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효

Search Result 56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Under Capacity Restraint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윤혁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1.02a
    • /
    • pp.3-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고려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반영하였던 차량과 노선의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통행배정에서 수요와 공급의 관계는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용량 초과는 통행자들의 경로선택 및 수단선택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량초과에 의한 혼잡을 반영하기 위해 용량제약식을 포함한 모형을 개발하고 실용운행회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들이 실제적인 현상을 정확히 모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이 내재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최대로 현실 여건을 반영하는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동일한 기종점 사이를 운행하는 경쟁노선이 많은 대도시에서 통근·통학을 위한 통행자들이 많은 오전, 오후 첨두시 대중교통 수요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의 운행관리체계 개선 및 투자계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수요예측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의 결과가 현재나 장래의 잠재적인 수요(demand)를 예측하는 방법인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 정립된 모형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통행하고 있는 수요(flow)를 예측함으로써 교통 계획가나 대중교통 운영자의 계획 및 운영정책수립에 합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대중교통 시스템 하에서의 통행배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용량과 운행특성을 가진 교통 수단이나 노선이 도입되었을 때 공급이 제한적인 경우의 수요 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에 대한 규제가 초국가적 차원으로 발전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담배규제협약안의 세부사안들에 대한 합의과정에서 각 국별로 상당한 이견과 반발이 예상되고 있지만, 협약안의 전체 회원국 투표에서 승인될 경우 각 국가들뿐만 아니라 담배산업과 담배기업들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국제협약들이 그러하듯이, 담배규제협약도 그 적용 범위와 수준이 어느 정도로 결정되는지에 따라 각 국가와 기업별 이해관계가 크게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ath-Based Trip Assignment Model under Toll Imposition (통행료체계에서의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권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0.02a
    • /
    • pp.3-22
    • /
    • 2000
  • 이용자의 경로선택 형태를 모사하는 통행배정모형 결과의 정확도는 교통계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의 경로선택 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통행시간과 통행요금이다. 그런데 통행요금은 이용자의 경로거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부과되므로, 링크를 분석단위로 하는 기존의 통행배정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 반영이 힘들었고 또한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에서 제약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경로교통량을 도출할 수 있는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을 구축하였고, 또한 경로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경로기반 배정모형에서는 GP(Gradient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계산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K-최단경로 알고리즘 중 MPS(Minimal Path Search)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배정 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배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배정모형에 비해 최적해로의 수렴속도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배정모형은 경로교통량이 도출되고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요금과 통행 거리 관계에 따른 목적함수의 규명과 그에 따른 효과척도를 계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모형은 통행배정에서 실재상황을 보다 현실여건에 맞도록 규명할 수 있고, 기존의 제한적인 효과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다. 또한 본 논문은 개발된 배정모형의 적용사례로서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고속도로 통행요금 산정 방법은 이론적 근거가 미약했던 반면, 본 논문에서 개발된 배정모형과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은 고속도로 통행료 결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안1의 경우 교통량의 변화 및 화물통행의 시간가치의 증가시 사회적 편익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대안2와 3의 경우 사회적 편익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부고속도로의 화물차량의 구성비에 따라 대안 1의 경우 오히려 화물차의 통행시간이 증가함에 그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경부고속도로상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

  • PDF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s on the Morphology and the Pharmaceutical Components of Paeonia albiflora Palls (시비관리(施肥管理)에 따른 작약(芍藥)(Paeonia albiflora Palls)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 연구(硏究))

