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치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Vascular plants of Ganmu-bong(Inje, Gangwon)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 일원 간무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Bak, Gippeum;Park, Jinsun;Hwang, Hee-Suk;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Song, Jin-Heon;Yoo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2-72
    • /
    • 2019
  • 간무봉(555.8m)은 강원도 인제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으로 대부분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에 봉화산(874.4m), 북동쪽에 기룡산(940.4m)과 이어진다. 현재까지 간무봉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 이력은 없었으나, DMZ 일원에 위치하는 산이기 때문에 DMZ의 식물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보전하고 탐색하는 의미가 있다. 현지조사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수행하였다. 간무봉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형태였으며, 조사 결과 관속식물은 73과 175속 211종 3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4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양치식물은 고비, 고사리삼, 십자고사리, 퍼진고사리 4분류군이고, 나자식물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2분류군, 피자식물은 노랑제비꽃, 은방울꽃, 꽃향유 등 205분류군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494분류군(국립수목원, 2016)의 5.45%에 해당한다. 간무봉에서 확인한 특산식물은 진범, 할미밀망,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등 6 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미치광이풀(LC), 말나리(LC) 2 분류군 이외에 VU 이상에 해당하는 희귀식물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침입외래식물(국립수목원, 2016)의 경우 미국자리공, 수박풀, 미국쑥부쟁이, 단풍잎돼지풀 등 17 분류군이었다. 간무봉 주변에는 경작지, 군부대 훈련장소 등이 있으며, 서쪽 사면은 이미 벌목이 많이 된 상태이며, 북동쪽도 마을과 더불어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미 유입된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종에 의한 변화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Flora of Three Eastern Mountains(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of Paroho Lake in Yanggu-gun, Korea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 Song, Jin-Heon;Shin, Hyun-Tak;Yun, Ho-Geun;Kim, Sang-J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1
    • /
    • pp.1-23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lora at Mt. susdolbon(508m), Mt. seongjubong (625.3m), and Mt. sulibong(596.2m), located in Yanggu-gun, Gangwon-do. A total of 403 taxa, including 6 forms, 43 varieties, 4 subspecies, 350 species, 255 genera, and 8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hree mountain areas. 18 taxa from 5 families of ferns, 3 taxa from 1 family of gymnosperms, and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02 taxa from 69 families of the dicotyledonous plants were identified. The remarkable plants included 11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Aconitum pseudolaeve, Clematis trichotoma, Echinosophora koreensis, Vicia chosenensis, Salvia chanryoenica,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including Echinosophora koreensis as endangered species (EC), Cimicifuga heracleifolia, Epimedium koreanum, and Lilium cernuum. The Least Concern species (LC) were 13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Exochorda serratifoli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and Trigonotis icuma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8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Amorpha fruticos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pratense, Trifolium repens, Oxalis dillenii, Euphorbia supina, and Oenothera biennis, accounting for 6.9 percent of the 403 taxa of the surveyed plants.

Vascular Plant Diversity of Sambong and Jaung Mountains in Paju City, Border Area of the Korean DMZ (DMZ접경지역에 위치한 파주시 삼봉산·자웅산 일대의 관속식물 다양성)

  • Song, Jin-Heon;Byun, Kyung-Ryul;Gil, Hee-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1
    • /
    • pp.30-55
    • /
    • 2022
  • This study conducted a flora survey in the areas of Mt. Sambong (282m) and Mt. Jaung (263m), located in Paju-si, Gyeonggi-do. A total of 434 taxa, including 6 forms, 34 varieties, 11 subspecies, 383 species, 271 genera, and 9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wo mountain areas. The ferns were identified as 24 taxa from 10 families, the gymnosperms as 8 taxa from 2 families,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22 taxa from 73 families, and the monocotyledonous plants as 80 taxa from 9 families. Five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and Hemerocallis hakuunensi, were identified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Eight taxa, including Cimicifuga heracleifolia, Tylophora floribunda, and Iris minutiaurea as Vulnerable species, andAristolochia contort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Lilium distichum, andArisaema heterophyllumas Least Concern species, were designa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Silene armeria,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Magnolia obovata, Potentilla supina, Amorpha fruticosa, Medicago sativ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repens, Euphorbia supina, Hibiscus trionum, and Oenothera biennisaccounting for 9.2 percent of the 434 taxa of the surveyed plants. As this area is a mountainous area close to settlement facilities, it is believed that ecological preservation measures and measures of specialized plants should be implemented.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itted Dose Equivalent for Adults and Infants (예탁선양치(預託線量値)에서 본 성인(成人)과 유아(幼兒)와의 비교연구(比較硏究))

