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측성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35초

양측 폐상엽 진균구에 의한 객혈의 순차적 수술 치험 1례 (Sequential Surgical Treatment of Hemoptysis Caused by Bilateral Aspergilloma -A case report-)

  • 허진;구본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69-573
    • /
    • 2001
  • 저자들은 양측 폐상엽 국균증으로부터 유발된 객혈 1 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66세 남자로 간헐적으로 재발된 객혈을 가진 환자로 다량의 객혈로 전원되어 X-ray 검사상 양측 상엽에 공동과 진균구를 관찰되었다. 환자는 불량한 전신상태와 호흡기능을 가져 술후 합병증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 정중 흉골절개에 의한 동시 절제보다는 순차적 절제를 계획해 우측병변을 먼저 절제하고 후에 좌측병변을 절제하였다. 조직 검사상 폐결핵성 병변은 없는 폐국균증으로 확진되고 큰 합병증 없이 회복되어 외래 추적치료중이며 객혈이나 진균증의 재발소견은 없었다.

  • PDF

마제상폐를 보이는 양측성 엽내형 폐격리증의 외과적 치료 -폐격리증치료에 대한 새로운 제안- (Bilateral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Horseshoe Lung A near suggestion about the treatment of pulmonary sequestration)

  • 박종빈;김용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26-230
    • /
    • 1997
  • 본 증례는 잦은 상기도 감염을 보였던 마제상폐를 동반한 양측성 엽내형 폐격리증의 성공적 치료에 대한 보고이다. 단순 흉부X-선상 양측 폐하엽 에 폐렴정 경화와 침윤을 보였으며 흉부전산화단층촬영상 폐격리증에 합당한 다발성 낭성병변을 보였다. 대동맥조영술에서 횡격막 상부에서 시작되어 양측 격리 폐로 유입되는 2개의 기 형체동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좌측 개흉술을 통하여 좌측과 우측의 격리폐로 유입되는 체동맥을 결찰후 분리하고 좌하엽의 폐엽절제술을 시행한 다음 마제상폐의 협소부를 분리절 제후 우측 격리폐는 남겨두었다. 환자는 수술후 10일째 퇴원하였으며 잔류 우측 곁리폐의 합병증이나 증상없이 추적관찰중이다. 수술후 5개월깨 시행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상 남겨두었던 잔류 우측 격 리폐 는 자연 소실되었음을 관찰할수 있었다 본 증례로 보아 합병증이 없는 엽내형 격리폐에서 폐엽절제술 을 시행하지 않고 기형체동맥을 결찰분리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해 보는 바이다.

  • PDF

벨마비 치료 중 건측에 중이염이 동반된 양측성 안면마비 치험 1례 (A Clinical Experience of Bilateral Facial Palsy accompanied by Contralateral Otitis Media under Treatment for Bell's palsy)

  • 강병수;김혜화;임경민;최정화;박수연;정민영;김종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8-231
    • /
    • 2016
  • 간담습열(肝膽濕熱)로 변증되는 양측성 안면신경 마비 환자 치험 1례에서, 초기 편측 안면신경 마비에 청간소요산의 내복약과 침 치료 등 한방 치료와 항바이러스제의 양방 치료를 병행하였다. 또한 치료 중에 건측에 발생한 중이염 이후 잇따라 양측성 안면신경 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소염, 해열, 진통 효과가 있는 가미갈근탕의 변방인 부비동염-2의 내복약을 비롯한 지속적인 한방 치료 및 항균제의 양방 치료의 병행으로 원인 질환인 중이염을 먼저 치료를 하고 이후에 안면신경 마비 치료를 지속하였다. 이에 환자가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윌름즈 종양, 무홍체증, 비뇨생식기계 기형, 정신지체 (WAGR) 증후군 : 양측성 윌름즈 종양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국내 첫 증례 보고 (Wilms' tumor, aniridia, genitourinary anomalies, and mental retardation (WAGR) syndrome: Successful treatment of the first case with bilateral Wilms' tumors in Korea)

  • 민경선;백희조;한동균;유주희;황태주;권동득;국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55-1358
    • /
    • 2008
  • WAGR 증후군은 윌름즈 종양, 무홍채증, 비뇨 생식기계 기형, 정신지체 증상을 동반하는 증후군이다. 이는 윌름즈 종양 유전자인 WT1와 무홍채증 유전자 PAX6를 포함하는 11번 염색체 단완의 13째 부분의 결실에 의해 유발된다. 이에 저자들은 태어나서부터 양측성 무홍채증을 가졌고 복부팽만과 정신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2세 여아에서 염색체 검사에서 11p11.2-13의 결실을 보인 국내 최초의 WAGR 증후군을 보고하는 바이다. 양측성 윌름즈 종양은 항암제와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고, 환아는 항암치료 종료 후 19개월째 정상적인 신기능을 보이며 생존하고 있다.

