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 표적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6초

선택적 COX-2 억제제 NS 398과 EGF 수용체 차단제 AG 1478의 복합투여가 HeLa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Modulation of Radiosensitivity by Combined Treatment of Selective COX-2 Inhibitor, NS 398 and EGF Receptor Blocker AG 1478 in HeLa Cell Line)

  • 윤선민;오영기;김주헌;박미자;성인옥;강기문;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51-60
    • /
    • 2005
  • 목적 : 분자 표적의 선택적 억제가 방사선 세포 살상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선택적 COX-2 억제제와 EGF 수용체 차단제를 HeLa 세포주에 처리한 후 방사선 효과의 상승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세포에서 EGF 수용체 차단제 AG 1478, 선택적 COX-2 억제제 NS 398과 방사선을 복합 투여하여 세포성장 억제 분석(cell graph inhibition assay)과 세포사멸 분석(apoptosis assay)을 시행하였고, 방사선 감수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세포생존 분석(clonogenic survival assay)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감수성 인자로는 2 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_2$)과 linear-quadratic model을 이용한 dose enhancement ratio (DER)를 사용하였다. 방사선 감수성에 대한 작용기전 분석을 위해 flow cytometry로 세포주기 분석(cell cycle analysls)을 시행하였고,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bcl-2와 bax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 HeLa세포에 NS 398과 AG 1478을 방사선과 함께 복합 투여한 실험 군에서 세포사멸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8.49\%$ vs. $22.70\%$). 세포주기 분석 결과, 방사선과 복합 약물 처리군에서 $G_0/G_l$ 세포주기 정체와 5 세포 분획 소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72시간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세포생존 분석 결과로는 방사선과 AG 1478군에서 $SF_{2}0.68{\pm}0.07$, DER 1.12를 보인 반면, 방사선과 복합약물처리군에서는 $SF_{2}0.12{\pm}0.01,\;DER\;3.00$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분석에서는 방사선과 복합약물처리군에서 bcl-2와 bax 단백질 발현이 모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분자 표적 약제인 선택적 COX-2 억제제와 EGF 수용체 차단제를 방사선과 복합투여함으로써 HeLa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 개선효과 (Caulerpa okamurae ethanol extract improves the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in vitro and in vivo)

  • 박철민;타쿠리랙스미센;류동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89-9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Caulerpa okamurae 에탄올 추출물(COE)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약물 표적 중 하나인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COE는 in vitro 실험에서 단백질 티로신 포스타제 1B (PTP1B)와 디펩티딜 펩티데이즈-IV (DPP-IV)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또한, COE는 3T3-L1 지방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당 흡수,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 및 당 수송체(GLUT4) 단백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L6 근육세포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 모델에서도 COE는 인슐린 신호전달 및 당 흡수 단백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 알려진 IRS-1 Ser307의 인산화 활성도 COE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COE는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OE는 인슐린 표적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과 당 수송체 GLUT4 단백 발현의 조절을 통해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lephoric acid의 CYP2J2 효소 활성 저해제 평가 (Inhibitory Potential of Thelephoric Acid on CYP2J2 Activities in Human Liver Microsomes)

  • 오철학;이보람;송경식;류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26-1132
    • /
    • 2013
  • CYP2J2 효소는 간외의 조직에 존재 하는 효소로써, 주로 심혈관계에 발현되어 있다. CYP2J2는 내인성 대사체 및 여러 치료 약물들의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CYP2J2는 인체의 종양조직이나 종양 세포주에서 과발현되어 있어, 종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10종을 대상으로 시토크롬 2J2 동효소에 저해능을 가지는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10종의 천연물 중 thelephoric acid는 CYP2J2에 의해 매개되는 에바스틴($IC_{50}=5.32{\mu}M$), 아스테미졸($IC_{50}3.23{\mu}M$) 및 터페나딘($IC_{50}=3.27{\mu}M$) 대사를 강력하게 저해하였다. 향후, 이 약물을 대상으로 한 항암 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총명탕(聰明湯) 열수(熱水) 추출물의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 실험 (Mouse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Chongmyung-tang Aqueous Extracts)