  • Sung, Kye-Yong;Yook, Chong-Chul;Ha, Chung-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9 no.2
    • /
    • pp.76-89
    • /
    • 1984
  • Weighted committed dose equivalents($W_T\;H_{50}$) per intake of unit activity of four nuclides-I-131, I-133, Cs-134 and Cs-137-, which was based on the concepts of ICRP Pub. 30, are calculated for adult who is 70 kg and 25 years old and, for infant who is 10 kg and 1 year old. Metabolism of iodine taken through oral or inhalation pathway is described by using the three-compartment model which consists of inorganic, thyroid and organic compartment. After intake, the amount of iodine in every compartment is calculated by solving the transfer equations among the these compartments. As soon as caesium is taken into the body, it is distributed uniformly in the body through the transfer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amount of caesium in total body is calculated by using the total body compartment model which is divided into two tissue compartments because of their different biological half-lifes of caesium in body. As a result of calculations, whether oral or inhalation pathway, the values of ($W_T\;H_{50}$) per intake of unit activity of I-131 for infants are about ten times as much as those of adults. On the other hand, for Cs-134 and Cs-137, the values of $W_T\;H_{50}$ per intake of unit activity show that, whether adults of infants, they have almost the same values.

  • PDF

Vascular Plant of Bakdal Mountain and Myeongbong Mountain in Paju-city Gyeonggi-do (경기도 파주시 박달산·명봉산의 관속식물상)

  • Jin-Heon Song;Kyung-Ryul Byun;Hee-Young Gil;Kae-Sun Cha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7 no.1
    • /
    • pp.35-58
    • /
    • 2023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flora survey at Mt.Bakdal (363m) and Mt. Myeongbong (245.3m) in Paju-si, Gyeonggi-do. A total of 405 taxa, including 2 forms, 32 varieties, 8 subspecies, 363 species, 261 genera, and 87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wo mountain areas. The ferns were identified as 12 taxa from 6 families, the gymnosperms as 6 taxa from 2 families,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290 taxa from 70 families, and the monocotyledonous plants as 97 taxa from 9 families. The remarkable plants included 8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which were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Clematis brachyura, Viola seoulensis,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3 taxa of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cluding Tylophora floribunda as Vulnerable (VU) species, and Viola albida and Chionanthus retusus as Least Concern (LC) specie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5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Lepidium virginicum, Amorpha fruticosa, Robinia pseudoacacia, and Trifolium repens, accounting for 8.5 percent of the 405 taxa of the surveyed plants. We intend to further identify plants through the studies on unsurveyed areas in the western part of the DMZ, identify the native habitats of rare and specialty plant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managing ecosystem-disturbing plants.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 Extracted from the Root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 (고사리 재배년차에 따른 뿌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Se-Hyun Ki;Dong-Chun J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4-64
    • /
    • 2020
  •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2018년 기준 5,406ha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산채류 재배면적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의 재배년차간에 뿌리 전분의 생산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3월 26일 각 재배년차별로 굴취한 뿌리를 세척 후 고무망치로 파쇄하고 수침 방법을 사용해 추출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배년차간 고사리 뿌리의 생산성은 5년생과 7년생에서 3,000 kg/10a 이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세척한 고사리 뿌리를 24시간 sodiun metasulfite 4% V/W 용액에 수침하여 전분을 추출한 후 24시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진탕, 침전과 세척의 과정을 거친 후 조사한 전분 추출 수율은 뿌리 생체중 대비 6.8~7.6% 수준이었으며 재배년차간 차이는 없었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분석에서 L 값은 재배년차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a 값은 3.7~4.8, b 값은 13.5~15.9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사리 뿌리전분의 호화특성에서 최고점도는 3년생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이 557.4 RVU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재배년차간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며, 최저검도에서는 5년생에서 추출한 전분이 269.9RVUfh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대 점도 시간은 5.0~5.2hr로 재배년차간 차이는 없었으며 호화 저지온도는 67.0~68.9℃ 범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사리 뿌리에서 채취한 전분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황의 함량은 1년생에서 0.081%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인산 함량은 3년생에서 72mg/kg으로 가장 높았고 1년생에서 31mg/k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칼륨의 함량은 7년생에서 추출한 전분에서 376.3mg/kg으로 높았으나 재배년차 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칼슘, 마그네슙 및 철분 함량에서는 5년생 전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The Flora of Mt. Toemo·Hyeolgu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Western DMZ Area (서부 DMZ 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Jong-Won Lee;Jin-Heon Song;Young Min Choi;Jae Sang Jeong;Kyong Youl Byun;Hee Young Gil;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1-31
    • /
    • 2021
  • 본 연구는 서부 DMZ 및 접경지역에 속하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퇴모·혈구산(466m)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강화군은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넓은 면적의 섬으로 알려져있고, 인천광역시 서북부 경기만의 한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석모도 등 부속섬과 서해안, 북쪽으로는 북 한의 황해도 연백시, 동쪽으로는 김포시와 강화대교와 강화초지대교가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 2019년 4 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7회에 걸쳐 계절별로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명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현황은 92과 257속 353속 4아종 41변종 4품종 총 40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6과 9속 10종 2변종 12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4속 8종 총 8분류군, 쌍자엽식물은 74과 198속 268종 4아종 30변종 3품종 등 30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9과 46속 67종 9변종 1품종 등 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급은 등 1분류군, III급은 물박달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6분 류군, II급은 갯장구채, 꼬리조팝나무 등 8분류군, I급은 야산고비, 일엽초 등 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 다. 희귀식물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취약종(VU)에 속하는 산들깨와 약관심종(LC)에 속하는 쥐방울덩굴 등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백운산원추리 및 병꽃나무 등 4분류이 파악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및 유럽점나무도물 등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생태계교란식은 가시박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의 신산저수지 및 고비고개에 큰 공사가 진행되고있어 침입외래식물의 개체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생태계 보전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Root Starch Yield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고사리 뿌리의 채취시기에 따른 전분 추출수율과 이화학적 특성)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4-74
    • /
    • 2020
  •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Kuhn)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2019년 기준 5,349ha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산채류 재배면적에서 2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재배면적의 증가에 따라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높일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중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 뿌리의 채취시기에 따른 뿌리 전분의 생산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3월 26일부터 10월 28일 까지 5회에 걸쳐 뿌리를 수확하여 세척한 후 고무망치로 파쇄하고 수침 방법을 이용해 추출한 전분의 추출수율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채취시기별 고사리 뿌리의 생산성은 7월 27일 수확에서 3,783.3kg/10a로 유의하게 높은 수량을 보였다. 파쇄한 고사리 뿌리를 24시간 sodium metabisulfite 0.4% V/W 용액에 수침하여 전분을 추출한 후 24시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진탕, 침전과 세척의 과정을 거친 후 조사한 전분 추출 수율은 3월 26일 수확한 뿌리에서 7.6%로 가장 높았고 7월 27일과 9월 24일 채취한 경우에서는 전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0월 28일에는 4.9%의 유의하게 낮았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분석에서 L값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전분의 색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속점도측정기로 조사한 전분의 호화특성에서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전분의 최고점도는 높아졌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의 무기물 함량은 3월 26일과 5월 25일 채취하는 경우 Fe > Ca > Mg > K > P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10월 28일 채취한 경우에서는 Fe와 Ca이 감소되고 K 함량은 증가하여 Ca > Fe > Mg > K > P의 순으로 무기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Vegetation and Flora of Village Groves in Paengseong-eup, Pyongtaek City, Gyonggi-Do, Korea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마을숲의 식물상 및 식생)

