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극 재료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6초

Potential Step 기법을 이용한 연축전지웅 양극기판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ue of positive grid for lead-acid battery using potential step techniques)

  • 김상필;남기윤;황선욱;윤문수;문성인;도칠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1994
  • Lead-acid battery is used widely as a power source at a automobile, industrial machines. folk lifts. U.P.S. etc. Since lead-acid battery is cheaper than any other ones. But this battery has many disadvantages such as heavy, low energy density, environment problem etc.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potential step methods to investigate corrosion behaviour of positive grids for lead alloyes.

양극분극에 의한 흑연전극의 계면반응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urface Reactions of Graphite Electrodes by Anodic Polarization)

  • 오한준;김인기;이종호;이영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
    • /
    • 1997
  • 0.5 M $K_2SO_4$ 용액에서 여러 가지 세 탄소전극(glassy carbon, 인조흑연, graphite foil)에 대하여 양극분극에 따른 전극표면반응에 대한 연구를 임피던스 스펙트로스코피를 통하여 실시했다. Graphite foil 전극의 경우 이중츨 capacotance는 다른 두 전극재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양극분극시 glassy carbon과 인조 흑연(PVDF 혼합 graphite)은 전극계면에서 흡착현상에 의한 capacitance C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3종류 전극재료의 전기화학적 거동은 전극표면 조직의 차이에 의해 glassy carbon의 경우는 분극시 파라데이 임피던스의 영향을 받으며, graphite foil의 경우는 field transport의 지배를 받아 전압의 변화에 의한 임피던스 파라미터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서 양극측 분리판의 부식기구 해석 (Interpretation of Corrosion Mechanism on Anode side Separator for MCFC)

  • 박형호;이민호;이규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71-57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분리판으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중, 310S를 사용하여 용융염 전해질 및 양극측 분위기에서 부식거동, 부식생성물의 형성과정 및 기구에 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분리판의 부식 진행과정은 부식반응 이후 안정 부식생성물이 형성되기까지 빠른 부식이 진행되는 부식생성물 형성단계와 안정 부식생성물 형성 후 보호파괴가 일어나기 까지의 부식 억제단계, 그리고 보호파괴 이후 부식이 다시 증가되는 부식 진행단계의 3단계 과정을 경유하며 진행하였다. 분리판 내 원소들의 농도분포는 부식생성물 형성영역에서는 Fe가, 부식 방어영역에서는 Cr이, 그리고 Ni은 Cr 고갈영역과 기지 안쪽에서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양극측에서 분리판은 전해질의 이온화에 의한 부식이 주된 부식기구였으며, 최종 부식생성물은 $LiFeO_2$$LiCrO_2$였다.

  • PDF

유기 발광 소자에서 Ba층의 두께에 따른 내장 전압 (Built-in voltage depending on Ba layer thicknes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이은혜;윤희명;김태완;한원근;이원재;오현석;임종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2
    • /
    • 2007
  •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내장 전압을 변조 광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내장 전압은 양극의 일함수와 음극의 일함수 차이에 해당한다. 실험적으로는 유기 발광 소자에 500W Xenon light(ORIEL Instruments 66021)로부터 나온 빛을 chopper(Stanford Research SR54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에 조사시키면 소자에서 발생한다. 변조 광전류를 lock-in amplifier(Stanford Research SR530)를 이용하여 변조 광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변조 광전류 크기가 최소가 될 때의 외부 인가 전압을 내장 전압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소자의 구조는 양극/$Alq_3$/음극 구조이며, 양극으로는 ITO 혹은 ITO/PEDOT:PSS를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Ba/Al을 사용하였다. 발광 층으로는 $Alq_3$(150nm)를 사용하였다. Ba층의 두께는 0nm에서 3nm까지 변화시켰다. Ba이 금속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20nm 이상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Ba의 두께가 최대 3nm이므로 금속의 역할은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음극의 일함수에 약간의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장 전압은 ITO/$Alq_3$(150nm)/Ba/Al 소자 구조에서 1V를 얻었고, ITO/PEDOT:PSS/$Alq_3$(150nm)/Ba/Al 소자 구조에서는 2V로 나타났다. ITO와 Ba/Al 전극 사이에 PEDOT:PSS 층을 주입함으로써 내장 전압은 약 1V 증가하였다. 이것으로, Ba의 두께가 얇으면 음극의 전자 주입 장벽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PDF

