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식 어장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담수어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에 관한 연구

  • 한정조;김영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29-430
    • /
    • 2000
  • 어류의 체표나 아가미등 몸의 외부에 기생하여 많은 병해를 일으키고 있는 단세대 흡충류는 주로 아가미흡충과 피부흡충류에 속하는 것들이다(Egusa S., 1983). 근년에 담수어 양식장이 많이 생긴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도 명확한 종명이 기재 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아가미에 기생하면 아가미흡충, 피부나 지느러미에 기생하면 피부흡충으로 인정하고 살충제를 투약하여 구제하고 있으며, 특히 단세대 흡충의 종명도 외국에서 부르고있는 것을 그대로 쓰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담수어 양어장에 나타나서 양식어류에 피해를 주는 단세대 흡충류의 중 분류와 함께 한국산 어류에서의 단세대흡충류의 분류 목록을 작성하고자, 서해 일원의 양식장에서 아가미 흡충과 피부흡충을 검출하고, 형태적 특징을 조사, 분류 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한다. (중략)

  • PDF

적조정보시스템 구축의 GIS 데이터베이스화 연구 (Study on a GIS Database of Red Tide Information System)

  • 정종철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1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에 의해 적조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고 적조의 발생시기와 기상해양학적인 인자를 GIS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1995년 남해안과 동해안에 걸쳐서 발생한 적조의 피해는 적조연구의 방향을 새롭게 바꾸었다 연안지역 소규모 만에서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발생하고 소멸하던 적조의 피해가 최근에는 2년의 주기성을 가지고 유해성 적조 생물의 장기적인 번성으로 연안양식어장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때문에 적조발생의 해양기상학적 인자를 분석하고, 적조생물의 생물군집과 적조생물의 제거 기술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적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적조의 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적조 발생지역을 관측하기 위한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하는 기술의 개발과 항공기 예찰, 선박관측 등의 조사기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적조의 발생 범위와 적조 생물, 그리고 기상학적 요소 등을 하나의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 각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빈번한 적조발생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해양부유구조물용 신장률 250% 탄성로프의 기초기술 연구

  • 엄재인;김민철;김민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7
    • /
    • 2018
  • 기존에 부유 해양구조물을 바다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심의 2배 이상의 길이를 사용하는 잉여 계류로프는 해저바닥에서 유동하게 되어 해저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해저바닥과 잦은 접촉으로 인해 마모로 손상되어 태풍 등 자연재해에서 부유구조물과 양식어장 등의 유실 등 잦은 피해 발생과 유동으로 부유물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려워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 현재 계류로프로 사용되는 섬유로프와 쇠사슬(Chain)의 단점(전단 취약, 고중량, 부식, 내마모, 해양어패류 부착 등)을 개선하며, 수심의 길이만 연결 할 수 있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쇠사슬이 가지고 있는 장점(고인장력)을 지닌 계류로프에 대해 연구 하였다.

  • PDF

양식어장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배치방안-부산 기장연안을 중심으로- (Proposed optimal fishing-ground plan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Ki-jang coastal region of Busan, Korea)

  • 윤한삼;김헌태;류청로;김영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1-3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status of unlawful actions in the fishing grounds located in the Ki-jang coastal region of Busan, Korea, and to develop an optimal fishing-ground plan that will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isheries resources. We examined the impacts of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basic environment of the fishing grounds at the study site, as includi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qualies. In addition, we administered a survey that focused on the necessity of enhanced maintenance of the fishing grounds at this site. As a result, we identified some required management action for the fishing grounds and proposed an optimal fishing-ground plan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Ki-jang coastal region of Busan.

