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물치료이행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323 seconds

인공심장판막치환 환자의 와파린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약물복용이행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arfarin Related Knowledge, Self Efficacy and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 with Prosthetic Heart Valve Replacement)

  • 길아람;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84-592
    • /
    • 2020
  • 본 연구는 와파린 약물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약물복용이행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와파린 약물복용이행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효율적인 맞춤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18년 2월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심장판막 수술을 받고 와파린을 복용한지 6개월 이상 된 외래 통원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과 약물복용이행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r=.285, p=.004)를 보였다. 70세 미만에서 약물복용이행도는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r=.250, p=.046)과 자기효능감(r=.292, p=.019)에서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70세 이상에서 약물복용이행도는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r=.358, p=.03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약물복용이행도의 차이에서 70세 미만(7.24±1.30)과 70세 이상(7.09±1.00)에서 연령과 상관없이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약물복용이행이 비슷한 수준으로 잘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어 어떤 요소가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약물복용이행도를 높게 유지하는 지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따라서 약물복용이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 교육 측면으로 1:1개별 교육프로그램,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 연구 측면으로 각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가 연계되어 와파린 복용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시각적 측면으로 약물 교육에 대한 멀티미디어 효과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일 지역 고혈압 환자의 약물치료 이행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Hypertensive Patients)

  • 서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9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One hundred sixty two patients with hypertensio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s of health centers in J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done from January 9 to February 25, 2008. To analyze the sample survey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WIN 12.0. Results: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autonomous motivation, competence, health status, and sex. These variables explained 24% of medication adherence (F=12.48,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programs that focus on autonomous motivation and competence and to give consideration to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and sex.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autonomous motivation related to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제2형 당뇨병 성인 남성 환자의 약물치료 이행과 혈당 조절 수준 간에 치료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gimen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Glycemic Control in 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서영미;최원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170-17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gimen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glycemic control in men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A total of 116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as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Baron and Kenny steps for mediat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medication adherence was 6.32, and the mean glycemic control level (HbA1c) was 7.47%. The mean score was 2.37 for regimen di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edication adherence, regimen distress, and HbA1c. Regimen distr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a}$=.22, p=.0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HbA1c (Sobel test: Z=2.47, p=.013). Conclusion: Regimen distress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glycemic control in men with type 2 diabet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decreasing regimen distress are highly recommended to improve level of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가 기흉 수술 환자의 약물복용 및 치료 지시 이행도, 질병에 대한 지식과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lanned Discharge Nursing in Compliance, Knowledge,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for Patients hav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이원진;방윤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21-12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기포 절제술을 받은 기흉 환자에게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지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약물복용 이행도, 치료 지시 이행도, 질병에 대한 지식과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소재 K 종합병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기포 절제술을 받은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지침은 포괄적인 문헌 고찰과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는 흉부외과 간호사가 3회 실시하였으며 1회 교육시간은 약 30~4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제공 후 치료 지시 이행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복약순응도(t=-2.05, p=.044), 약알 세기 약물 이행도(t=-2.61, p=.011), 질병에 대한 지식(t=-4.39, p=.001), 간호 만족도(t=-4.13, p=.00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의 제공은 기흉 진단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위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합병증이나 재발과 같은 장기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유방암 환자의 호르몬치료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이행에 관한 연구 (Patients' Knowledge and Medication Adherence to Adjuvant Hormonal Therapy for Breast Cancer Treatment)

  • 조영미;권인각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2호
    • /
    • pp.234-24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knowledge and medication adherence to hormonal therapy (H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6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HT for breast cancer in 3 general hospitals from July 1 to August 14 in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grave{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of knowledge about HT was $5.15{\pm}2.22$ (Max 9), and that of medication adherence was $5.76{\pm}1.65$ (Max 8). Younger age, shorter duration of HT,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or treatment, positive perception for impacts of HT, and stronger belief in cure were influencing factors on higher adherence level. Age, duration of HT, and perception on the impacts of hormonal therapy, and belief in cure explained 25.2% of the adherence. Conclusion: To improve the treatment adherence to hormonal therapy, patient education and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and the tailored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with older age, and long treatment period of HT are needed. Additionally, the strategies for diminishing unintentional forgetting is necessary to be developed.

