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양 남대천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njunctive Numerical Model of Surface Runoff and River Flow (지표면-하천 유출의 연계 수치모형)

  • Yu, Dong-Hun;Lee, Jeong-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1
    • /
    • pp.91-103
    • /
    • 2001
  • In this studs, hydraulic routing model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water level and discharge in each river section with considering the full interaction between surface runoff and river flow. It improved the computation of flood runoff by reflecting the shape of hydrograph that was determined by the geological and flood characteristics, and the excessive computation of the peak discharge was eliminated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infiltration. The Inflow from surface runoff to river flow was applied to the equation of continuity by implementing effectively the flow in a number of river section, and resulted in a numerical stability at the rapid variation of rainfal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during heavy rain in the watershed area of Yang-Yang Namdae-Chun. The present model was tested to the field, and the comput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Its applicability was confirmed with its verification.

  • PDF

Effects on Water-level Measurement in Mountainous River by Water-level Gauge Types (수위측정방식이 산지하천 수위관측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 Deog;Kim, Gun Tae;Sin, Seung Sook;Kim, Seon 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6-206
    • /
    • 2011
  • 산지하천의 경우 집중호우 발생 시 급류나 범람, 산사태 등으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며, 하류지역에는 홍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의 경우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7년 집중호우 등으로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강원도는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초음파 수위계를 도내 주요 하천에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긴급히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재해 예 경보 시스템을 갖추었다. 초음파 수위계는 설치와 유지보수가 간단하며 실시간으로 계측자료를 전송하기 때문에 모니터링에 효과적이지만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환경적 요건에 따라 초음파의 측정에 오차가 나타나며, 초음파가 반사되는 짧은 시간동안 측정된 수위는 홍수시 발생될 수 있는 파고의 영향이 많이 나타나 수문해석에 사용될 수 있는 수위를 대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양양남대천의 중류에 있는 놀골교를 선정하고, 기 설치된 초음파 수위계와 신규 설치한 부자식 수위계의 수위자료를 비교하였다. 두 수위자료의 비교분석은 유량에 따라 홍수위, 평수위, 갈수위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초음파 수위계에 의한 측정자료는 잡음이 많이 발생하였고 온도에 의한 영향이 많으며, 부자식 수위계에 비해 큰 수위로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홍수위에서는 수위를 과대관측하고 평수위, 갈수위에서는 수위변동의 폭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ize of Bedload Materials and Bedload in Mountainous River (산지하천의 하상재료와 소류사의 크기)

  • Park, Sang-Deog;Kim, Gun-Tae;Kim, Ho-Seop;Lee, Seung-Kyu;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56-560
    • /
    • 2010
  • 자갈하상 산지하천의 주요 관심사는 소류사 크기 분포와 연계하여 하상재료의 이송에 대한 광범위의 기초자료 확보하는 것이다. 자갈 하상재료가 주를 이루는 강원영동지역 양양남대천의 산지 하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산지하천의 소류사 크기를 고려한 소류사 채집기를 설치하고, 호우 발생 이후 측정기에 포획된 소류사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입도분포를 분석하였다. 두 개의 소류사 측정기는 지남교 지점에 유속이 빠른 우안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린 좌안에 각각 설치하였다. 산지하천 시험구간의 하상재료 분포도는 그림 1과 같으며, 하상재료 평균입경은 184.65mm 이였다. 연구단에서 운영중인 법수치 우량관측소의 관측자료에 따르면, 2009년 11월 1~13일 185mm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11월 11일 7:00경에 최대수위에 따른 첨두유출량 107.23$m^3/s$가 발생하였다. 첨두유출 발생당시 이동한 우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102.88mm 이였고, 좌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66.53mm 이였다(그림 2). 하상재료의 평균입경에 대한 소류사 평균입경을 비교하였을 때, 소류사는 하상재료의 $45.87{\pm}13.92%$ 크기 범위에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 PDF

Genetic Similarity-dissimilarity Among Korea Chum Salmons of Each Strea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 salmons (한국 연어의 소상하천간 유전적 유사성과 차이점 및 일본 연어와 유전적 관계)

  • Kim, Go-Eun;Kim, Choong-Gon;Lee, Youn-H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2 no.2
    • /
    • pp.94-101
    • /
    • 2007
  •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of Oncorhynchus keta, the most abundant salmon in the East Sea of Korea, has not been much carried out despite its importance as a fishery resource in the North Pacific. Currently, molecular methods are being applied to stock identification and a method of u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s getting more popula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720 bp long sequence of the mtDNA COIII-ND3-ND4L region in order to examine genetic similarity-dissimilarity among the Korea chum salmons of each strea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Japan chum salmons. A total of 152 individuals were analyzed, 108 from 3 locations of Korea and 44 from 2 locations of japan, which resulted in as many as 29 different haplotypes. Pairwise $F_{ST}$ and AMOVA tests of the population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population-level genetic difference among the chum salmons analyzed ($F_{ST}<0.07$). On the other hand, haplotype relationships among the individuals reveal that approximately 25% of the Korea salmons consist genetic lineages independent of Japan salmons and also that a genetic lineage exists in the Puk river and the Namdae river salmons independent of the Wangpi river salmons of Korea.

