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복의 도입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Nineteenth Century (19세기 개항이후 한.일 복식제도 비교)

  • 이경미;이순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8
    • /
    • pp.149-16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and to compare both of them o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western-originated costume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osen and Japan started simplifying the traditional clothings, Introducing the western clothings and executed the ordinance prohibitory topknots through reforming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19th centra. Japan performed the reformation of costume system effectively through the grand campaign of social reforming enlightment by Meiji Government. Meanwhile in Korea, there were a continual repetition of adoption and rejection in the reformation of costume systems because of strong cultural self-esteem and competition of foreign Empires. However, western-originated cultural perspectives brought the strong self-devaluated view on their own cultures to both countries. And that's the first cause of substitution of western clothings for ordinary ones in both nations.

  • PDF

The prospect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Plastic Industry in Japan (세미나 - 일본의 사출성형기 기술개발 동향)

  • 등 영부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6
    • /
    • pp.128-134
    • /
    • 2011
  • 1869년 미국의 Hyatt 형제는 상아 당구공의 대체 재료로서 셀룰로이드(질산섬유계 플라스틱)를 발명하고, 1872년에는 이 재료들을 성형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사출성형기를 개발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성형된 셀룰로이드는 단단하면서도 약해 당구공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으나, 브러시나 빗의 손잡이, 양복의 칼라, 사진의 필름, 탁구공 등으로 실용화되었다. 그 후 여러 기능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잇따라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의 기능을 활용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사출성형기는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진화를 거듭해 왔다. 일본의 사출성형기 업계는 구미의 기술을 도입하며 발전해 왔다. 그 후 세계에서 제일 먼저 전동식 사출성형기를 개발해 실용화함으로써 최첨단 수준의 성능 및 기능을 달성해, 현재 많은 신기술제품의 중요한 수지부품생산에 공헌하고 있다. 아래에 항상 높은 수준을 추구하는 플라스틱업계의 니드에 부응하기 위해 계속되어 온 일본의 사출성형기의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그 개요를 소개한다.

  • PDF

Analysis Concepts of Quality Engineering (품질공학 개념 분석)

  • 이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647-658
    • /
    • 1998
  • 다구찌 기법으로 더 알려진 품질공학은 아직도 우리 나라 현장에선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어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는 품질공학을 다방면에 적용하고 있다. 제공공정이나 화학공정에 사용되는 것은 당연하나, 양복 디자이너, 의사의 진단에도 적용한 것이 보고되고 있다. 품질공학을 고정된 기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모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적용을 넓혀가고, 새로운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JUSE나, 전문가들은 품질공학 확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선 품질공학을 ISO화하자는 주장이 있다. 의무적으로 모든 공장에 적용 시키자는 것이다. 일본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 운영 시스템이 경직되었음을 경고하면서, 일본의 경영자 층과 관리자 층이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구태의연한 모습을 많이 지적한다. 기술자들도 수동적이고,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는 무사안일 주의가 팽배했음도 지적하고 있다. 구미의 엔지니어들은 좋은 기법이라면, 스스로 먼저 공부하여 적용하는 데 비하여,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좋은 기법의 활용도 경영층의 이해가 선행되야 한다. 경영층이 품질공학을 이해하지 못하면 도리어 품질공학 도입을 반대하게 된다. 경영층을 이해 시키는 방법으론, 현재의 상태가 위기임을 강조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품질공학을 소개한다. 그 다음 품질공학의 사례를 들어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한 방법이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Coaching methods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Yang, Bog Yi;Kim, Jin So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261-268
    • /
    • 2021
  • After developing literacy education programs using coaching techniques, applying them to literacy learners, in order to see how they have an impact o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we selected 13 senior literacy learners in U city and cho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journals, and learning materials. Litera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coaching techniques are a process-oriented model consisting of four stages of mind-opening, introducing positivity, strengthening learning competence and assistance, confidence and persistence. You can find the results as following. Firstly,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as expanded in the first stage, and second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trengthened in the second stage by forming a positive mind. Thirdly, the results of utilizing the three-stage balanced literacy teaching method and interaction teaching method resulted in confidence in reading and writing, leading to an increase in self-efficacy. Fourthly, the fourth stage showed the results of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which overcame the fear of learning with active praise and continuous encouragement and implied hope for higher courses. As a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research, I think literacy education programs using coaching techniques can be useful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learners in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