동아시아횡단 해저케이블 고장분석을 통한 보호방안 (Analyses of the submarine cable faults of EAC and Protection Ways)

  • 유재덕;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27-232
    • /
    • 2010
  • 해저케이블은 인류의 또 다른 해저이용으로 부터 고장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해저 이용 중에 우리나라에서 해저 광케이블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는 트롤어선의 전개판이나 안강망 어선의 앵커와 같은 조업도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연안 구간의 양식어업으로 인하여 어장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무말목, 쇠말목 설치, 대형선박의 통항에 따른 앵커의 낙하 충격 및 끌림 등이 해저케이블의 위해요소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횡단(EAC, East Asia Crossing)해저케이블망에 대하여 8년간 발생된 고장을 바탕으로 원인분석을 통해 해저케이블 보호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복합양식에서 pangasiid catfish, silver carp과 catla의 성장률 (Growth Performance of Pangasiid Catfish, Silver carp and Catla in Polyculture)

  • ;;;;;최재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186-1193
    • /
    • 2008
  • 방글라데시 미멘싱에 소재하는 양식어장에서 pangasiid catfish (Pangasius hypophthalmus),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와 catla (Catla catla)의 조합과 혼합비를 달리하여 16주간 복합양식하였을 때, 이들 어종의 성장률을 조사하였다. 헥타르당 30,000개체의 밀도로 복합양식하여 성장률을 측정하였으며, 혼합조성비는 다음과 같다: 실험구(treatment) 1은 pangasiid catfish와 silver carp을 1:1비율로, 실험구 2는 pangasiid catfish와 cata를 1:1비율로, 실험구 3과 4는 pangasiid catfish, silver carp과 catla를 각각 2:1:1과 3:2:1비율로 복합양식하였다. 양식환경에 영향을 주는 수온, 투명도, 용존산소량, pH, $NO_{3}-N$, $PO_{4}-P$, 엽록소 a와 같은 몇몇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요인과 플랑크톤의 군집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어류의 성장속도는 비 성장율(specific growth rate), 일간 체중 증가(daily weight gain)와 체중증가 비율(percent weight gain)을 측정하였다. Pangasiid catfish의 성장률과 사료이용률은 모든 실험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Silver carp의 성장률은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5), 양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성장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Silver carp의 밀도가 가장 낮은 복합양식 조성인 pangasiid catfish, silver carp과 catla의 비율이 각각 2:1:1일 때, silver carp의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Silver carp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catla의 성장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catla의 성장률은 silver carp의 유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atla의 성장률은 pangasiid catfish와 calta의 비율이 1:1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수율과 경제적 이익은 실험구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p<0.05). 가장 높은 양식수율과 경제적 이익은 pangasiid catfish, silver carp과 catla를 각각 2:1:1 비율로 양식한 결과에서 얻어졌는데, 이는 silver carp의 높은 성장률과 catla의 시장 단가가 높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구의 수질 상태는 양식기간 동안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각각의 값은 모든 실험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양식장 환경이 갯벌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 박상우;김용;김지혜;정수환;한경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3-281
    • /
    • 2013
  • 갯벌양식 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어장환경이 서로 상이한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성장과 폐사를 비교하고 2012년 1월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하여 7월까지 조간대 노출시간 별 갯벌양식 굴의 순응 결과를 조사하였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경우 각 양식장간에 수온과 영양 염류를 제외한 환경요소가 뚜렷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참굴의 성장에 차이가 있었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수온은 원산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염분은 세 지역 모두 안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벌지역의 수온은 해면지역에 비해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 갯벌 양식 굴의 성장은 원산도리, 창리, 파도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이 감소하였다.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 갯벌양식 굴의 성장은 3시간, 1시간, 5시간 대기노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온이 $5^{\circ}C$ 이하로 내려간 1월에는 성장이 크게 낮아졌으나 폐사율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고, 수온이 올라가는 3월부터 성장률이 증가하였으나 월평균 수온의 변동폭이 높았던 4-6월에 폐사율이 급증하였다. 한편,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수용한 참굴은 각장 대비 각고가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시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 후 수용하면서 각고 대비 각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養殖 뱀장어(Anguilla japonica)에 感染하는 세포의 分離同定 및 그 病原性에 관하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Pathogens from Eels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 하영칠;홍순우;오희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8
    • /
    • 1984
  • 아산 양어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로부터 22주의 병원성 세균을 분리하여 그 생화학적 성질, 혈청학적 관계, 금붕어에 대한 감염성 및 여러 항생물질에 대한 감수성을 시험하였다. 22균주중 14주 (64%)는 Edwardsiella tarda 5주 (23%)는 Aeromonas hydrophila, 기타 3균주(14%)는 Vibrio anguillarum으로 동정되었다. 3가지 분리균중에서 E. tarda는 동일한 혈청형으로 그 분리율 및 금붕어에 대한 감염성이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E. tarda가 조사된 양어장의 뱀장어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의 주 병원체로 판명되었다. 세 분리균주의 균액을 수조에 풀어 금붕어에 접촉시켰을 때 그 감염율은 세 균주 모두 상대적으로 낮았다. 10주의 분리균을 택해 12가지 항생물질에 대해 감수성 검사를 한 결과 하나에서 여섯가지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그 중 tetracycline 유도체와 sulfisoxazole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하였다.