How many estuaries are there in Korea? (우리나라의 하구는 몇 개인가?)

  • Cho, Hong-Yeon;Cho, Beom-Jun;Kim, Han-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3
    • /
    • pp.274-294
    • /
    • 2007
  • The most reasonable method of counting the number of the estuaries in Korea may be counting the number of streams flowing into the sea. The number counting of the stream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the river classes (National River, Regional 1st Class River and Regional 2nd Class River) given by the River Act. The National River scale estuaries are totaled to thirteen, i.e. Han River(including Imjin River), Anseongcheon, Sapgyocheon, Geum River, Mankyeong River, Dongjin River, Yeoungsan River, Tamjin River, Seomjin River, Gawhacheon, Nakdong River(including West Nakdong River), Taewha River, and Hyeongsan River estuaries. The Regional 1st Class River scale estuaries are counted as four, i.e. Yeoungdeok Osipcheon, Samcheok Osipcheon, Gangneung Namdaecheon, and Yangyang Namdaecheon. While, the Regional 2nd Class River estuaries are arranged as the Province and counted as total 444; Jeonnam, Gyeongnam, Chungnam, Jeju Province have the 108, 94, 52, and 35 estuaries, respectively. The counted estuary numbers, however, can be slightly increased/decreased on what references are applied, e.g. whether or not including the streams lost estuary functions by the sea-dike construction or integrated nearby streams, and so on.

돌발홍수 모니터링 및 예측 모형을 이용한 예측(F2MAP)태풍 루사에 의한 양양남대천 유역의 돌발홍수 모니터링

  • Kim, Byung-Sik;Hong, Jun-Bum;Choi, Kyu-Hyun;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45-1149
    • /
    • 2006
  • The typhoon Rusa passed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west-southern part to the east-northern part in the summer season of 2002. The flash flood due to the Rusa was occurred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especially the damage was concentrated in Kangnung, Yangyang, Kosung, and Jeongsun areas of Kangwon-Do.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he flash flood has became one of the frequently occurred natural disasters in Korea. Flash floods are a significant threat to lives and properties. The government has prepared against the flood disaster with th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such as dams, levees, and flood forecasting systems. However, since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requires the rainfall observations as the input data of a rainfall-runoff model, it is not a realistic system for the flash flood which is occurred in the small basins with the short travel time of flood flow. Therefore, the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for providing the realistic alternative plan for the flash flood. To do so, firstly, Flash Flood Monitoring and Prediction (FFMP) Model must be developed suitable to Korea terrain.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FFMP model which is based on GIS, Radar techniques and hydro-geomorphologic approaches. We call it the F2MAP model. F2MAP model has three main components (1) radar rainfall estimation module for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QPF), (2) GIS Module for the Digital terrain analysis, called TOPAZ(Topographic PArametiZation), (3) hydrological module for the estimation of threshold runoff and Flash Flood Guidance(FFG). For the performance test of the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F2MAP model applied to the Kangwon-Do, Korea, where had a severe damage by the Typhoon Rusa in August, 2002. The result shown that F2MAP model is suitable for the monitoring and the prediction of flash flood.

  • PDF

Estimation of Superelevation in Mountainous River Bends (산지하천 만곡부의 편수위 산정)

  • Park, Sang Doeg;Lee, Seung Kyu;Shin, Seung Sook;Cho, J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2
    • /
    • pp.1165-1176
    • /
    • 2014
  • In a river bend the water surface is inclined by the centrifugal force toward the transverse section. If channel slope and flow rate increase, the gradient is rising generally. There are lots of the flood damage at the bends of mountain river because the flood water levels have exceeded frequently the levee levels which are added a free board to the design flood water level. Therefore the superelev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mountainous river bend. In present study it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superelevation at the bend of mountain river and the superelevation coefficient defined from multiplying the sub-factors. The values of the influence factors for the superelevation coefficient were suggested from analyzing the superelevation measured at the bends in Yangyangnamdae river and the hydraulic experiments in gravel-bed channel with a $90^{\circ}$ bend. The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to estimate the superelevation at the bends in mountain river was verified by the superelevation measured at the bend in Naerin river.

