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야채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야채를 이용한 soup mix의 제조조건이 야채죽의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용욱;금준석;이종욱;은종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3-123
    • /
    • 2003
  • 야채 soup mix의 제조조건이 야채죽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Soup mix의 제조조건인 주입액의 양 (쌀 무게에 대한 물의 체적 비), 버섯, 당근 그리고 대파의 첨가량(쌀 무게에 대한 잣의 무게 비)에 따른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자 반응 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실험계획은 중심합성계획법을 적용하였다. 요인변수(Xn)를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7실험구로 구분하여 조리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들 요인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응변수(Yn)는 야채죽의 물리적 특성으로 하여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모델식의 예측에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야채죽의 조리조건이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SAS program을 이용한 3차원 반응표면분석법으로 해석하였다. 야채의 배합비를 달리한 야채죽의 물리적 특성인 색도 L, a 및 b값에 대한 F-value는 자각 1.50, 11.75 및 5.58이고,유의수준이 각각 0.3044, 0.0019와 0.0169로서 a값과 b값의 유의성이 1% 수준에서 인정되어 이들 제조조건이 a값과 b값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와 퍼짐성에 대한 유의수준은 각각 0.6920과 0.7528이고, 반응표면회귀식의 $R^2$은 각각 0.4766과 0.4436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고형분에 대한 유의수준은 0.2026이고 회귀식의 $R^2$는 0.7107으로서 버섯, 당근 및 대파 첨가량이 고형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적 특성인 색상에 대하여 soup mix의 제조조건이 야채죽에 미치는 영향은 F-value는 6.23이고, 유의수준이 0.0124으로서 1%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회귀식의 $R^2$은 0.8890이다. 향에 대한 유의확률은 0.4555이고 0.05이상이므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설정된 범위내에서 야채죽의 향에 대하여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성에 대한 반응표면회귀식의 $R^2$은 0.8134로서 그 유의성이 5%수준에서 인정되었다. 맛과 전반적 기호도에 대하여 야채의 배합비에 따른 반응표면회귀식의 $R^2$은 각각 0.7374와 0.8651이며, 유의화률은 0.1578과 0.0228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영향은 10%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물리적 특성인 색도, 점성, 퍼짐성과 고형분의 함량은 관능적 특성인 색과 비교적 높은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특성인 향과의 상관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야채죽 제조를 위한 soup mix의 제조조건에 있어서 야채의 배합비는 색과 점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 PDF

신선채소 섭취에 의한 타액의 아질산 함량 변화

  • Choe, Seong-Hui;Kim, Gi-Suk;Jo, Su-Hyeon;Lee, Ju-Un;Gang, Jong-Ok;Lee, Geu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02-406
    • /
    • 2004
  • 신선야채를 섭취한 후 타액에 분비되는 아질산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채소와 육제품 소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20-40대 성인 남녀를 대조군, 야채 제한섭취군, 자유섭취군 등의 3 군으로 나누어 하루동안 실험식이를 섭취하도록 한 후 타액의 아질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하루 동안 김치와 야채, 염지육제품 등 질산과 아질산 함유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식전 타액의 아질산 농도는 1.93 ppm으로 매우 낮았으며, 식후 1 시간과 3 시간에도 각각 2.79 및 2.54 ppm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대조구와 같이 하루 동안 김치와 야채를 비롯한 질산과 아질산 함유 식품 섭취를 제한한 야채 제한섭취군도 식전 타액의 아질산 농도는 3.24 ppm으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으나 점심으로 야채 쌈밥을 섭취한 후 1 시간과 3 시간에는 28.3과 33.05 ppm으로 매우 높았다. 타액 채취 전 하루 동안 일상적인 식사를 자유롭게 섭취한 자유섭취군의 경우는 식전 타액 아질산 함량이 7.91 ppm으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며, 야채 쌈밥 식사 후 1 시간과 3 시간 후에는 21.51과 28.37 ppm으로 증가하였다.

