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 배양

검색결과 1,654건 처리시간 0.029초

남해안 어류 및 전복가두리양식장의 퇴적물-수층 경계면에서의 물질플럭스 비교: 현장배양과 실내배양실험 연구 (Comparison of Material Flux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Marine Finfish and Abalone Cage Farms, Southern Coast of Korea: In-situ and Laboratory Incubation Examination)

  • 박정현;조윤식;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4
    • /
    • 2012
  • 지속적인 양식활동과 어장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연안해역과 양식어종마다 각기 다른 연안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의 침강 용출 플럭스에 관한 정확한 산정이 중요하다. 이에 관한 연구방법 중 벤틱 챔버를 이용한 현장배양법과 코아 채니를 이용한 실내배양실험법으로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를 비교하여 보았다. 통영 어류 가두리양식장, 여수 어류 가두리양식장, 완도 전복양식장에 대하여, 퇴적물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여본 결과, 현장배양법은 116, 34, $31\;mmol\;O_2\;m^{-2}\;d^{-1}$, 실내배양법은 52, 17, $15\;mmol\;O_2\;m^{-2}\;d^{-1}$이었고,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의 경우, 현장배양법은 7.18, 7.98, $1.78\;mmol\;m^{-2}\;d^{-1}$, 실내배양법은 3.33, 3.74, $1.96\;mmol\;m^{-2}\;d^{-1}$로, 현장배양법이 실내배양법보다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양식장에 따른 물질 플럭스를 살펴봄으로서,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에 대한 두 가지 물질수지 계산 방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사과 '후지'의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에 효율적인 배양방법 (Optimal culture methods for plant regeneration via shoot organogenesis in the 'Fuji' apple)

  • 이윤경;권영주;양용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76-182
    • /
    • 2023
  • 사과 '후지'의 잎 절편체로부터 신초 기관형성을 통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생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암처리 기간, 전처리 방법, 배양 용기당 치상 절편체 수, 배양 용기의 종류와 배지 위의 절편체 치상방향 등을 달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 초기 암조건에서의 배양은 신초 형성에 필수적이며, 4주 동안 배양한 후 명조건으로 옮겨 배양하는 것이 신초 재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배양 전 전처리로는 sorbitol 40 g/L가 포함된 액체 재생배지에 2시간 동안 침지하였을 때 신초 형성율이 87.5%까지 증가하였으며, 신초 형성 시기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용기당 치상 절편체 수는 9개를 치상하는 것이 신초 재생에 효과적이었으며, 배양 용기는 100 ml 삼각플라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petri dish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신초 형성율이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잎절편체의 배지 위 치상방향은 배축면이 배지에 닿게 치상했을 때, 신초 형성율과 재생된 신초수가 다소 높게 나왔다. 암조건에서 4주간 배양한 후 명조건으로 옮겨총8주간 배양하여 재생된 신초는 1/4 MS에 0.2 mg/L의 IB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을 유도한 후 활착시켜 온실에서 재배하였을 때 정상적인 표현형을 보여주었다.

