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식형

Search Result 4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Learning Behavior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utoring Activities (튜터링 활동에서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Chu, Sung-Kyung;Byeon, So-Yeon;Yoon, Hae-G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0
    • /
    • pp.594-60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arning behavior patterns recognized by students to find effective tutoring operational methods, and further analyze the impact of learning behavior pattern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105 participants in the tutoring program at D University bas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First,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had the most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s. Third, regression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that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s significant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but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and pass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om the school perspective, learning behavior can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tudents'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so instructors need to check learners' learning behavior patterns and provide appropriate tutoring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lans.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Intelligent Ubiquitous System of Aquafarm (양식장의 지능형 유비쿼터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 Seo, J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869-870
    • /
    • 2013
  • 본 논문은 Ubiquitous Networking 기술을 기반으로 한 IT와 수산업과의 융합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서 양식장의 지능형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어장의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어장의 이상 변화를 감지하고 SMS 등을 통해서 알림을 제공한다. 그리고 양식장 관리 정보 모니터링 및 제어 등을 통한 수산물 양식의 양식장 미생물 유지 및 최적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술과 양식장의 양식 관리 정보 공유 플랫폼을 개발한다. 따라서 양어장 내의 정보를 무선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산물의 종류, 성장 단계, 기후 및 환경에 따라 각종 생장 조건을 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각 수산물 재배에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생장 및 품질을 예측하여 수산물의 생장 및 생산력을 극대화한다.

  • PDF

Establishment of Teaching Strategy Through Investigating Scientific Attitude, Learning Style, Student'S Preferences of Teaching Style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전략의 수립)

  • Lee, Jeong-Cheol;Kang, Soon-Min;Huh, Hong-Wo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9 no.1
    • /
    • pp.141-16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by compari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o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 learning styles, preferred teaching style,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y gnender and school number, and to establish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scientific attitude level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was similar with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was high level comparing with general high students. Second, for learning style, the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had many independent,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types, Third, for the prefered science teaching style, the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had high demands for diversification and thinking at higher levels girl students had open-mindedness and cooperation and voluntariness of higher level in scientific attitude, had more independent types in leraning style, and had higher preference of teacher's support, subject convergence and permissive atmosphere than boy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y school number.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d 4 teaching strategies.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n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 Jeong, Jin-Woo;Chon, Hyun-Jun;Park, Sook-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24-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9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depending on their loaming style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study selected the eight students with the middle level of science achievement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verbal-high attitude toward science, verbal-low attitude toward science, visual-high attitude toward science, and visual-low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ers.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Korean characters type, a picture type, m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ype were developed to determin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s of data indicated that the 9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different teaming style, and yet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ype questionnaire rather than Korean characters type only or a picture typ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s both in Korean characters type and a picture type was about equal. In conclusion, it seems more effective in students' teaming about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when they were provided with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