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식 어장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초

양식 쏘가리에서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의 발병 (Occurrence of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in Mandarin Fish (SSOGARI: Korean Name) Siniperca Scherzeri)

  • 박성빈;노성원;장호빈;차인석;김영림;하미애;강상철;김재훈;정태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9-294
    • /
    • 2010
  • 경남 산청지방에서 쏘가리를 양식하던 어장에서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주요 증상으로 전신 피부에서 궤양이 진행되었고 조직학적으로는 주요 실질 장기에서 세균의 집락과 주변부위로 염증 및 괴사가 관찰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API 20E 및 API 20NE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typical A. salmonicida)로 진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atypical A. salmonicida와 typical A. salmonicida로 구분할 수 있는 PCR 기법을 실시한 결과, 본 세균은 atypical A. salmonicid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쏘가리에서 A. salmonicida로 인한 발병의 최초 보고임과 동시에, A. salmonicida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생화학적 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이용한 진단을 실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동절기 남해안 참돔(Pagrus major)의 대량폐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inter Mass Mortality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South sea area)

  • 최혜승;정승희;허영백;양준용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3
    • /
    • 2008
  • 남해안 일원의 양식 대상종인 참돔의 월동기간중의 폐사발생 원인구명을 위해 병리학적, 혈액생화학적 성상 및 장단기간 양식장의 수온조사를 종합비교하였다. 1. 월동 기간중에 폐사한 참돔의 병리학적조사결과, 육안적으로 녹간증, 장내 복수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경증의 아가미흡충 감염을 제외한 세균, 바이러스 질병은 확인하지 못하였다.2. 혈액생화학적 분석결과, 폐사시기에 혈중의 AST, ALT는 폐사시기에 급격히 높아졌으며, 단백질, 지방 성분값은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실시간 양식어장 환경정보제공시스템의 수온 분석에 의하면, 참돔의 폐사가 가장 먼저 시작된 해역인 사량도 해역은 참돔의 저온 한계수온인 8℃ 이하의 수온이 42일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나 저수온에 장기간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폐사가 많았던 사량도 양지와 미륵도 명지해역의 2003년에서 2006년까지 3년간 장기수온변화를 보면, 월동기간인 200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의 수온이 2003, 2004년에 비해 낮은 수온 분포를 보였다.5. 참돔의 폐사발생해역은 비폐사해역에 비해 수심이 얕으며, 수층별 수온변화가 큰 것이 특징이었다.

양식장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해양환경 정보제공시스템 개발연구 (Development of Real-time Ocean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Platforms of Aquaculture Farms)

  • 양준용;서영상;최용규;정규귀;정희동;박종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7-57
    • /
    • 2007
  • 연안 해양환경의 급격한 변동에 의하여 매년 발생하고 있는 양식생물의 대량폐사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양식장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해양환경 정보제공시스템의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시간 관측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는 외양의 계류부이에 비해 관측정보가 직접 필요한 양식장에서 관측하여 제공함으로써 생산한 정보의 활용도가 높았으며, 양식장은 접근이 용이하고 상주인원이 있어 관측 장비의 유지보수가 유리한 점이 개발한 시스템의 특징이었다. 연속적 정보 수집을 위하여 관측치의 이상발생에 대한 긴급정비와 주기적인 예방정비 및 관측현황 모니터링을 시스템화하였으며, 과거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구한 신뢰구간을 적용하여 관측 자료의 신뢰도 제고와 관측 중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보를 최종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개발내용에 홈페이지와 전자우편, 양식장의 현장에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소형전광판과 어시장의 대형전광판을 통한 정보 제공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업인의 과학적인 어업활동을 지원하였고, 양식장 적지선정과 관련된 어장환경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식생물의 대량폐사와 같은 경제적인 피해를 저감하며, 장기적으로 연안 해양환경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해양연구에 본 연구를 통한 기술개발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 PDF

일본의 양식어장 이용제도에 관한 연구 -구획어업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ing System of Aquaculture Farms in Japan)

  • 송정헌
    • 수산경영론집
    • /
    • 제41권1호
    • /
    • pp.53-72
    • /
    • 2010
  •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the current featur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utilizing system of aquaculture farms in Japan, and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for improvement of aquaculture system of Korea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background of the liberalization theory proposed recently. The aquaculture-fishery system of Japan was begun from the Meiji Era Fishery Act and New Fishery Act of the World war II. A small sum of fishery fee is paid to the fishery cooperative having fishing rights for securing fishing area newly, because the aquaculture of Japan belong to fishery cooperative not individual ownership of union membr of cooperative society, the other words, cultivation fisheries household. In case of Korea,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with Japan as follows; almost cultivation fisheries household has a individual license, the lisence of fishing rights are recognized as an article, the license of fishing lights are able to do sale. Therefore, it is needed to paid a lots of money for securing fishing area newly. On the other hand, advanced countries in the marine aquaculture such as Norway have reached the stage where the managing abilities of marine aquaculture are similar to thos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number of large scale aquaculture farms with developed technologies and advanced marketing strategies in those countries is increasing. Considering that the marine aquaculture in Japan under the similar fishery systems of Korea has developed the state-of-the-art management skills or lead to large scale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decrease in the production costs under the small scale family business in Korea and this will lead to the decreasing competitive advantage over the imported seafood. Therefore marine aquaculture in Korea needs to increase the economy of scale to acquire the competitive advantage.

