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물침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초유중의 면역 조절 물질에 관한 연구

  • 이종길;한성순;이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58-58
    • /
    • 1993
  • 면역 조절능이 우수하고 독성이 적은 신물질의 개발을 목표로 하여 초유에 들어있는 면역물질을 검색한 결과 초유로부터 자연 살해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순수분리 하였다. 이 물질은 초유의 유청으로부터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 DEAE-cellulose ion exchange,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등의 방법에 의하여 분리되었으며, 초유의 유청 100ml로부터 최종 수득량은 1.2 mg이었다. 이 물질은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서도 분자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부터 interchain disulfide bond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물질은 실온에 방치하거나 또는 37$^{\circ}C$로 가온하면 침전을 형성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4$^{\circ}C$로 냉각시키면 다시 용해되는 특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침전이 형성되는 정도는 농도, 온도 및 이온 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전에 최적 pH는 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물질을 사람의 말초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림파구의 배양액에 가하고 18 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림파구의 적 백혈병 암세포인 K-562 세포에 대한 자연 살해능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화는 1.0 - 0.01$\mu\textrm{g}$/ml의 농도 범위에서 확인되었다.

  • PDF

Theoretical Analyses of Particle Deposition in a Five-lobe Compartment Human Lung Model (5-엽(葉) 인체 폐 모델에서의 흡입입자 침전해석)

  • 구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5-246
    • /
    • 2000
  • 공기중의 오염 입자가 인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는 흡입된 입자 (inhaled particles) 중에서 얼마나 많은 양이 폐 (lung)에 침전되는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정상 및 비정상 (diseased) 폐에서, 흡입된 입자의 침전 위치와 침전양 (deposition site and dose)은 입자의 크기와 호흡 양식(breathing pattern)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런 차이는 흡입오염입자 (inhaled pollutant particles)에 의한 건강 위험도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및 흡입용 약물 (inhaled drug aerosols)의 치료효과(therapeutic effects) 평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Numerical Study of Flow Pattern and Drug Deposition in Drug-Eluting Stent (약물분출 스텐트 주위 유동형태와 약물침전에 대한 수치해석)

  • Seo, Tae-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0
    • /
    • pp.1053-1060
    • /
    • 2011
  •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rug concentration profiles of drug-eluting stents (DES) for an ideal circular ring stent and intertwined stent models for various Reynolds numbers (Re = 200, 400, and 800). The Navier.Stokes equations coupled with the advection-diffusion equation are solved numerically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flow patterns and drug deposition are affected in the in-stent and post-stent regions where flow separation and recirculation occur. The presence of DES within the arterial segment affects the local drug distribution in the flow field. As a result, the drug concentration for the intertwined stent is higher over the in-stent region in comparison with the ideal stents. For a given stent geometry, the local drug concentration in the in-stent region decreases with Reynolds number, while for a given Reynolds number, the local drug concentration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the stent geometry. The results show that drug concentration along the arterial wall is significantly higher within the in-stent and post-stent regions for the intertwined stent geometry than for the ideal stent geometries.

Stability of Paclitaxel and Vancomycin in $5\%$ Dextrose Injection, $0.9\%$ Sodium Chloride Injection and Hartman's Solution during Simulated Y-Site Administration

  • Burm, Jin Bi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1 no.2
    • /
    • pp.62-67
    • /
    • 2001
  • Paclitaxel과 vancomycin을 $5\%$ 포도당주사액, $0.9\%$ 염화나트륨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과 함께 Y-Site 장치를 써서 환자에게 주입할 때 두 약물의 안정성에 관하며 면구하였다. Paclitaxel 0.3 mg/ml 및 1.2 mg/ml과 vancomycin 1 mg/ml, 5 mg/ml 및 10 mg/ml을 각각 1 : 1로 혼합한 후 0, 1, 2, 4, 12시간 시점에서 두 약물의 농도를 HPLC로 분석하였다, 방해물질에 의한 분석오차를 줄이기 위해 분석법을 여러상태에서 확인하였으며 각 농도에서 3차례씩 실험하였고 각 샘플은 반복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전에 각 시료의 투명도, 색의 변화, 침전상태 및 pH를 검사하였다. Paclitaxel 0.3 mg/ml 및 1.2 mg/ml와 vancomycin 1 mg/ml, 5 mg/ml 및 10 mg/mt를 각각 혼합하였을 때 12시간 동안 안정하였으며 주사액의 혼탁이나 색의 변화 및 침전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도 변하지 않았다.

  • PDF

괄루근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화학 및 활성

  • 이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45-45
    • /
    • 1993
  • 괄루근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에 대하여 continuous gel electrophoresis, SDS-Polyacrylamide gel eletrophoresis,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및 Gel filtrat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황산암모늄 분별침전법에 의한 렉틴의 정제도는 초추출물의 4.85배이며 DEAE 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법에 의한 정제도는 24.17배로 나타났고, 마지막 정제단계인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에 의한 정제도는 47.34배로 나타났다. 2) 정제된 렉틴의 분자량은 60,000da1ton으로 나타났다. 3) 사람의 혈액형에 따른 응집효과는 90-100%로 특이성은 없었다.