  • Chang, Ki-Woon;Kim, So-Yeon;Seo, Gwan-Seuk;Kim, Phil-Joo;Lee, He-Duc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2 no.4
    • /
    • pp.315-322
    • /
    • 198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fertilizer applications on the changes of the morphology, yield and effective components -Paeonol, Benzoic acid, Oxypaeoniflorin, Albiflorin and Paeoniflorin- of Paeonia albiflora Palls. The treatments of the field experiment were designed as follows ; conventional fertilization(R), organic fertilization(OF), chemcial fertiliazation(CF), combination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ation(OCF), and 50% and 100% increase of the chemcial fertilizers in combination treatments (OCF-50, OCF-100).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epending on the treatments, the changes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aboveground part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yield of the root had a significance on OCF-100. 2. The large quantities of effective components in Paeonia albiflora Palls were increased from the first year to the second year. 3. The excess phosphate application in the conventional fertilization affected to decrease the root yield and the effective components in its root. 4. The organic fertilizer was more favorable to the yield and the contents of the effective components of Paeonia albiflora Palls than the chemical fertilizer. OCF-50 and OCF-100 had higher values of yield and the amounts of the effective components than the treatments of the organic fertilizers.

  • PDF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ntinula edodes Syrup by Different Malt Concentrations (맥아 첨가비율을 달리한 표고당화액의 세포독성, 항염증효과 및 아미노산 함량)

  • Ha, Neul-I;Bak, Ok Ran;Kim, Kyung Je;Jin, Seong Woo;Koh, Young Woo;Im, Seung Bin;Jeong, Hee Gyeong;Seo, Kyoungs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04-104
    • /
    • 2019
  • 표고(Lentinula edodes)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면역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 특유의 향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상이하여, 표고를 맥아로 당화하여 소비자들의 섭취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아미노산을 포함한 당화액을 제조하여 면역효과가 증강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버섯류를 비롯한 담자균류에는 다양한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도 자주 사용된 기록이 있다. 최근 고등담자균류인 버섯의 성분 및 유용성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식품학적 및 약리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고(L.edodes)와 당화효소로 사용한 맥아의 비율에 따라 A (표고 1 kg : 맥아 50 g), B (표고 1 kg : 맥아 100 g), C (표고 1 kg : 맥아 200 g), D (표고 1 kg : 맥아 300 g), E (표고 1 kg : 맥아 300 g) 5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표고당화액을 농축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로 분쇄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고당화액의 면역효과를 검증하고자, Raw 264.7에 표고당화추출분말 A, B, C, D, E를 각각 10, 50, 1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과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시험결과, E 시험구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75.3%, $500{\mu}g/mL$의 농도에서 66.3%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을 보였다. 또한 A, B, D를 각각 $500{\mu}g/mL$의 농도로 처리 했을 때, 94.1%, 83.1%, 80.2%의 NO 생성율을 나타내어 E 시험구를 제외하고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고당화추출분말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C 시험구에서 19,699.01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시험구에서 17,231.14 mg%, B 시험구에서 17,152.38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E 시험구에서 13,367.98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표고당화추출분말에서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 이 검출 되었으며, C 시험구에서 2,562.0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 시험구에서 2,243.16 mg%, D 시험구에서 1,895.29 mg%, A 시험구에서 1,672.82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Amorphopallus Paeoniifolius in Greenhouse Environment: Leaf Cycle (인공환경 생육조건에서의 Amorphopallus paeoniifolius: Leaf Cycle)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8-48
    • /
    • 2019
  •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는 영명으로 Elephant yam 또는 Whitespot giant arum 으로 불리는 천남성과(Araceae) 식물로 동아시아, 뉴기니, 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숲의 가장자리 또는 2차림에서 발견 된다. 다년생 식물로 덩이줄기는 어두운 갈색의 둥근모양으로 직경 20~25 cm로 자라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달린다.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관심대상 종(LC: Least Concern)에 속하는 식물이다. 현지인들은 마(Dioscorea Polystachya Turcz.)처럼 채소로 먹기도 하며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복부장애, 소화불량, 천식, 기관지염, 빈혈 등에 약효가 있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은 $25^{\circ}C{\sim}35^{\circ}C$, 연강수량 1,000~1,500 mm에서 잘 자란다. 가운데 눈이 올라오면서 생장을 시작하고 며칠이 지나서야 잎 또는 꽃으로 자라는지 알 수 있다. 잎의 생육주기는 잎눈이 생장을 시작하면 잎자루 끝에 소엽과 소잎자루가 접힌 채로 올라온다. 소엽들이 펴지면서 완전한 모습을 갖추는데 30일 이상의 생장기간을 갖는다. 잎의 형태는 우상복엽(pinnate compound leaf)으로 우산처럼 보이는 잎 하나로 광합성을 한다. 잎은 최대 높이 2.5~3 m, 너비 3 m까지 자라며, 잎자루의 색은 녹색과 청색으로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인공환경 조건에서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생활사 중 잎의 주기를 연구하기 위해서 광, 온도 등의 지상부 환경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자생지와 유사하게 조성하였고, 지하부 환경은 인공 배합토를 사용하여 조성하였다. 평균온도는 $25{\sim}28^{\circ}C$, 겨울철 최저 $16^{\circ}C$, 여름철 최고 $33^{\circ}C$를 유지 관리 하였다. 자동 환경제어시스템으로 온도 및 환기를 유지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동제어 관리를 병행하여 조절하였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을 먼저 생성하고 광합성으로 생산된 영양물질을 덩이뿌리에 저장을 하고 그 영양물질을 이용하여 꽃을 피우는 생육 특성을 지닌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 식물은 2018년 12월 미얀마에서 생체(덩이줄기) 형태로 도입되었다. 화분에 식재 후 약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잎의 생장이 시작되었다. 2019년 7월 29일 기준으로 높이 80 cm, 너비 60 cm의 크기로 성장하였으며, 생육환경에 따라 3~5개월 뒤 잎이 지고 나면 다시 덩이줄기로 되돌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식물에 알려진 정보는 인공환경에서의 연구가 아닌 자연환경에서의 연구결과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온실 환경에서 자란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의 주기는 더 오래 갈 수도 있으며 꽃의 주기 또한 느리거나 빠를 수 있다. 잎의 생장주기(Leaf Cycle)시 잎자루가 낮과 밤의 방향을 달리 하여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광합성을 위해서 잎자루의 방향을 햇빛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를 실내 조경 식물 또는 식 약용의 소재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꽃의 생장주기 등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다.