해양환경특성에 따른 해저케이블 설치 및 보호방안 (Submarine Cable Installation and Protection Methods according as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 안승환;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2
    • /
    • 2009
  • 일반적으로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에는 매설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한국 연안역에서는 양식어장이라고 하는 특수한 여건과 조업 선박의 어구어법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호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해저케이블에 적용되어 있는 보호공법에는 해양의 저질 상태에 따라서 깊이를 달리하는 매설공법, 연속적인 Concrete mattress 공법, 주철관과 U-duct를 이용한 공법, Concrete bag을 쌓는 공법, 돌을 쌓는 Rock berm 공법, Mortar bag을 쌓는 공법 및 FCM (Flexible Concrete Mattress) 공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보호공법은 설치 해역의 해양환경특성과 친환경적인 공법보다는 해저케이블의 위해요소에 대한 안정성만을 고려하여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와 수심, 해저질 등의 해양환경특성과 보다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해양환경특성별 적정 보호공법을 제시한다.

  • PDF

굴 양식장의 미세환경에 관한 연구 1. 거제만의 양식장밀도 및 부영양화에 관하여 (MICROENVIRONMENT IN OYSTER FARM AREA 1. On the Eutrophication and Raft Density in Geoje Bay)

  • 조창환;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5
    • /
    • 1977
  • 굴 양식장의 환경연구중 거제만양식장의 밀도 및 노화정도에 관한 기초조사를 1977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1. 거제만해역의 면적은 $48.87km^2$이고 도수산국에 등록된 이 해역내의 양식장 수면적은 $10.91km^2$이다. 해역면적에 대한 면허면적은 $22.23\%$이고 면허면적과 해역면적의 비는 1 : 4.48이다. 2. 부영양화의 정도를 A,B,C로 구분하여 C단계를 과영양화로의 과도기단계라 할때, 거제만은 양식어장으로서 수질은 A단계로 양호한 편인데 비해 저질은 C단계로 부영양화의 한계치에 도달되었거나 또는 약간 상회하며 과영영화로 진입하고 있다.

  • PDF

패류양식어장 밀집해역의 퇴적환경내 유기물 분포특성 -여자만과 남해 강진만-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 최민규;김형철;황동운;이인석;김영숙;김예정;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4-436
    • /
    • 2013
  • Organic enrichment was investigated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Yeoja and Gangjin Bays of Korea, which contain dense shellfish farm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status and temporal changes in shellfish farming along these coasts. The degree of organic enrichment was determined using geochemical indicators (chemical oxygen demand, ignition loss, acid volatile sulfide,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s, and total nitrogen in sediments, ammonium and nitrate in pore water, and bioluminescence inhabitation for sediments). Temporal changes in organic enrichment conditions were detected by comparing our 2012 data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from a survey conducted in 1999/2000. Organic enrich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ptember than in May and July, in Gangjin Bay than in Yeoja Ba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shellfish farms than in reference sites not used to culture shellfish. Ammonium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were two orders of magnitude greater than nitrate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se bays represent nitrogen-reducing environments.

분변계 스테롤을 이용한 남해안 패류양식어장(여자만과 강진만)의 퇴적물내 분변오염도 평가 (Sterols as Indicators of Fecal Pollution in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Areas (Yeoja Bay and Gangjin Bay) of Korea)

  • 최민규;이인석;황동운;김형철;김예정;김숙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37-444
    • /
    • 2013
  • Eight fecal sterols were analyzed in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shellfish farming areas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to evaluate sewage-derived fecal pollution. The concentrations of coprostanol, a good marker of sewage-derived organic contamination, in sediments were in the range of 10-530 ng/g-dry in Yeoja Bay, and 10-190 ng/g-dry in Gangjin Bay. Coprostanol levels were markedly higher in the inner bay than in the outer bay. These levels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urbanized bays in Korea, however, they were comparable to levels in other shellfish farming areas including Gamak Bay.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ratios of other sterols suggested that the sterols originated from sewage and plankton/benthos. Sewage was the dominant source at stations located close to the river mouth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outfalls, and plankton/benthos was the primary source in the outer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of point sources, e.g., WWTP as well as non-point sources, e.g., riverine inputs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양식패류의 생화학적 체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Biochemical Composition in Cultured Bivalves)

  • 신윤경;김성연;문태석;박미선;김윤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02
  • 경남 고성만과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굴과 피조개에 대한 체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Station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굴의 경우 대체로 조사정점에서 모두 여름에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며, 겨울 동안 지질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아 정점 간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Station 2에서 다소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글리코겐의 함량은 여름에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에너지 함량은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피조개의 경우 단백질은 여름 동안 낮았으나 탄수화물은 높게 나타났다. 지질은 2-5월 동안 높았으며, 글리코겐의 함량은 6-9월 동안 낮았고, 에너지 함량은 겨울 동안 낮게 나타나 어장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적응적 경계 검출을 이용한 성게의 특징점 추출 (Feature Point Extraction of Sea Urchin using Adaptive Edge Detection)

  • 전영철;우영배;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3-180
    • /
    • 2017
  • 동해안의 갯녹음 현상이 현재 진행 중이며 심화한 암반의 면적이 $170.54km^2$로 동해안 전체 암반 면적의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갯녹음의 주원인이자 패류 양식어장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성게의 퇴치 방법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성게를 이용한 음식이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아직 성게 인식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바다의 해적인 성게를 대량으로 포획하기 위하여 성게의 특징점 추출을 위한 적응적 경계검출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성게 인식프로그램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