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자 오류정정부호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양자 오류 정정 부호의 개요

  • Heo, Jun;Sin, Jeong-H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2
    • /
    • pp.29-35
    • /
    • 2013
  • 본고에서는 양자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양자 오류 정정 부호에 대해서 알아본다. 양자 오류 정정 부호는 디지털 정보가 아닌 연속적인 값을 갖는 양자 정보의 오류를 수정하는 기법으로 기존의 고전 오류 정정 부호를 적용할 수 없는 양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오류 정정 부호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안정 부호를 중심으로 양자 오류 정정 부호의 구성 및 기존 오류 정정 부호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연속 변수를 사용한 양자 오류 정정 부호

  • Son, Il-Gwon;Heo, 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9
    • /
    • pp.65-69
    • /
    • 2014
  • 연속 변수 양자 오류 정정 부호는 전자의 스핀, 광자의 편광 등으로 나타내는 불연속 변수와는 다르게 빛의 진폭 및 위상처럼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양자 정보의 오류를 수정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정 부호 형태를 기반으로 한 연속 변수 양자 오류 정정 부호의 구성을 살펴보고, 불연속 양자 오류 정정 부호와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Graph state 기법을 이용한 6-큐비트 양자 오류 정정 부호 설계

  • Sin, Jeong-Hwan;Heo, 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8
    • /
    • pp.76-82
    • /
    • 2015
  • 본 고에서는 그래프 상태(graph state)를 이용하여 양 자 오류 정정 부호를 설계하는 기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래프 상태는 꼭짓점과 각 꼭짓점을 연결하는 변으로 구성된다. 그래프 상태에서 각 꼭지점은 실제 코드워드의 각 큐비트에 해당하며 꼭지 점을 연결하는 변은 양자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 방식을 결정한다. 본 고에서는 그래프 상태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래프 상태 기반 양자 오류 정정 부호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단일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6-큐비트 양자 오류 정정 부호 설계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Quantum Error Correction Code Scheme used for Homomorphic Encryption like Quantum Computation (동형암호적 양자계산이 가능한 양자오류정정부호 기법)

  • Sohn, Il Kwon;Lee, Jonghyun;Lee, Wonhyuk;Seok, Woojin;Heo, J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3
    • /
    • pp.61-70
    • /
    • 2019
  • Recently, developments on quantum computers and cloud computing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Quantum computers have been known to show tremendous computing power and Cloud computing has high accessibility for information and low cost. For quantum computers, quantum error correcting codes are essential. Similarly, cloud computing requires homomorphic encryption to ensure security. These two techniques, which a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are based on similar assumptions. Then, there have been studies to construct quantum homomorphic encryption based on quantum error correction cod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which can process the homomorphic encryption like quantum computation by modifying the QECCs. Conventional quantum homomorphic encryption schemes based on quantum error correcting codes does not hav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However, using the proposed scheme,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homomorphic encryption like quantum computation and correct the errors during computation and storage of quantum information unlike the homogeneous encryption scheme with quantum error correction code.

Additive quantum error correcting code for continuous variable (연속 변수를 위한 선형 양자 오류 정정 부호)

  • Sohn, Il Kwon;H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34-235
    • /
    • 2014
  • 연속 변수란 불연속 변수와 다르게 빛의 진폭 및 위상과 같이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양자 정보를 말하며 연속 변수 선형 양자 오류 정정 부호는 이러한 연속 변수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선형 부호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연속 변수에서 연구된 stabilizer 부호를 기반으로 연속 변수 선형 양자 오류 정정 부호를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 PDF

Study of the iterative decoding algorithm of sparse quantum code (저밀도 양자 오류정정부호를 위한 반복 복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Shin, Jeonghwan;H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85-2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오류정정부호의 복호 과정에 사용되는 Belief propagation (BP) 알고리즘을 이용한 저밀도 양자 오류정정 부호의 복호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Depolarizing 채널 가정하에 기존 오류정정부호와 다르게 양자 오류정정 부호가 갖는 초기 채널 오류 확률에 의한 성능 열화를 개선하기 위해 초기 채널 오류 확률 정보를 개선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테너 그래프를 바탕으로 각 체크 노드의 신드롬과 노드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고 BP 알고리즘에 입력되는 초기 채널 오류 확률 정보를 수정하여 반복 복호 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열화를 개선하였다.

  • PDF

양자통신의 개요 및 전망 (양자오류정정부호를 중심으로)

  • Heo, Jun;Sin, Jeong-H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4
    • /
    • pp.52-61
    • /
    • 2012
  • 양자통신(Qauntum Communication)은 양자역학에 기반을 둔 새로운 패러다임의 통신방식으로서 0과 1의 형태로 표현할 수 없거나 곤란한 형태의 정보를 생성, 전송, 처리, 저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1990년대 중반부터 발전된 양자컴퓨팅 기술 및 양자오류정정부호 기술 그리고 양자정보이론 기술 등을 기반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과 연구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양자통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살펴본다

부호 기반 McEliece 암호 체계와 안전성 분석

  • Lee, Hyang-Suk;Im, Su-Min;Im, Hui-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6
    • /
    • pp.23-29
    • /
    • 2015
  • 오류 정정 부호(error-correcting code)를 사용하는 McEliece 암호 체계는 양자 컴퓨터에서도 안전한 공개키 암호기법으로서 주목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McEliece 암호 체계에 사용되는 오류 정정 부호와 그 조건, 암호 체계의 구조와 그 발전 과정 및 응용을 알아보고, 안전성 분석에 대해 소개한다.

On the Design of a DCT Transmission Method using Channel Optimized Quantizer Combined with Error Correcting Codes (오류 정정 부호가 결합된 채널 최적 양자화기를 이용한 DCT 영상 전송 방식의 설계)

  • 김종락;박준성;김태정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11
    • /
    • pp.1626-1634
    • /
    • 199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ding scheme which combines source codes and error correcting codes in order to be robus to channel noise. One of the coding schemes that take into account both the source and the channel is the channel optimized quantizer (COQ) which simultaneously minimizes quantization noise and the noise due to channel errors.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combining channel optimized quantizers with ECC to build an improved system. To be specific, we computed the performance of an n bit COQ and that of an n-1 bit COQ followed by an (n-1)/n punctured convolutional code. From this result whether or not the ECC are selected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allocated bits and the channel bit error rate. These results are applied to the im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DCT, and the system performances are evaluated.

  • PDF

Secret key information reconciliation protocol using LDPC code (LDPC 부호를 이용한 암호키 정보 보정 프로토콜)

  • Lee, Sunghoon;H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28-229
    • /
    • 2014
  • 양자 키 분배는 안정한 통신을 위해 고안된 암호 체계이다. 양자 키 분배의 후처리 과정 중 정보 보정은 두 적법한 사용자 간의 연관 관계가 있는 정보를 일치시키는 과정이다. 고전 오류 정정 과정과 비슷하며 이 과정을 위해 추가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도청자에게 일정량의 정보가 노출된다. 따라서 정보 보정 프로토콜에서 노출된 정보량은 프로토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Winnow 프로토콜과 LDPC 부호를 이용한 프로토콜을 노출된 정보량과 평균 통신 횟수 측면에서 비교한다. 그 결과로 Winnow 프로토콜에 비해 LDPC 부호를 이용한 프로토콜이 현재 양자 키 분배 시스템에서 더 좋은 기술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LDPC 부호를 이용한 프로토콜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