제제설계 및 Scale Up

  • 홍순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3권3호
    • /
    • pp.115-125
    • /
    • 1983
  • 제제설계란 제형의 설계 및 그에 따른 처방설정(formulation)을 의미하며 경험적인 제제방법 및 그 기술측면에서의 제제화는 주악 및 첨가물의 종류와 배합비율의 설정등 비교적 단순한 내용을 의미하지만 의약품은 실제적으로 인체에 적용되므로 치료설계상의 연구와 생물약제학적 검토에 의한 유효정과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야 한다. 또한 약물의 효력은 체내 특정부위에 특정농도의 약물분포가 필요하고, 일정시간 지속되는 것이 요구되므로 약용량도 중요하지만 약물투여 후의 흡수, 체내이행, 대사, 배설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부형제의 영향도 검토하여야 한다. 제제물리학적 측면에서 품질보증을 위하여 preformulation단계에서 주약의 물성검토, 첨가제의 사용량, interaction 및 혼합순서 등과 처방설정 단계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특성 및 능력, 제제화 후의 포장용기 및 포장상태에서의 안정성 등도 면밀히 검토하여야한다. 제제설계란 단순한 dosage form의 design만이 아니고 유효성이 높고, 부작용이 적은 제제를 합리적으로 만드는 기술과 정보의 종합관리로 scale up과정에서 원료, 기계장치, 제조방법, 작업자 등에 의한 품질변동 요인을 극소화하고, 공정의 초기단계에서 즉시 조정될 수 있는 종합관리 system이 필요하다.

  • PDF

청장년층 약물치료 당뇨환자의 비약물적치료 병행 여부에 따른 웰빙: 경로분석 (Well-being of young and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with medication according to combination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a path analysis)

  • 김선경;김유미;김선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01-410
    • /
    • 2020
  • 본 연구는 당뇨병을 진단받고 약물요법 중인 청장년층을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CHS) 자료를 활용하여 경구약물치료 중인 20세~49세의 당뇨환자 1,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개인특성요인(사회경제적 수준, 식습관, 건강 습관, 건강검진이행)의 웰빙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집단 간 신체활동의 매개효과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약물요법만 시행하는 집단의 경우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그룹에서는 신체활동의 직접적 효과와 개인특성요인들의 간접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치료를 시작한 청장년층 환자들의 특성과 질병관리 수준을 반영한 웰빙 향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미세변화형 신증후군(MCNS)으로부터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으로 이행된 환아의 임상양상 (Clinical Analysis of Children with Transitory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MCNS) to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CS))