금속섬유를 이용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FRCC)의 철근 방식 효과 (A Study on the Steel Anticorrosive Effect of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FRCC) by using Metal Fibers)

  • 최형길;최희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3-30
    • /
    • 2019
  • 섬유보강 시멘트계 복합재료 (이하 FRCC)는 균열 폭의 제어 등의 역학적인 효과뿐 아니라 철근방식에도 효과가 있는 것이 기존의 문헌으로부터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연섬유를 포함한 각종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철근의 방식효과를 부식 촉진 실험에 의해 검토했다. 더욱이 방식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염분침투, 희생양극 효과, 전기회로 형성에 주목하여, 각각의 요인에 있어서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금속섬유를 혼입한 FRCC의 방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희생 양극효과가 높은 아연섬유의 경우, 염분침투 억제 효과가 뛰어나 내부식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합금 표면에 생성되는 나노튜브 성장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 (Growth of nanotubular oxide layers on Ti alloys with different alloying elements)

  • 김민수;권아람;김연주;김용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2-69.2
    • /
    • 2018
  • 전기화학적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하는 TiO2 나노튜브층은 넓은 비표면적과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광촉매, 태양 전지, 생체재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이 되고 있으며, 국내 외 많은 연구가 보고 되고 있다. 특히, 나노튜브 층의 성장 거동에 미치는 인자로는 용액의 pH, 점도 등의 전해질의 물성, 인가전압, 시간 등이 있으며, 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앞서 설명한 인자 이외에 양극산화에 사용되는 기판의 특성(미세구조, 결정구조, 결함, 첨가 원소 등)이 나노튜브층 성장거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Ti합금을 이용하여 첨가되는 합금원소가 산화막 성장 거동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i-Ni, Ti-Fe, Ti-Co 3종류 합금을 고진공 아크용해법으로 제조 하였으며, $1000^{\circ}C$에서 24시간 균질화 열처리를 하였다. 모든 합금은 최종 두께 2mm가지 냉간압연 하였으며, 양극산화는 동일한 조건에서 하였다. 생성된 나노튜브층의 표면 및 단면은 FE-SEM을 통해 관찰 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리튬리치계 산화물 나노입자 제조 (Fabrication of Nano-particles with High Capacity using Surfactant)

  • 임석범;김석범
    • 전기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5-10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고용량 양극 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리튬리치계 산화물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리튬리치계 산화물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LiCoO_2$와 같은 양극물질의 50-80% 이상 높은 용량으로 인해 고용량 이차전지용 양극재료로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온 및 전자전도성이 좋지 못하여 고율특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리치계 산화물을 나노입자화 하여 고율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제조공정에서 2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 입자를 분산시켜 나노화 하였다. 나노 입자를 가진 리튬리치 산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고율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연공기이차전지용 La1-xSrxCoO3 양극촉매의 제조 및 이를 적용한 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연구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Evaluation of La1-xSrxCoO3 Cathode Material for Zinc Air Secondary Batteries Application)

  • 엄승욱;선양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47-452
    • /
    • 2008
  • We synthesized nano-sized $La_{1-x}Sr_xCoO_3$ ($x=0.1{\sim}0.4$) cathode catalyst for the zinc air secondary batteries by citrate method, And we measured the cathode'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tent of strontium compose the cathode catalyst. We controlled the pH of precursor solution by 10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cursor, We heat treated the prepared precursor at various calcination temperature ($500{\sim}900^{\circ}C$), and examined the optimum calcinations temperature by XRD analysis and electrochemical evaluation. We examined the ORR (oxygen reduction reaction) and OER (oxygen evolution reaction) performance of the prepared $La_{1-x}Sr_xCoO_3$ catalyst powder. When we consider ORR and OER performance simultaneously, $La_{0.7}Sr_{0.3}CoO_3$ catalyst has shown the best performance because of its lowest voltage deference between charge and disch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