  • PDF

양식 가물치 (Channa argus)의 행동에 미치는 파일작업 소음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Piling Work Noise on the Behavior of Snakehead (Channa argus) in the Aquafarm)

  • 신현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2-502
    • /
    • 1995
  • 공사 소음이 공사장 주변의 양식 가물치 (체장 44cm)의 유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9월 12일 경기도 평택시 신대리의 아산호 부근에 위치한 육상 양어장에서 파일작업전과 파일작업중의 소음 레벨과 진동을 측정하고, 바이오 텔레메트리 기법을 사용하여 유영행동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일작업중 소음원으로 부터 약 90m의 거리에서 측정한 수중 소음 레벨, 공중 소음 레벨 및 진동 변위는 파일 작업전에 비하여 각각 36.5dB$(re\;l{\mu}Pa)$, 23dB$(re\;0.0002{\mu}bar)$$5.9{\mu}m$로 증가하였다. 2) 유영속도의 변화 폭은 자극을 가한 초기에 크고, 자극이 계속되면 그 변동폭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활동량은 야간 보다 주간이 많고, 심한 자극을 받으면 상하운동을 많이 하며 양어장 바닥의 진흙 속으로 도피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파일작업중의 평균 유영속도는 0.50m/sec (체장대비 1.1배), 파일작업이 없을 때의 평균 유영속도는 0.36m/sec (체장대비 0.8배)이었으며, 파일작업중의 가물치의 평균 속도가 파일작업이 없을 때에 비하여 약 1.4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음이나 진동으로 인한 자극은 가물치의 생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식 메기에서의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 기생증 1례 (The first case report on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Copepoda, Ergasilidae) infection in an aquacultured Shiures asotus in Korea)

  • 김영길;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3
    • /
    • 1996
  • 1995년 7월 18일 충남 소재 메기양어장에서 사육중인 전장 7~10cm의 메기(Silurus asotus)치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성 요각류인 Ergasilus sieboldi가 검출되었다(Fig. 1, 2). 이 충이 기생된 병어는 특이한 외부 증상은 없었지만, 양어장 가장자리 표면에 떠서 힘없이 유영하고 있었다. 검출된 Ergasilus sieboldi는 길이가 1.05 mm인 난낭 2개 와 1쌍의 갈쿠리 모야을 한 제 2촉각을 갖고 있었으며, 충체의 체장은 1.07 mm 였다. 이 충에 관해서 Bychowsky(1968)는 연어과, 농어과, 잉어과, 메기과 등의 어류 아가미에 기생하며, 지역적으로는 발틱해, 흑해, 카스피해, 일본해 수역, 시베리아 하천, 바이칼호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또 다수가 기생한 병어는 야위고 성장이 느리거나 폐사하는데, 병어의 새변상피에 부착하여 호흡에 장해를 주므로서 어체에 큰 피해를 준다고 하였다. 본 충의 기생 예는 국내의 양식 메기에서 검출한 케이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