Xylogone ganodermophthora 배양체 추출물 및 아인산칼륨 수용액을 이용한 시설수박 흰가루병 발생 억제효과 (Suppression of Powdery Mildew Using the Water Extract of Xylogone ganodermophthora and Aqueous Potassium Phosphonate Solution on Watermel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강효중;김영상;김태일;정택구;한종우;남상영;김익제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09-314
    • /
    • 2015
  • 자일로곤 가노데르모프쏘라는 자낭균의 일종으로 영지버섯에 노랑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다. 선행 연구에서 저자들은 이 곰팡이의 배양체 추출물이 배양기상에서 몇 가지 수박 병원균에 대하여 항진균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한 바 있다.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14년에 비닐하우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물질(원액 약 $4,000{\mu}g/ml$)은 배양체 800 g을 증류수 6 liter를 첨가하여 멸균할 후 여과하여 조제하였다. 추출물 100배액과 1,000배액 등을 6회 살포하였을 때 흰가루병 발생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아인산칼륨 수용액의 수박 흰가루병에 대한 발생 억제 효과와 약해 발생 등을 검토하고자 약효약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약해는 $1,000{\mu}g/ml$$2,000{\mu}g/ml$ 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의 반점으로 나타났다. 방제효과는 $2,000{\mu}g/ml$ 처리에서 91.9%, $1,000{\mu}g/ml$ 처리에서 64.9%, $500{\mu}g/ml$ 처리에서 62.2%를 나타냈다.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 -가다랭이 내장 발효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 -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eparing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 윤호동;이두석;지청일;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을 제조할 때 대량 폐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어류 내장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및 저장기간에 따른 원료의 성상변화를 조사한 결과, MRS 배지에서 배양한 L. bulgaricus 및 L. plantarum 균주는 $pH\;5.5\~6.5$, 배양온도 $35^{\circ}C$ 부근에서 산생성 및 증식이 양호하였으며, 가다랭이 내장 자숙액에 사용된 당질원인 당밀 dextrose의 적정 첨가농도는 가다랭이 내장 중량 당 각각 $10\%$$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라 산첨가 silage의 pH는 초기 4.0에서 저장 42일째 pH 4.5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유산균 발효 silage는 초기 pH 5.9에서 점차 감소하여 pH 약 4.0까지 저하되었다. silage의 초기 VBN 함량은 약 $62\~65\;mg/100g$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저장 42일후 산첨가 silage는 112.6\;mg/100g이었고, L. bulgarius 및 L. plantarum 발효 silage는 각각 139.9 mg/100g와 155.0 mg/100g 이었다. L. plantarum 발효 silage의 저장중 경시별 아미노질소 함량은 저장 4일째 1391.3 mg/100g으로서 약 $81\%$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 plantarum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silage의 초기 생균수는 $2.7\times10^8/g$에서 저장 35일째는 $2.3\times10^7/g$으로 나타났다.

  • PDF

무기염과 생물반응기의 종류가 Clavulanic acid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ts and Various Bioreactors on the Production of Clavulanic Acid)

  • 김일출;김승욱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40-444
    • /
    • 1999
  • S. clavulirerus ATCC 27064 균주는 약 200 mg/L의 clavulanic acid를 생산하였지만, 이 균주를 NTG에 의해 돌연변이 시킴으로써 얻어진 S. clavuligerus KK를 같은 배양조건에서 약 5배 많은 1150 mg/L의 clavulanic acid를 생산하였다. 무기염이 첨가되지 않은 clavulanic acid의 기본 생산 배지에서는 clavulanic acid의 생산량은 1150 mg/L였으나 다양한 무기염 중에서 MgSO$_4$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약 2000 mg/L나 생산되었다. 따라서 기본 배지조성인 1%(v/v) glycerol, 1.5%(w/v) soybean flour, 0.1%(w/v) $KH_2PO_4$, 0.2%(v/v) soybean oil에 0.4%(w/v) MgSO$_4$를 첨가함으로써 clavulanic acid의 생산을 높일 수 있었다.Airlift 와 bubble column 및 교반식 생물반응기에서 회분식 배양을 했을 경우 clavulanic acid의 생산은 airlift 생물 반응기에서는 1100 ng/L, bubble column 생물 반응기에서는 1450 mg/L, 교반식 생물 반응기에서는 1500 mg/L가 생산되어, 교반식 반응기가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는 배양액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임펠러에 의한 교반 효과가 있는 교반식 반응기에서 물질전달이 가장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반식 생물 반응기에서 용존산소농도에 따라 교반속도를 조절하여 회분식 배양을 했을 경우가 수율이 0.18, 생산성은 250mg/Lㆍday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Zoogloea ramigera l15SLR의 다당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on the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from Zoogloea ramigera l15SLR.)

