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물전달

Search Result 41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search Trends of Utilization of Halloysite as a Prospective Ingredient of Cosmeceuticals (장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의 할로이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동향)

  • Suh, Yong-Jae;Jang, Young-Nam;Kil, Dae-Sup;Chung, Kang-Sup;Lee, Su-Jeo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443-450
    • /
    • 2008
  • 나노튜브 형상의 할로이사이트는 화장품 약물 등 활성물질의 방출시간을 연장하는데 응용할 수 있는 천연 나노광물이다. 할로이사이트를 이용한 활성물질 적재 방출 제어기술을 최초로 등록한 1997년 미국 특허를 필두로 2007년에는 비타민과 글리세린 등의 기능효과제를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기능성화장품 제조기술에 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학술 논문으로서는 화장품 보다 서방형 약물전달 기술에 관한 연구가 주로 발표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용 분체에 단순한 기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추가로 부여하고 있다. 특히, 할로이사이트는 기능성 화장성분의 전달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분체보다 밀도가 낮아 팩 크림 로션류의 기재로 적합하다. 따라서 나노튜브형 할로이사이트를 활용한 나노캐리어 기술은 최근 화장품 유형별 시장점유율에서 2위로 부상한 기능성화장품 분야의 핵심기술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Properties of Photo-Reactive Natural Polymer Derivatives and Its Applications (광반응성 천연 고분자의 특성 및 생체재료로의 활용 방안)

  • Kim, Eun-Hye;Jeong, Jin-Hong;Han, Ga-Dug;Son, Tae-Il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18 no.4
    • /
    • pp.1-9
    • /
    • 2015
  • 최근 신체의 손상된 조직 및 세포를 재생하기 위해 약물 전달이 가능한 생체재료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체재료 개발을 위해 생체적합하며 생분해성이 뛰어난 천연고분자가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약물 전달을 위한 고정화 방법은 화학적 가교가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이 방법의 여러 단점들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광반응성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약물광고정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글에서는 광고정화를 위해 합성되는 여러 광반응성 천연고분자의 종류 및 특성과 생체재료로써의 활용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신경전달물질 조절효소의 절제 및 특성 연구

  • Choi, Soo-Young;Kim, In;Song, Min-Sun;Jang, Sang-Ho;Choi, Eui-Yeol;Cho,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81-181
    • /
    • 1994
  • 포유 동물의 중추 신경계에서 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4-aminobutyrate(GABA)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GABA transaminase (GhBA-T)와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SSR)를 각각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GABA-T는 subunit 분자량 50kDa을 가진 dimer이며 화학 변형(chemical modification), 흡광, 형광스펙트럼 연구에 의하면 cysteinyl잔기가 활성 부위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SSR은 2-mercaptoethanol이 존재하든 안하든 o-pthalaldehyde(OPA)에 의하여 효소 활성도가 상실되었으며 흡광 및 형광스펙트럼에 의하면 OPA가 효소의 활성 부위의 lysyl잔기와 반응하여 cysteinyl잔기와 함께 intermolecular cross-linking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SR은 몇가지 anticonvulsant drug에 의하여 부분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안트라싸이클린계 항암.항생제의 유사제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 장영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19-119
    • /
    • 1993
  • 안트라싸이클린계 항암항생제의 부작용 발생기전으로는 C-고리의 퀴논 부위에 전자가 전달되어 퀴논 고리가 환원되는 과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전자가 전달되어 생성되는 활성산소(activated oxygen)가 심장독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퀴논 고리의 환원력(전자흡수능력)이 C-고리자체의 변환, 또는 인접 B-고리에 도입된 치환체의 영향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보고를 이론적 근거로 하여 안트라싸이클리논 골격을 전자흡수 능력을 가진 acridone 골격으로 치환한 화합물(1)과 안트라싸이클리논 골격을 유지하면서 aminosugar 부위를 pentopyranose계열을 도입 한 2 합성하였다. 화합물 1은 1,3-butadiene 과 1,4-benzoquinone 의 Diels-Alder adduct 3을 출발물질로 하여 7 단계의 반응과정으로 합성하였다.

  • PDF

Release Behavior of 5-FU from 5-FU/PLGA Wafer using Recrystallized PLGA and Monomer (재결정 PLGA와 단량체를 이용한 5-FU/PLGA 웨이퍼의 방출거동)

  • Park, Jung Soo;Choi, Myoung Kyu;Kim, Yun Tae;Lee, Jun Hee;Mo, Jong Hyun;Khang, Gilson;Rhee, John Moon;Shin, Hyung Shik;Lee, Hai Ba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2
    • /
    • pp.205-210
    • /
    • 2008
  •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has been widely used as carriers in controlled release delivery systems due to its biodegradability and relatively good biocompatibility. However, Release pattern of carriers fabricated using PLGA have disadvantage an initial burst within a few days, lag time several days and then sudden release changes. To solve these problems of PLGA, we fabricated PLGA wafer including monomer. Also, drug release behavior restraint sudden burst effect using recrystallization of PLGA. Recrystallized PLGA was characterize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 by SEM and in vitro release behavior measured by HPLC. The PLGA molecular weight analyzed to recognize monomer influence during degradation process of polymer using GPC. In this study, drug release duration cut short up to three days and was eliminated the lag time based on the bulk ero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