  • PDF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유기농 야채의 무기물 및 비타민 함량)

  • Kim Hyong-Yol;Lee Keun-Bo;Lim Heung-Youl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3
    • /
    • pp.424-429
    • /
    • 2004
  •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determined in vegetables purchased at Garak-dong market and organic vegetables cultivated at Hongchun, Kangwon-do. The vegetables were Kale, Angelica Keiskei Koid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In proximate component contents, analyzed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organic vegetab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vegetables. Organic vegetables had strong green color. Minerals such as sodium, potassium, calcium, phosphorus, iron as well as vitamins were determined.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vegetables. Total mineral content of organic and general kales were 811.8 mg/l00g, and 688.1 mg/l00g, respectively. Total mineral content of organic Angelica Keiskei Kow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were 447.9, 486.5, 368.6, and 320.9 mg/100g, respectivel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vegetables temperature in the pre-cooling vacuum unit (진공 예냉장치 내에서의 야채류의 온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Won, Jong-Ho;Park, Sang-Gyun;Yoon, Seok-Hoon;Oh, Cheo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10
    • /
    • pp.879-884
    • /
    • 2007
  •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or various vegetables in vacuum precooling system. The materials for experiments were the lettuce, chinese cabbage, pak choi and cabbage. The experimental apparatus was constructed of vacuum chamber, vapor/water separator, water tank, pumps ejecting and cooling water circulation, refrigerator unit, cooling coil for water cooling, Hygrometer and Data logger measuring of the temperature change. The experiments were operated in 20torr and recorded every 3 minutes. It was found that the cooling temperature and speed of vegetables are depending on the percentage of its water content. The more water contains, the faster cooling speed and the lower cooling temperatur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egetable Soup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야채스프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 Sim, Jae-Geun;Lee, Jae-Hyeok;Shin, Tae-Yong;Shin, Hye-Young;Jeong, Sook-Hee;Kim, Mi-Hye;Ku, Ho-Jun;Park,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8
    • /
    • pp.1097-1101
    • /
    • 2010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 vegetable soup (V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vegetable soup on pro-inflammatory factors such as NO, iNOS and TNF-$\alpha$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e cell toxicity was determined by MTS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vegetable soup, amount of NO was measured using the NO detection kit and the iNOS expression was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lso,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by ELISA k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egetable soup reduced NO, iNOS and TNF-$\alpha$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vegetable soup may have an anti-inflammatory property through suppressing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s and appears to be useful to develop the functional food realted to anti-inflammation.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Vegetable Soup in Human Cancer cells for Wellness Convergence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야채수프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 Sim, Jae-Geun;Lee, Jae-Hyeok;Park, Jeong-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543-548
    • /
    • 2015
  • The present stur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antiproliferation in human cancer cells using the ordinary vegetable soup (VS), the soup with broccoli (VSB) and the soup with tomatoes(VST). Human cancer cells identify the cancer cell growth with MTS, using stomach cancer cell line(AGS),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and lung cancer cell line (A549). VSB and VST are effective on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of AGS and have a significance compared with VS. VST has a significance with HL-60 and VSB works well in A549 more than VS. Mixed vegetable soup is considered to applicate with functional materials and using for wellness lif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Convergence of Vegetable Extract in Cancer cells (야채추출물의 융복합적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 Park, Hae-Ran;Park, Jeo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
    • /
    • pp.491-496
    • /
    • 2016