Importance of Bed Load on Total Sediment Load in Gravel Rivers (자갈하천에서 총유사량에 대한 소류사의 중요성)

  • Park, Sang Deog;Nam, Myeo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64
    • /
    • 2015
  • 하천에서 토사유출, 하상변동, 제방유실 등과 같은 현상은 유사 이송과정에 관련되어 있다. 하천에 대한 다양한 공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유사이송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수에 의한 하상재료 이송과정은 핵심 기작에 따라 부유사와 소류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합이 총유사량이다. 하천에서 유사이송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유사량과 소류사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소류사가 부유사에 비하여 측정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류사량은 현장실측 자료의 수가 매우 부족하나 부유사량 자료의 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실정이다. 홍수 시 하천에서 부유사량은 측정하고 소류사량은 기존 유사량 공식을 이용해 산정하여 총유사량을 추정하기도 한다. 이 같은 총유사량의 신뢰한계는 소류사량 추정 공식에 의존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갈하상 하천에서 측정한 총유사량 중에 소류사량이 차지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자갈하천은 모래하천에 비하여 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빠르며 산지하천이 이 경우에 속한다. 산지하천에서 부유사량의 변동은 하상조건보다는 유역에서 공급되는 토사유출량의 크기에 좌우되나 소류사량은 주로 하상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양양남대천의 실측 유사량에 대한 유사량-유량의 관계곡선 기울기를 보면 부유사보다 소류사의 경우가 더 크며 서로 교차하는 유량조건, 즉 유사량비(=소류사량/부유사량)가 1인 한계유량이 존재한다. 유량이 적을 때는 소류사가 이동하지 않더라도 부유사량이 존재하였으나 유량이 한계유량보다 크면 소류사량이 더 많았다. 소규모 자갈하천인 Oak Creek (Milhous, 1973)에서 조사한 총유사량에서도 한계유량이 확인되고 있다. 모래로 된 대하천에서 유사량비는 현저히 작으며 한계유량도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경사가 급한 자갈하천에서는 한계유량이 존재한다. 이는 하천에서 유량이 증가하고 하상재료가 커지면 총유사량에서 소류사량의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ssessment of Underwater Acoustics according to Habitat types (서식처 유형에 따른 수중음향 평가)

  • Gu, Jung-Eun;Jung, Sang Wha;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9-479
    • /
    • 2018
  • 하천의 수심, 유속, 하상경사, 하상재료, 만곡도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생물서식처로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그 특성들에 의해 서식처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처 유형에 따라 수중음향의 특성이 달라지며, 수중음향의 서식지의 양적 표시자로서 잠재력으로 인해 최근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영향을 적게 받은 자연하천으로 양양 남대천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서식지의 형태에 따른 수중음향과 하천의 수리적 인자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식처 유형으로는 빠른 유속에 얕은 수심을 가지고 있는 여울(riffle),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린 소(pool), 낙차가 있는 계단형 여울(step riffle)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중배경음은 여울과 계단형 여울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경음을 나타내었다. H2, H4, H5, H9, H10 지점은 여울 형태로 유속에 따라 H2, H5, H4, H9 지점 순으로 음압레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H10지점은 H9, H4 지점에 비해 낮은 유속임에도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H10 지점의 하상이 조도가 매우 큰 전석으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H3, H6, H7, H8, H12 지점은 소 형태로 H12 지점을 제외하고 대체로 낮은 음압레벨을 보였으며, H3과 H6지점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수심이 깊은 경우 상류의 저주파수의 음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1과 H11지점은 계단형 여울로 낮은 수심에서 빠른 유속을 가진 H11지점과 느린 유속을 가진 H1 지점에서 대체로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차에 의한 수중음향 발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수중 음향을 비교하였을 때 음압레벨은 계단형 여울, 여울, 소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중음향이 서식처의 수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서식처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수중음향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Reproductive Cycle and the Sex Ratio of Corbicula japonica from Namdae Stream in Gangwon-do, Korea (강원도 남대천에 서식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생식주기 및 성비)

  • Kim, Wan-Ki;Lee, Jeong-Young;Lee, Chae-Sung;An, Chul-Min;Kim, Hyoung-Soo;Choi, Choel-Young;Kim, Jae-Won;Chung, Ee-Yung;Kim, B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9 no.2
    • /
    • pp.117-124
    • /
    • 2003
  • Reproductive cycle and sex ratio of the marsh clam Corbicula japonica, a oviparous clam, were investigated monthly by histological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in brackish water of Namdae stream on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November 2000 to October 2001. It was able to devide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April to June), late active (May to June), ripe (June to August), partially spawned (June to September), spent (September to January) and resting stage (February to April).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ly to Septem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when seawater temperatures reached above 26$^{\circ}C$. Mature eggs of Corbicula japonica were 60-70 ${\mu}m$ in diameter. The sex ratio of individuals over 10.1 mm in shell length was about 1:1 (x$^2$ = 1.22, p > 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