  • 황하연;장우석;백경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7-49
    • /
    • 2014
  • 목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신경보호 약물로 사용되어온 총명탕 물 추출물의 급성 독성증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09-116호에 따라 암수 ICR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반수치사량, 개략적치사량, 표적장기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율 9.70% 총명탕 물 추출물 2,000, 1,000 및 500 mg/kg을 암수 마우스에 단회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14일 동안의 임상증상, 사망례,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으며, 투여 14일 후 14개 주요 실질 장기에 대한 중량 및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별도의 암수 매체 대조군을 두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실험의 결과, 설치류 최대 한계투여 용량인 2,000 mg/kg까지 총명탕 물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암수 매체 대조군을 포함하여, 모든 실험군에 걸쳐 산발적으로 관찰된 일부 우발적인 육안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제외하고, 총명탕 물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임상증상, 체중 및 장기 중량의 변화, 14개 주요장기에 대한 육안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 론 : 따라서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실험에서 총명탕 물 추출물의 반수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은 각각 설치류 투여 한계용량인 2,000 mg/kg 이상으로 관찰되어, 매우 안전한 약물로 판단되며, 임상사용에는 별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암 진단 및 치료용 디스크 나노 입자의 향상된 입자 생산법에 관한 연구 (Improved Manufacturing Method of Discoidal Nanoparticles for Cancer Theranostics)

  • 배장열;오은설;이현;기재홍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2
    • /
    • 2016
  • 나노 입자는 암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유를 위한 약물 전달체 또는 영상 조영제로 연구개발 되어왔다. 이러한 나노 입자는 주로 EPR effect로 인해 효과적으로 암 세포를 표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었고, 주로 구형의 나노 입자들이 이러한 실험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EPR effect가 사람의 암 치료에 있어서는 큰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여러 연구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형 나노 입자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디스크 나노 입자를 제안하고, 디스크 나노 입자의 생산 과정과 입자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입자 생산방법에 관한 연구 내용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된 디스크 나노 입자는 인간 유방암인 MCF7 세포에 적용하여 항암제 전달체로써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생쥐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호초(胡椒)의 효과 (Piperis Nigri Fructus Extract Ameliorates Psychological Stress in Mice)

  • 이소영;최재홍;정향숙;김영균;조수인
    • 혜화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4
    • /
    • 2013
  • 스트레스로 인한 인체의 반응은 중추신경계, 시상하부, 변연계 및 기타 표적기관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 내분비계 반응, 면역계 반응 등을 통하여 복합적인 신체 증상으로 발현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HPA axis)과 교감신경계의 작용으로 여러 신경전달물질 방출에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변화는 면역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는 면역세포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신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한의학에서는 천인상응(天人相應)의 관점에서 육기(六氣)를 생체자극의 외적 요인으로 간주하고, 생체내적 현상인 정신이 외적 자극을 통하여 나타나는 생체반응을 칠정(七情)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스트레스는 신체에 오장(五臟)의 허실(虛實), 혈허(血虛), 정손(精損), 기역(氣逆), 기(氣)의 순환장애, 담연(痰涎), 화(火) 등의 병적인 요인을 만들어 준다. 본 연구에서 재료로 사용된 호초 (Piper nigrum Linne)는 후추나무의 과실을 말린 것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이며, 한의학에서는 온중제한하기(溫中除寒下氣), 쾌격소담(快膈消痰), 해독(解毒)등의 효능으로 한담식적(寒痰食積) 완복냉통(脘腹冷通) 곽란(癨亂) 토사(吐瀉)등의 치료에 활용되어 왔다. 특히 쾌격소담(快膈消痰)하는 작용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본 연구에 이용하게 되었다. 실험동물은 ICR계 생쥐를 이용하였으며, 심리적 스트레스는 옆쪽 cage에서 다른 마우스의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하루 1시간 동안 지켜보게 하는 것으로 유발하였으며, 이 상태에서 약물을 투여한 그룹을 실험군,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정상군은 아무런 자극 없이 하루 1시간 동안 일정 공간에 가두어 두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호초(胡椒) 추출물을 100mg/kg/day 용량으로 5일간 투여한 실험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혈장 중 corticosterone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뇌에서의 noradrenalin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lus maze test에서의 머무름 시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호초(胡椒)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구체적인 작용기전 및 인체에서의 효과에 대해서는 향후의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알코올남용 인센티브치료 효과성 연구 (Effectiveness of Incentive-Therapy to Alcohol Abuser Using Single System Design)

  • 장수미;심정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91-312
    • /
    • 2006
  • 본 연구는 행동심리학의 견고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북미에서 약물남용자에게 효과성이 실증적으로 입증된 접근방법인 인센티브치료를 국내 지역사회기관에서 두 명의 알코올남용클라이언트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탐색적 조사이다. 이를 위해 ABA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하여 총 12주간의 기초선 단계, 인센티브치료 개입단계, 개입철회단계동안 표적행동으로 클라이언트의 음주여부를 음주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시행결과 음주사용의 감소가 인센티브치료 개입단계 중반 무렵부터 발생하였다. 개입철회단계에서는 한 사례의 경우 다시 음주가 시작된 반면, 또 한 사례에서는 단주가 유지되어 일관된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인센티브치료는 알코올남용자의 단주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심리사회적 상담 및 사회복지개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에서 실행가능성이 높은 방법임이 제시되었다.