  • PDF

Stability of Taxol and Ondansetron Hydrochloride in $5\%$ Dextrose Injection and $0.9\%$ Sodium Chloride Injection during Simulated Y-Site Administration (Y-Site 투여시 $5\%$ 포도당액과 생리식염수에서 탁솔과 온단세트론의 안정성)

  • Burm, Jin Pi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0 no.2
    • /
    • pp.74-79
    • /
    • 2000
  • Y-Site 투여시 $5\%$포도당액과 생리식염수에서 탁솔과 은단세트론의 안정성에 관해 실온과 형광등 아래서 연구하였다. 온단세트론 0.03 mg/ml, 0.1 mg/ml, 0.3 mg/ml와 탁솔 0.3 mg/ml, 1.2mg/ml를 각각 1:1로 혼합한 후 0, 1, 2, 4, 12시간에서 즉시 약물농도를 HPLC로 분석하였다. 방해물질에 의한 분석오차를 줄이기 위해 분석법을 여러상태에서 확인하였으며, 각 농도에서 3차례씩 실험하였고 각 샘플은 2차례 연속 HPLC 분석하였다. 분석전에 각 시료의 투명도, 색의변화, 침전상태 및 pH를 검사하였다. 온단세트론 0.03, 0.1 및 0.3 mg/ml와 탁솔 0.3 및 1.2mg/ml를 각각 혼합하였을 때 12시간 동안 안정성이 있었다. 혼탁이나 색의 변화 및 침전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2시간 동안 pH의 변화는 특별한 경향이 없었다.

  • PDF

Binding of brazilin to cellular proteins in isolated rat epididymal adipocytes

  • Lee, Yong-Khil;So, Dong-Soo;Moon, Chang-Ki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173-173
    • /
    • 1996
  • 포도당 수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brazilin의 작용이 지방세포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brazilin의 단백결합 성질을 살펴보았다. Brazilin의 단백결합 실험에는 [$^3$H]-brazilin을 사용하여 결합된 양을 방사선 동위원소량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단백결합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침전을 이용한 brazilin의 BSA에 대한 결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brazilin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BSA에 결합하는 양이 증가하여 2시간에 최고치에 달했으며 그 양은 약 80% 정도였다. 세포내 단백과의 결합은 BSA에 대한 결합과는 달리 1시간만에 최고치에 달하였다. 세포내 분획에 분포하는 brazilin의 양을 알기 위하여 brazilin처리 후 세포내 분획을 원심분리로 얻어 brazilin의 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brazilin은 cytosol에 대부분 존재하며 microsomal membrane과 nuclear에 많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DS-PAGE를 이용하여 brazilin과 결합한 각 분획의 단백질을 살펴본 결과 brazilin은 cytosol의 30, 65KD, microsomal membrane의 45, 130KD, nucear의 26, 35KD, plasma membrane의 46, 228KD protein과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nteraction of Pharmaceuticals with Beta-cyclodextrin II -Interaction with Barbituric and thiobarbituric Acid- (Beta-cyclodextrin과 醫藥品(의약품)과의 相互反應(상호반응) II. Barbituric acid및 Thiobarbituric acid 誘導體(유도체)와 Beta-cyclodextrine과의 相互反應(상호반응))

  • Min, Shin-Ho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v.1 no.1
    • /
    • pp.22-29
    • /
    • 1971
  • Barbituric acid 및 thiobarbituric acid 유도체와 beta-cyclodextrin과의 상호반응(相互反應)을 수용액(水溶液)과 유기용매중(有機溶媒中)에서 각(各) 약물(藥物)을 용해도(溶解度), 분자용(分子容), 열역학적(熱力學的)인 면(面)에서 분석(分析) 검계(檢計)하였다. 본실험(本實驗)에 사용한 약물(藥物)이 모두 용액(溶液)에서는 beta-cyclodextrin과 반응(反應)하여 용해도(溶解度)가 증가(增加)하였으며 고형(固型)의 침전을 형성(形成)하지는 않았으나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한 회합(會合)이 이루어졌다. 본반응(本反應)의 기전(機轉)은 주(主)로 beta-cyclodextrin의 주요(主要)한 성질(性質)의 하나인 inclusion능(能)에 의(依)하여 이루어 졌음을 보고(報告)한다.

  • PDF

담자균류의 약효 성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병각;권지연;복진우;최응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24-24
    • /
    • 1992
  • 담자균류인 말징버섯 Calvatia craniformis의 성분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 균사체를 액내 배양하여 열수 추출한 후 ethanol로 침전시켜 단백 결합 다당체를 분리하였다. 이 성분을 DEAE-cellulose ion exchange,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그리고 Concanavalin A 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6가지 분획(Fr. A~F)으로 정제하였다. 이들을 각각 10또는 20mg/kg/day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였을때, 육종 180 고형암에 디하여 41.7~74.1%의 종양억제율을 나타내었고 $\beta$-형 다당체인 Fr. F가 종양 억제율이 가장 높았다. 화학 분석에 의해, 이 성분은 4기의 단당 mannose, xylose, galactose, glucose로 구성된 87.2% polysaccharide와 1.9%의 Protein 및 1.3%의 hexosamine 함유하고 있고 이 성분의 분자량은 5.5 $\times$ $10^4$ dalton이었다. 이 성분을 calvatan이라 명명 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Valuable Compounds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with High Payload Using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s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함량 유용 약물 담지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

  • Kim, Nahae;Kim, Juyou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1
    • /
    • pp.26-34
    • /
    • 2016
  • In this study,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CCAP)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a reactive amphiphilic polymer precursor (RARP) were used for preparing some valuable compounds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with high payload through nanoprecipitation process. Various solvents (acetone, ethanol, and THF) having different polarity and CCAP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different amphiphilicity wer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alpha}$-tocopherol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payload, nanoparticle size, and stability. CCAP dissolved in hydrophobic solvent, THF, could form ${\alpha}$-tocopherol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dispersed in water with the high payload of ${\alpha}$-tocopherol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Because of their physically and chemically robust nano-structure originated from crosslinking of the hydrophobic core, CCAP nanoparticles could encapsulate ${\alpha}$-tocopherol with the high payload (33 wt%)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97%), and form 70 nm-sized stable nanoparticles in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