다단계 폐쇄성 하지동맥경화증에서 복부대동맥-양측 대퇴동맥 및 양측 대퇴동맥-슬와동맥간 우회술의 동시 시행 - 2예 보고 - (Simultaneous Aortobifemoral and Bilateral Femoropopliteal Artery Bypass Graft for Multilevel Lower Extremity Occlusive Disease - 2 cases report -)

  • 박진홍;김응중;지현근;신윤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71-374
    • /
    • 2003
  • 동맥혈관 폐쇄 질환의 원인 중 동맥경화증에 의한 경우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부위별로는 복부대동맥 및 하지동맥의 폐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2예의 증례는 양측 하지의 간헐적 파행이 지속되어 혈관조영술 시행 후 양측 대동맥-장골동맥 및 대퇴동맥-슬와동맥의 동반 폐색을 진단받고 각각 내과적 치료 및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으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여 본과에서 수술적 방법으로 근치술을 시행한 경우이다. 수술은 Hemashield Y graft를 이용한 복부대동맥-양측 대퇴동맥간 우회술과 자가복재대정맥을 이용한 양측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복부창상결손 외에는 특별한 합병증이 없었고 수술 후 시행한 혈관 조영술상 이식혈관의 유통성이 양호하였다. 환자들은 증상의 재발 없이 외래에서 관찰 중이다.

양측성 잠복고환견에서 성성숙 후 고환하강고정술과 GnRH 투여를 통한 생식능력 회복례 (Spermatogenesis and Fertility Following Orchiopexy and GnRH Treatment in an English Bulldog after Puberty with Bilateral Cryptorchidism)

  • 오홍근;김수희;박종성;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7-649
    • /
    • 2009
  • 양측성 잠복고환을 가진 18개월 연령의 잉글리쉬 불독에서 고환하강고정술을 실시하였고 수술 1달 후 GnRH를 투여하였다. 수술 전후 정액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공수정을 통해 생식능력을 검증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2달 후 정액검사 결과, 무정자증으로 판단되었으나 수술 4개월 경과 후 6마리의 정자가 관찰되었다. 수술 7개월 후 정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정자 소견에서 정상을 나타내었으며 수술 8개월 후 채취된 정액을 암컷 불독에게 인공수정한 결과 6마리의 건강한 산자를 생산하였다. 양측성 잠복고환견에서 성성숙 이후라 할지라도 고환하강고정술과 GnRH 투여를 통해 정자형성과 수정능력이 회복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양측성 유방암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와 부피적조절회전방사선치료(VMAT)의 비교연구 (A Dosimetric Comparision of IMRT and VMAT in Synchronous Bilateral Breast Cancer)

  • 김성진;윤선민;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284-289
    • /
    • 2013
  • 양측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피적 조절회전방사선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학적 결과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개 빔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12개 빔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 1회전 부피적 조절회전방사선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를 DVH 분석을 통해 선량학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PTV의 평균선량과 $D_{98}$을 보면 12-IMRT가 $51.04{\pm}0.57$ Gy (오른쪽), $50.80{\pm}1.07$ Gy (왼쪽), $42.94{\pm}16.16$ Gy (오른쪽), $42.56{\pm}2.09$ Gy (왼쪽)로 우수한 경향을 보인다. HI와 $CI_{90,95}$에서도 12-IMRT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중요장기에서는 세치료계획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지만 12-IMRT에서 가장 낮은 선량을 보였다. 12-IMRT가 PTV와 OAR의 선량학적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Prader-Willi 증후군에서 방광요관 역류를 동반한 양측성 Hutch 게실 1례 (A Case of Prader-Willi Syndrome with Bilateral Butch Diverticula Associated with Vesicoureteral Reflux)

  • 한승정;이택;김원홍;홍영진;전용훈;이지은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112-116
    • /
    • 2005
  • 저자들은 PWS로 확진된 영아에서 양측성의 심한 Hutch 방광게실과 방광요관 역류가 동반됨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PWS의 근긴장도 저하와 Hutch 게실의 관련성을 생각할 수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증례 연구를 통해 선천성 방광 게실과 관련한 증후군에 PWS를 포함시킬 것을 고려 해 야 하겠다.

  • PDF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이소 맹출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CORRECTION OF ECTOPIC ERUPTION WITH BILATERAL ANCHORAGE : REPORT OF CASES)

  • 안성인;선예경;심연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46-452
    • /
    • 1999
  • 제 1 대구치의 이소 맹출이란 제 1 대구치가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취해 제 2 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조기 흡수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한다. 비가역적 이소 맹출의 경우 제 2 유구치의 조기상실은 공간 상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 제 2 소구치의 함몰, 총생과 대합치의 과맹출등을 야기시킨다. 치료의 주목적은 (1)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을 막아 공간 유지의 역할을 하게하고 (2) 상실된 치열장을 회복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돕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제 1 대구치의 맹출 정도, 제 1 대구치의 위치 변화, 제 1 대구치가 걸려있는 제 2 유구치의 enamel ledge양, 제 2 유구치의 동요도, 동통이나 염증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편측성 장치는 결과적으로 공간 상실을 증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원의 보강을 위해 holding arch와 같은 양측성 고정원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삼성 서울 병원을 내원한 환아중 제 1 대구치의 비가역적 이소 맹출로 제 2 유구치의 치근 흡수와 동요도 증가를 보이는 환아에서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