  • PDF

표면수식된 프로리포솜에 의한 표적부위 지향성 약물수송체의 개발 I-갈락토스 당쇄로 표면수식된 리포솜의 간세포 렉틴 결합성- (Development of Target-Specific Drug Delivery Systems Using Glycosylated Proliposome I-Binding of Asialofetuin-Labeled Liposomes to Lectin RCA-)

  • 심창구;이창용;김종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2호
    • /
    • pp.155-161
    • /
    • 1992
  • Although glycosylated liposom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s targeting delivery systems (DDS) of drugs to specific organs which have glycoside receptors, physical instability of liposomes greatly limits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case, proliposomes might be a potential answer to solve this problem. Utilizing the proliposomes as tageting DDS has been a goal of our series of works; we have tried to develop DDS which form liposomes uppon adding water and can deliver drugs to specific target organs/cells such as hepatocytes. In this paper, preparation of glycosylated liposomes and binding of the liposomes with lectin (agglutinin RCA 120) was studied. Asialoletuin (AF) was selected as a model compound which has galactose terminal and is favorable for binding with galactose receptor on the surface of hepatocytes. AF was obtained by splitting the terminal N-acetylneuraminic acid (NANA) of fetuin. Small unilamellar AF-liposomes were prepared by mixing aqueous solution of AF-palmitate with thin film of phosphatidyl choline and cholesterol (30:10 w/w) formed on the innersurface of the round bottomed flask. They were successively extruded through polycarbonate membranes (0.45 mm). Palmitoyl-AF not incorporated into the liposomal bilayer was separated from liposomes by a Sepharose 4B column equilibrated with 10 mM Tris-HCI buffered saline. Lectin (agglutinin RCA 120) was added to the suspension of AF-liposomes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2 hr. After centrifugation, the unbound lectin in the supernatant was assayed for protein. The binding of the lectin to AF-liposomes (AF content 2.8 nmole) at $37^{\circ}C$ was linear at least upto 35 mg of lectin indicating high affinity association of the lectin to AF molecules of the liposomes.

  • PDF

위암치료제로서 rebamipide의 잠재적 효능 (A Potential Efficacy of Rebamipide as Anti-gastric Cancer Drug)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214-1217
    • /
    • 2016
  • Rebamipoide는 위궤양과 위염치료에 쓰이는 위보호제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위암에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알려지바가 거의 없다. 헬리코박토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주요독성인자인 CagA는 위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CagA는 위암세포에서 NFκB의 활성을 증가시켜 PLD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위암세포의 증식과 침윤을 유도한다. Rebamipide는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H. pylori의 CagA에 의해 유도되는 PLD1의 발현을 저해하는것으로 규명되었다. 게다가, rebamipide는 H. pylori의 CagA에 의해 유도되는 β-catenin과 그 표적 유전자로서 인 암줄기세포 마커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위암줄기세포의 자가재생능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rebamipide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는 화학감수성을 증가시켜서 위암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rebamipide는 위암치료제로서의 잠재적 효능을 가지고 있는 약물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표적 민감성 리포좀의 제조와 약물 방출 (Preparation and Destabilization of Target-Sensitive Liposomes)

  • 양진모;양지원김종득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28-434
    • /
    • 1995
  • Target-sensitive(TG-S) liposomes, which have the antibodies coupled on the surface of liposome and can release their entrapped contents by the binding of antibodies with the specigic target cells, were prepared and employed to study the release of calcein and the selective delivery of an anticancer agent, doxorubicin(DOX). The monoclonal antibody, Y3,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TG-S liposome was one against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1 of mouse(MHCI, H-2Kbtype) and the target cells were EL-4 and RMA, which have the MHC1, H-2Kbtype on their membrane surfacem. The release of calcein from TG-S liposome occurred when the target cells were contacted with liposomes and it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the rise of binding capacity of antibody coupled on the surface of liposome to the target cell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rug delivery were similar to the cases of calcein release. The viability of specific target cell, EL-4 with liposomal DOX was not so different from that with the free DOX, while for the non-specific target cell, Yacl(H-2Kf), the cell viability with Iiposomal DOX was much higher than that with free DOX. This shows the fact that the liposomal DOX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specific target cells, while it was not the case for the non-specific target cells. And the drug delivery was lnhibited when the free antibody of Y3 was added in the contact process between EL-4 and TG-S liposomes, which means the drug delivery occurred mainly by the destabilization of TG-S liposomes. From thes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selective drug delivery to specific target cell using the TG-S liposome would be fea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