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액온도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근권온도(根圈溫度)가 양액재배(養液栽培) 참외의 Ca-45 흡수(吸收) 및 전유(轉流)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ootzone Temperature on Ca-45 Uptake and Translocation in Hydroponically Grown Melon(Cucumis meol L.))

  • 장병춘;임정남;전재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4-369
    • /
    • 1992
  • 양액재배(養液栽培)에서 근권온도가 참외의 Ca-45 흡수(吸收) 및 전류(轉流)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금싸라기참외와 신은천참외를 공시(供試)하여 양액온도(養液溫度)를 $15^{\circ}C$, $22^{\circ}C$, $32^{\circ}C$로 조절(調節)한 후(後) Ca-45를 24시간(時間) 처리(處理)하여 식물체부위별(植物體部位別) Ca-45 함량(含量)과 전류량(轉流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Ca-45 함량(含量)과 전류량(轉流量)은 두 품종(品種) 모두 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액온도(養液溫度)가 상승(上昇)할 수록 줄기의 Ca-45 함량(含量)과 전류량(轉流量)은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였다. 2. 잎과 과실(果實)의 Ca-45 함양(含量)과 전류량(轉流量)은 두 품종(品種) 모두 줄기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신은천참외는 양액온도(養液溫度)가 $15^{\circ}C$에서 $32^{\circ}C$까지 상승(上昇)할 수록 Ca-45 함량(含量) 및 전류량(轉流量)이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였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금싸라기참외는 $22^{\circ}C$에 비해 $32^{\circ}C$ 양액온도(養液溫度)에서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3. 흡수(吸收)된 Ca-45의 많은 양(量)이 생장점(生長點)이 있는 줄기상부(上部)로 전류(轉流)되었으며, 잎보다는 과실(果實)로 전류(轉流)되는 양(量)이 많았다. 4. 양액온도(養液溫度)가 $32^{\circ}C$일 경우 금싸라기참외의 과실(果實)로의 Ca-45 전류(轉流)는 현저히 저해(沮害)를 받아 과실(果實)로의 Ca-45 분배율(分配率)이 매우 낮았다.

  • PDF

수경재배(水耕栽培)에서 양액온도(養液溫度)가 채소작물(菜蔬作物)의 생장(生長) 및 무기양분흡수(無機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oot-Zone Temperature in Hydroponics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in Vegetable Crops)

  • 장병춘;홍영균;전재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2-248
    • /
    • 1992
  • 수경재배(水耕栽培)에서 근권온도(根圈溫度)가 상추, 토마토 그리고 오이의 작물생장(作物生長) 및 양분함량(養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양액온도(養液溫度)가 증가(增加)할 수록 뿌리의 호흡능(呼吸能)은 증가(增加)하였으며, 양액저온시(養液低溫時)($10^{\circ}C$) 상추가 가장 높은 호흡능(呼吸能)을 보였고, 토마토는 온도증가(溫度增加)에 따른 호흡량(呼吸量) 증가(增加)폭이 컸다. 2. 양액온도(養液溫度) $10^{\circ}C$에서 각 작물(作物)의 뿌리와 잎의 건물중(乾物重)과 엽면적(葉面積)이 현저히 감소(減少)했으나, 양액온도(養液溫度) $20^{\circ}C$$30^{\circ}C$에서는 비슷하였다. 3. T/R율(率)과 NAR은 양액온도(養液溫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하지만 저온시(低溫時)($10^{\circ}C$) 토마토와 오이는 뿌리의 생장(生長)이 오히려 저해(沮害)를 심하게 받을 뿐만아니라 엽면적(葉面積)이 크게 감소(減少)했으며, 상추와 오이의 RGR은 저온시(低溫時)에 현저하게 낮았다. 4. $10^{\circ}C$에서 $20^{\circ}C$까지 양액온도(養液溫度)가 증가(增加)하면 각 작물(作物) 모두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칼슘, 마그네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나 $20^{\circ}C$부터 $30^{\circ}C$까지는 토마토와 오이의 칼슘함량(含量)만이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5. 양액온도(養液溫度) $10^{\circ}C$에서 각(各) 작물(作物) 모두 인산(燐酸)과 마그네슘 함량(含量)이 크게 낮은데, 이는 저온(低溫)에 의한 인산(燐酸)과 마그네슘 흡수(吸收) 저해(沮害)가 큰 것으로 보인다. 6. 오이는 상추나 토마토 보다 양액저온(養液低溫)에 의한 양분흡수(養分吸收) 저해(沮害)를 가장 심하게 받았다.

