상으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영상의 판단을 위하여 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사 2명(경력 15년 이상자)이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Glenohumeral joint's 분리 정도의 점수를 0점은 '분리 안 됨', 1점은 '불량', 2점은 '보통', 3점은 '양호'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몸통 회전 각도를 $30^{\circ}$ 인 영상은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겹쳐서 나타났고, $35^{\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약간 겹쳐서 나타났고, $40^{\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의 관절강이 가장 겹침이 적게 나타났고, $45^{\circ}$ 인 영상에서도 겹침 정도가 많았다. 각 영상의 평가 점수는 $30^{\circ}$$0.40{\pm}0.499$, $35^{\circ}$$1.34{\pm}0.657$, $40^{\circ}$$1.84{\pm}0.573$, $45^{\circ}$$0.76{\pm}0.649$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선 자세에서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기 위한 자세에서 환자 몸통을 $40^{\circ}$ 검사 반대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하였을 경우 우리는 가장 양호한 접시오목(Glenoid fossa)를 나타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