  • The present stur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antiproliferation in human cancer cells, using vegetable extract of Radish, Radish leaves, Burdock, Shiitake, Carrot of the ordinary vegetable soup. Human cancer cells identify the cancer cell growth with MTS, using stomach cancer cell line (AGS),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and lung cancer cell line (A549). Shiitake and Carrot are effective on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of AGS. Radish leaves, Burdock, Carrot have a significance with HL-60 and Radish, Radish leaves works well in A549. The vegetable extracts which is effective for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is considered to applicate base line data for using functional materials and for wellness life.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 이용욱;금준석;은종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7.2-168
    • /
    • 2003
  • 현대 사회는 서구적인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조리가 간편하고 조리 시간이 짧은 즉석식품과 영양 기호식품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음식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미곡의 공급량에 비해서 소비량이 해마다 감소하여 재고미의 증가를 볼 때, 쌀의 새로운 이용방법 모색이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쌀의 소비촉진과 현대사회의 소비형태를 접목시켜서 쇠고기와 야채를 이용한 즉석쌀죽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쇠고기, 야채 및 쌀가루를 이용한 soup mix의 최적 배합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조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때 야채의 배합비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였다. 요인변수(Xn)를 쌀의 양에 대한 버섯의 비율 (X$_1$), 당근의 비율 (X$_2$), 대파의 비율 (X$_3$)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7실험구로 구분하여 조리실험을 실시하였고, 반응변수(Yn)는 soup mix를 이용하여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특성인 색도의 L*값 (Y$_1$), a*값 (Y$_2$), b*값 (Y$_3$), 점도(Y$_4$), 퍼짐성 (Y$_{5}$), 고형분 함량(Y$_{6}$), PH (Y$_{7}$)으로 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인 색 (Y$_{8}$), 향 (Y$_{9}$), 점성 (Y$_{10}$), 맛 (Y$_{11}$), 전체적인 기호도 (Y$_{12}$)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에 이용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모델식의 예측에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3차원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해석하였다.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물리적 특성인 색도의 L*, a*, b* 값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각각 0.6098(p> 0.05), 0.8803 (p <0.05), 0.6781(p> 0.05)로서 b값에 있어서 그 유의성이 5%수준에서 인정되어 b값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값은 63-68사이로, a*값은 0.13에서 -0.89사이를 b*값은 2-5값 사이에서 변화하여 제조한 죽의 색이 옅은 황색임을 알 수 있었다. 고형분 함량, 퍼짐성과 pH에 대한 $R^2$은 각각 0.4280, 0.5433과 0.2406임을 볼 때 버섯, 당근, 대파의 비율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고형분 함량, 퍼짐성과 pH는 설정된 범위내에서 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향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각각0.6000과 0.7825이고 P-value는 각각 0.4290과 0.0942로서 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맛과 점성에 대한 $R^2$은 0.8717과 0.8068이고 P-value는 각각 0.0195 (p <0.05)와 0.0612로서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맛에 있어서 유의확률 5%수준에서 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유의성은 $R^2$이 0.8463이고 P-value는 0.0344 (p <0.05)임을 볼 때, 설정된 범위내에서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맛과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최대 임계점이 버섯의 첨가량은 0.99%, 당근의 첨가량은 0.97%, 대파의 첨가량은 0.59%에서 최적 반응표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야채의 배합비에 따른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그 유의성이 5%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oup mix 제조시 쌀가루 양에 대한 야채의 최적 배합비는 버섯, 당근, 대파에 있어서 각각 0.99, 0.97과 0.59%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ntent of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in Organic Vegetables (잔류농약, 무기물 분석에 의한 유기농 채소의 판별: 유기농 채소의 잔류농약 함량)

  • 김형열;이근보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1
    • /
    • pp.57-62
    • /
    • 2004
  •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was determined about both general vegetables marketed at Garak-dong market and organic vegetables cultivated at Hongchun, Kangwon-do. The vegetables were kale, Angelica Keiskei Koid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of 5 kinds general vegetables were 93.5, 57.7, 112.4, 76.5, 65.2 ppm, respectively. This residual levels were showed 75.35, 70.68, 78.49, 70.49% about standard level, respectively. Angelica Keiskei Koidz was not able to calculate the residual level because the standard level was not established in Korea. In contrast, the residual levels of organic vegetables were determined 36.4, 21.0, 42.9, 29.1, 25.1ppm, respectively. This level was about 30% of standard level, 38.93, 36.40, 38.17, 38.04, 38.50% of general vegetables. At the result,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of organic vegetables was less than 40% of general veget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