  • 소한섭;김찬식;이삼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4-269
    • /
    • 2002
  • Zoogloea ramigera l15SLR로부터 zooglan다당류의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원으로 2.5%의 glucose와 lactose를 이용하였을 때 각각 10.7, 10.5 g/L의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 galactose, white sugar, brown sugar의 경우는 각각 6.4, 6.7, 8.7 g/L의 다당류 생산 을 보였다. 2.5% glucose가 첨가된 제한배지에서 종균 배양액(TSB 배지)을 7ml 이상 접종함으로서 종균 1 ml를 접종 하석 생산된 다당류(2.37 gt) 보다 약 4배의 높은 다당류 생산(10.28 g/L)을 보였다. 종균 배양액을 5 ml이상 접종시에 배양 36시간 이후부터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48시간 배양시에 10g/L이상의 다당류 생산이 가능하였다. 탄소원으로서 또한, 종균 배양액의 흡광도가 1.0~l.7일 경우에 10g/L 이상의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다당류 생산이 저해되었다. 배양액에 rifampicin첨가는 12 g/L이상의 다당류 생산을 보였으며, 다당류 분자량은 1.367$\times$106(g/mol)로서 rifampicin을 가하지 경우 1.711$\times$106(g/mol)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저혈청 배지에서 생산된 scu-PA의 tc-PA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Kinetics of Converting Single Chain Urokinase Type Plasminogen Activator into Two Chain Plasminogen Activator in Cultivating HEK Cells with Low Serum Containing Medium)

  • 김영남;김현구
    • KSBB Journal
    • /
    • 제9권1호
    • /
    • pp.48-54
    • /
    • 1994
  • HEK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scu-PA와 tc-PA의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fibrin plate법과 기존의 amidolytic 방법을 변형시킨 측정법을 이용했다. 1%의 저혈청 배지를 이용한 T-flask 배양에서 $1.65{\times}10^6$(viable cells/ml)의 최대 세포수에 도달하여 1670(IU/ml)의 scu-PA 생산량을 보였으며 평균 10% 미만이 변환율을 보였다. 또한 Spinner vessel에서의 회분배양시 최대 세포수가 $4.43{\times}10^6(total cells/ml)$ 와 1560(IU/ml)의 scu-PA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평균 11.4%의 변환율을 보였다. 연속배양에서는 0.449(1/day)의 비생육속도와 $3.13{\times}10^{-4}(IU/cell)$의 비생산속도를 보였으며 평균 10.18% 정도의 전환율을 보였다. 이는 회분식 및 유가식 배양 결과와 큰 차이가 없으며 배양공정에 관계없이 약 90% 이상의 회수율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랫드 고환세포의 배양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Incubational Conditions for Rat Testicular Cells)

  • 김판기;박귀례;한순영;신재호;이유미;김준규;권석철;이용욱;장성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1995
  • 화합물질의 개발사용 및 환경오염 물질의 증가로 인하여 남성수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증가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남성 수태능력 영향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랫드의 고환세포를 이용한 남성 수태능력시험법을 개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랫드의 고환 세포로부터 주요한 기능을 가진 Sertoli cell과 Leyding cell을 효소처리, 필터 그리고 percoll gradient과정을 거쳐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종류의 세포는 32$\circ$C에서 초기 배양한 후 37$\circ$C에서 계속 배양하였다. 본 배양조건에서 두 종류 세포는 양호한 발육을 보였으며 약 2주간의 배양이 가능하였다. Sertoli cell은 3주령의 랫드에서 분리가 잘되었고 Leydig cell은 85.7%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랫드의 고환세포중 Sertoli cell과 Leyding cell을 분리 배양하였으며, 앞으로 독성물질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생화학적 및 구조적인 index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오이의 배발생 현탁 배양세포로부터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Herbicide-resistant Transgenic Plants from Embryogenic Suspension Cultures of Cucumber)

  • 우제욱;정원중;최관삼;박효근;백남긴;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01
  • 제초제 저항성 오이 (Cucumis sativus L. cv Green angel)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발생 현탁배양세포와 binary vector pGA-bar을 지닌 Agrobacterium tumefacians (LBA4404)를 공동배양하였다. 형질전환 벡터의 T-DNA부분에는 kanamycin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neomycin phosphotrans ferase (npt II) 유전자와 phosphinothricin (PPT)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bar)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48시간의 공동배양 후 배발생 캘러스는 20mg/L PPT가 함유된 성숙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약 200개체의 형질전환 유식물체를 40mg/L PPT가 첨가된 호르몬이 없는 배지에서 생산하였다. 5개의 오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염색체에 bar유전자가 도입되어 발현되는 것을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오이 식물체가 토양에서 성숙되었다. 성숙한 오이 식물체는 PPT가 함유된 상업적 제초제 (Basta)를 일반적인 사용 농도 (3ml/L)처리시에도 저항성을 나타내며 생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