  • Ahn, Young-Hee;Lee, Sung-Je;Shin, Goung-Mi;Park, Eun-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6
    • /
    • pp.515-525
    • /
    • 2007
  •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community life near the vicinity of a village. This study is done by survey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t the village grove situated at the former location for the US military camp. Through such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uld have access to preliminary data needed for restoration project & preservation of not only the village grove surveyed but also the village grove of its neighboring district.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ppeared an outgrowth flora of Pteridophyta consisting of 2 families, 2 genuses, 1 species, and 1 variety, totalling to 2 taxa; a Gymnosperm of 2 families, 2 genuses, 3 species, totalling to 3 taxa; in the realm of an Angiosperm, a Monocotyledon consisting of 5 families, 10 genuses, and 11 species, totalling to 11 taxa; Dicotyledoneal consisting of 24 families, 39 genuses, 40 species, and 3 varieties, totalling to 43 taxa, thus revealing 33 families, 53 genuses, 55 species, 4 varieties and 59 taxa in total. Urbanization index(4.2%) and Naturalization ratio(20.3%) showed a relatively higher numerical value than those of other districts. The vegetation unit comprising a village grove is classified Into the four community units,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Rosa multiflor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is of a community type dominated by Quercus serrata, in place of Pinus densiflora selected by natural succession, which shows relatively superior lighting adaptability and was surveyed to grow up on not only a tree layer but also a sub-tree layer.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industrialization, the use of a village grove is reducing due to villagers' leaving,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urbanization; consequently, there came out a pattern of succession to Quercus serrata community, which could be assumed to b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is district,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in Korea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 Cho, Kwang-Jin;Oh, Young-Ju;Kang, Kee-Kyung;Han, Min-Su;Na, Young-Eun;Kim, Miran;Choe, Lak-Jung;Kim, Myung-Hy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2
    • /
    • pp.85-101
    • /
    • 2013
  •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_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_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_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_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_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_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