  • PDF

양액냉각시스템의 배관 배치 최적화를 위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al pipe arrangement in nutrient solution cooling system)

  • 김문기;김기성;한진희;심상원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6-169
    • /
    • 2003
  • 최근 시설원예에서 많이 도입되고 있는 양액재배의 경우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양액온도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양액중 용존산소량이 저하되어 작물생육에 저해를 가져오며 동시에 병원균에 대한 저항정도가 저하하므로 양액냉각법에 의한 생육 촉진효과가 크고 과채류나 엽채류모두 $25^{\circ}C$를 고액온 한계온도로 하여 냉각을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교, 1986. 고전, 1987). 또한, 3$0^{\circ}C$의 양액을 24$^{\circ}C$로 냉각해 준 경우 최대 $1.5^{\circ}C$의 작물체온 강하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남 등, 1992) (중략)

  • PDF

양액 자동 공급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Nutrient Solution Control System)

  • 정원근;이병로;김병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059-10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RTOS와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양액의 농도와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양액 공급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일사량, 외부온도, 외부습도, 생육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양액온도, 전기전도도(EC), 산도(pH)가 측정되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액의 농도와 공급량 조절을 위해 양액 조절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일반 사용자를 위하여 임베디드 RTOS, 한글 LCD, 그리고 그래픽으로 구성된 양액 전용 임베디드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순환식 무토양재배시스템의 양액 및 배지의 온도변화 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 Solution and Root Media in Recycled Soilless Culture Systems)

  • Son, Jung-Eek;Park, Jong-Seok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77
    • /
    • 1998
  • 본 실험은 배지의 종류 및 환경조건에 대하여 배지의 온도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NFT DFT, 슬라브형 성형암면, 면상암면, 펄라이트 배지를 사용하는 순환식 양액재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NFT와DFT시스템은 양액 및 재배조 내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였고, 고형배지는 배지온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NFT시스탬의 양액 공급유량을 3$\ell$/min, 5$\ell$/min로 할 때, 양액 온도는 주간에는 전자가 후자에 비하여 약 3t 정도 높게 나타났다. 재배조내의 공기온도도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약 2$^{\circ}C$ 정도 차이를 나타냈다. DFT 시스템의 수위를 0.8cm, 1.8cm로 할 때, 양액 온도는 주간에는 전자가 후자에 비하여 약 1-2$^{\circ}C$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배조내의 공기 온도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펄라이트 배지는, 주간에 멀칭한 배지가 약 3$^{\circ}C$ 정도, 면상암면 배지도 약 3$^{\circ}C$ 정도 높게 나타났고, 슬라브형 암면배지는 주야간 멀칭한 배지가 1-4$^{\circ}C$정도 높게 나타났고. 특히 주간에 높은 온도상승을 나타냈다. 고형배지중에서 펄라이트 배지온도가 암면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야간은 낮고 주간이 높게 나타났다. 슬라브형 암면의 경우는 표면적 전체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고형배지보다 주간의 온도상승이 크게 나타났다. 고형배지의 뿌리부분의 온도가 작물과 작물사이의 배지온도에 비하여 주간 약 3f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야간의 경우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 PDF

순환형 무토양재배시스템의 양액 및 배지내 온도분포 (Temperature Distribution of Nutrient Solution and Root Media in Recycled Soilless Culture Systems)

  • 손정익;박종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2-64
    • /
    • 1997
  • 작물생육은 근권 부근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순 경량화된 순환형 무토양재배시스템내의 양액 또는 배지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여 환경조절을 통한 적정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 작물의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순환식 무토양재배시스템의 위치별 온도 분포 및 배양액의 공급 과 온도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겨울철 배양액온도가 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in winter season)

  • 박권우;이정훈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1-83
    • /
    • 1995
  •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온도는 작물의 생육과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겨울철 양액재배시 적절한 배양액의 온도구명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파(Allium fistulosum)는 내한성이 강한 작물로 알려져 있으나, 겨울철 양액재배시 13, 18, 23$^{\circ}C$ 배양액 온도처리가 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략)

  • PDF

정지법의 차이가 양액재배 오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ining Method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 이범선;정순주;박순기;서범석;이정필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6-199
    • /
    • 1999
  • 국내의 오이 양액재배기술은 그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아직은 학문적인 전문성이나 기술적인 세분화 및 다양화 정도에 있어서 양액재배가 발전된 선진국에 비해 저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양액재배 오이는 생육이 빨라 수확시기가 단축되므로 수확기가 단기간에 집중되는 반면, 후기에는 초세가 약화되기 쉬우므로 수확량이 좋지 않은 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저일조ㆍ저온기에 정식되는 작형에서는 과실의 착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형배지경에 있어서 배지의 선택이나 근권온도, 산소 등의 관리에 주의를 기울임과 동시에 정지적엽방법의 개선과 전문적인 요구되는 양액관리기술의 체계적 정립을 통해 오이양액재배시 문제가 되는 조기노화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하므로써 장기재배가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양액재배 오이의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재배법과 기술체계의 확립이 시급하다. (중략)