  • 이지은;육진원;이의성;김지홍;김병길;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17-24
    • /
    • 2000
  • 목 적 :소아의 원발성 신증후군 중 $85\%$이상을 차지하는 미세변화형 신증후군(MCNS)은 스테로이드 치료로 완전 관해가 잘 오는 예후가 양호한 질환이다. 반면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신부전으로의 진행 및 신이식 후의 재발률이 높아 장기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검상 MCNS로 진단된 환아 중 여러 약물 요법에 반응이 불량하거나 증세의 악화가 있어 추적 관찰하며 시행한 2차 신생검상 FSGS로 조직 소견의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드물게 있어 본 저자들은 이들의 임상 양상의 특징을 비교 고찰하여 MCNS로부터 FSGS로 이행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에서 신장생검 상 미세변화형 신증후군 및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아 2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병리 소견상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을 보인 군(MCNS군),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을 보인 군(FSGS군)및 MCNS로부터 FSGS로 이행된 군(이행군)등 3개 군으로 나누어 이들 각 군의 임상 양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MCNS군 241명($81.4\%$), FSGS군 47명($15.9\%$), 이행군 8명($2.7\%$)으로 총 296명 이었으며, 평균 발병 연령은 MCNS군 $6.0{\pm}2.6$세, FSGS군 $7.2{\pm}4.3$세, 이행군 $8.3{\pm}2.6$세였고, 남녀비는 MCNS군 3.7:1, FSCS군 1.8:1, 이행군 3:1이었다. 내원 당시의 혈뇨, 고혈압, 24시간 뇨단백량, 혈청 알부민, 혈청 콜레스테롤, 혈청 크레아티닌 등을 비교하였으며, 이중 이행군:FSGS군 간의 비교에서 24시간 뇨단백량 $686:342mg/m^2/hr$(P<0.05), 혈청 알부민 1.92:2.47g/dL(P<0.05), 혈청 콜레스테를 494:343 mg/dL(P<0.05)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이외에는 이행군과 FSGS군 또는 MCNS군과의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MCNS군 $13.3\%$,이행군 $12.5\%$,FSGS군 $59.6\%$로 FSGS군이 의미있게 많았으며(P<0.05), 스테로이드 이외의 면역억제제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는 MCNS군 $58.5\%$, 이행군 $100\%$, FSGS군 $80.8\%$로 MCNS군에 비해 이행군과 FSGS군이 의미있게 높았다(P<0.05). 평균재발횟수는 MCNS군 $0.84{\pm}0.21$회/6개월, 이행군 $1.07\pm}0.53$회/6개월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관해에서 첫 재발까지의 기간 역시 MCNS군 6.94${\pm}$1.92개월, 이행군 $6.71{\pm}4.89$개월, FSGS군 $5.27{\pm}12.48$개월로 각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에서 치료 경과중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 이행된 예는 전체 MCNS의 249명중 8명으로 $3.2\%$였다. 이들의 임상양상의 특징을 비교 고찰한 결과 이행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은 없었다.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 중에서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또는 강력한 면역치료에도 관해가 오지 않는 경우 등에는 신장 조직 생검을 재시행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하겠다.

  • PDF

당뇨병환자의 자가혈당검사, 약물, 식이 및 운동 치료지시이행 (A Survey of Blood Glucose Testing, Medication, Diet, and Exercise Adherenc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2 Diabetes)

  • 김희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1-18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herence to diabetes control recommendations (blood glucose testing, medication, diet, exerci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t home and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adherence and blood glucose level. Method: Participants, numbering 214, were recruited from the endocrin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an urb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 report adherence questionnaire. Glycosylated haemoglobin (HbA1c) was determined by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echnique and fasting blood glucose was analyzed by the glucose oxidase method. Result: Medication adherence was higher than diet or exercise adherence. The frequency of blood glucose testing was lower for middl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graduates. Diet adherenc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participants who were obese, who did not have a spouse, and who had hyperglycemia. Medication and diet adher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bA1c. Conclusion: A die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are obese, who do not have a spouse, and who have hyperglycemia.

  • PDF

일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의 치료적 요법의 이행수준 - 약물복용과 생활습관을 중심으로 - (Compliance Level with Therapeutic Regimen of Medication and Life Style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Rural Communities)

  • 안양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33
    • /
    • 2007
  • Purpose: To identify the compliance level with therapeutic regimen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siding in rural communities. Method: A descriptive-retrospec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One hundred patients with hypertension using 8 Primary Health Care Posts under W Public Health Center were randomly recruited on the basis of being over 35 years of age. After obtaining written consent, the patients underwent direct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carried out by 8 public health practition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utilized. Results: I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age, sex, education, income, and occupation, those who were receiving medication (OR=5.34), were undergoing a weight control program (OR=4.45), restricted alcohol (OR=9.93), or smoking cessation (OR=25.59) as recommended by medical or health professionals were more compliant (p<.05) while those under a low salt diet,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5).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so a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in respect to medication and life style mod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