  • PDF

Comparative Responses of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and Clover Cyst Nematode, H. trifolii to Different Nematicides (클로버씨스트선충과 사탕무씨스트선충 알과 유충에 대한 약제 반응 비교)

  • Jeong, Mungi;Lee, Dong Wo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9 no.4
    • /
    • pp.361-369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nematicidal materials (Burkholderia rinojensis, fluazaindolizine, fluopyram, fosthiazate, hydrogen peroxide, and imicyafos) on eggs and larvae of the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and clover cyst nematode, H. trifolii, which have recently become problematic in highland Chinese cabbage cultivation areas in Korea. Comparison of the hatching rates according to the test material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In the treatment with fluopyram, fosthiazate, and imicyafos, a very high hatching inhibitory effect of 99% was observed in both nematod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reatments between nematode species except for that with hydrogen peroxide. Regarding the nematocidal activity of treatments against hatched larvae, only the fluazaindolizine treatment, despite showing a high hatching inhibitory effect, showed a low nematicidal effect of less than 30% against both nematodes, whereas a mortality rate of more than 90% was observed in the other treat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ematode species in the reactions of the 2nd instar juveniles to all nematicidal test materials after 24 and 48 h of treatment.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reaction to the nematicidal materials of the two cyst nematodes that damage the same host was similar, and simultaneous control is suggested in the areas where the two nematodes occur together.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of quercetin against Xanthomonas campestris (Quercetin의 식물병원성 세균인 Xanthomonas campestris에 대한 선택적 살균활성)

  • Kim, Jeong Yoon;Kim, Ju Yeon;Seo, Sung-Jun;Seo, Min-Kyung;Kim, Jin-Seong;Kang, Sang-Woo;Oh, Kyeong-Yeol;Kim, Jin-Hy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5 no.2
    • /
    • pp.101-105
    • /
    • 2022
  • Quercetin is a major flavonoid in onion and known t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athogenic bacteria. Howev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quercetin had not been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Xanthomonas campestris and Erwinia carotovora. In here, quercetin and the solvent extracts of onion were investigate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Quercetin showed a selecti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X. campestris, and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quercetin were 15.6 and 20.0 ㎍ mL-1 respectively. Otherwise, it showed no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 carotovora, and no the additive and the synergistic effects with streptomycin on X. campestris. And the EtOAc extract from the peel of onion that contained quercetin showed 2-fold lower MIC (500 ㎍ mL-1) than the EtOH extract, thus EtOAc was suggested as the extraction solvent for quercetin from onion peel.