  • PDF

관부 난방시스템과 온수 양액 공급이 온실 에너지 사용량, 딸기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Crown Heating System and Warm Nutrient Supply on Energy Usage in Greenhouse, Strawberry Growth and Production)

  • 이태석;김진구;박석호;이재한;문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71-2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설향' 딸기의 관부를 부분 난방하고 양액을 온수로 공급하면서 관행 재배 방식에 비해 온실 공간 온도를 낮게 관리하는 딸기 부분 난방 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식 후 11월까지는 특별한 처리가 없어 대조구, 시험구 모두 온실 내 환경이 유사하게 관리되었으며 관부 난방 및 온수 양액을 공급하기 시작한 12월부터는 야간의 온실 온도, 관부 온도 및 베드 온도가 차이를 보였다. 12월의 온실 야간 평균 온습도는 대조구 7.1℃, 87.2%, 시험구 5.7℃, 88.7%로 시험구의 온도가 낮았으나 관부 난방을 수행함으로써 시험구 온실의 관부 및 베드의 온도를 9.3℃, 12.7℃로 유지하였고, 대조구 온실의 관부 및 베드 온도 7.9℃, 10.8℃보다 높게 관리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내에서 시험구 온실의 딸기 관부 및 베드 온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두 약 2.0℃ 가량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에는 온수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지하수를 이용했을 때보다 평균 8.7℃ 높은 온도 양액을 공급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베드 온도도 약 5.0℃ 가량 높게 나타났다. 시험구에서는 시험기간 동안 온실 난방, 관부 난방 및 온수 양액 공급에 총 9,475.7×103 kcal의 에너지를 소비하였고 대조구에서는 온실 공간 난방에 총 16,847×103 kcal의 에너지를 소비하여 시험구에서 대조구 대비 약 43.8%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구에서 딸기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정식 후 초세가 대조구에 비해 좋지 않았던 시험구의 딸기가 25주 후에는 대조구와 생육적인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딸기의 수확량은 초세가 좋았던 대조구에서 1화방의 수확량이 시험구에 비해 많았으나 2화방, 3화방에서는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한 시험구의 수확량이 더많았다. 3월 말까지의 주당 수확량은 시험구 412.7g/plant, 대조구 393.3g/plant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4.9%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딸기의 온도 민감부인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하는 것이 딸기 생육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액재배(養液栽培) 방법(方法)이 토마토의 근권환경(根圈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ydroponic Systems on Root Environments of Tomato Plant)

  • 박권우;이용범;배공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59
    • /
    • 1990
  • 양액재배(養液栽培)는 토양(土壤)만큼 완충능력(緩衝能力)이 없기 때문에 양액(養液)에 대한 식물체(植物體)의 반응(反應)은 직접적(直接的)이고 민감(敏感)하다. 뿐만아니라 우리나라 계절(季節)은 여름에 고온(高溫)이 되고 겨울에 저온(低溫)이 되는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이기 때문에 양액재배(養液栽培)에서 근권환경(根圈環境)의 개선(改善)이 필요(必要)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후 여건하에서 양액재배(養液栽培) 방법별(方法別) 근권환경(根圈環境)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봄철 양액재배시(養液栽培時) 베드 온도하강(溫度下降)이 가장 빠른 재배방법(栽培方法)은 사경재배(砂耕栽培)였으며 온도하강(溫度下降)이 가장 완만(緩慢)한 재배방법(栽培方法)은 암면재배(岩綿栽培)였다. 고온기(高溫期)에 외부온도(外部溫度)의 영향이 적었던 양액재배 방법도 암면재배(岩綿栽培)였고 고온지속(高溫持續) 시간(時間)이 가장 긴 재배방법(栽培方法)은 NFT(Nutrient film technique)였다. 배양액(培養液)의 pH 및 EC 변화(變化)는 암면재배(岩綿栽培)와 분무경(噴霧耕)이 컸으며 다음으로 사경, NFT와 DFT(Deep flow technique)에서는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분무경(噴霧耕)은 위치별(位置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근활력(根活力)은 분무경(噴霧耕)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암면재배(岩綿栽培), NFT가 높았으며 DFT, 사경(砂耕), 훈탄재배(燻炭栽培)에서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