Effect of Crop Desiccant Treatment of Italian Ryegrass Seed Production on Harvest (작물 건조제 처리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확기 생육, 수량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 Lee, Yun-Ho;Jang, Hyeon-Soo;Kim, Dea-Uk;Youn, Jong-Ta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7 no.2
    • /
    • pp.131-136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phytotoxic of crop desiccant treatments on the seed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Gimje and Buan, South Korea. Here, Italian ryegrass was treated 7, 10, and 14 days before harvest (DBH) and no difference in fresh weight, 1000-seed weight, germination rate, and seed yield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in the standard dose and double dose for seven DBH. However, the standard dose and double dose on the 10 DBH and 14 DBH had a lower 1000-seed weight, germination rate, and seed yiel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In pesticide persistence analysis, the permitted standards were not exceeded in the seeds and straw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and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effect and stability of Italian ryegrass can be expected if treated within seven DBH. However, it seems that crop desiccants should be used after considering grain ripening and weather to minimize loss of seeds.

Pharmacological Effect of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ol Derived from 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유래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효과)

  • Kang, Jae Se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12
    • /
    • pp.1128-1141
    • /
    • 2021
  • 'Angelica' is one of the most traditionally consumed medicinal herbs around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for treatments of various diseases or health care purposes like hematopoiesis, blood circulation for women, sedative, analgesic, and a tonic medicine etc. Angelica gigas Nakai, a Korean native species of Angelica,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active ingredients like pyranocoumarines including decursin, decursinol, and decursinol angelate. These compounds have various kinds of positive effects such as anti-tumor activity including the precaution of neutropenia occurred during anticancer drug administration, improvements of metabolic disorders, menstrual irregularity, impairment of renal function, respiration improvement, cognition-enhancemen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oxidative effect, enhancing fertility and so forth. Thus it implies incredible potentialities in future development for foods and drugs. However, certain purity-related qualities and/or overdose in food products can cause side effects like toxicities; therefore, their safety profil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s review focuse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ree pyranocoumarines in Angelica gigas Nakai and some possi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food and drug products development.

Selection of Aerial Spraying Control Agent and Susceptibility of Pinewood Nematode Vectors to Spray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에 대한 항공방제 약제 탐색 및 무인항공기 살포에 의한 매개충의 약제 감수성)

  • Junheon Kim;Sangjune Nam;Jinyoung So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2 no.1
    • /
    • pp.43-48
    • /
    • 2023
  • The efficacy of spinetoram sprayed from an unmanned helicopter to control two insect vectors of pine wood nematodes,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was assessed. By using a ULV (Ultra Low Volume) sprayer, the mortality rates of phenthoate, bifenthrin, etofenprox, and diflubenzuron, which are registered for use against coleopteran insects, indoxacarb and spinetoram, which are registered for use against lepidopteran insects, were evaluated for efficacy as aerial spraying agents. The ULV test, using 33- and 55-fold dilutions of phenthoate, bifenthrin, indoxacarb, and spinetoram demonstrated a 100% insect mortality rate upon contact and feeding mortality on the third day after treatment, while etofenprox and diflubenzuron exhibited a slightly lower mortality rate than the remaining compounds. Consequently, spinetoram was selected as a candidate pesticide for aerial spraying and its efficacy to control the insect vectors was assessed. The x 33 dilution of spinetoram resulted in a 98.6-100% control efficacy against two insect vectors. However, risk assessment for bees following aerial spraying will be necessary before applying the pesticide to control insect v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