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앱 개발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36초

어린이 급식소의 효율적인 급식관리를 위한 위생·안전지수·영양지수 관리 웹 & 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giene Safety Quotient (HSQ) and Nutrition Quotient (NQ) Management Web & App Program for Efficient Foodservice Management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 정다정;강현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3호
    • /
    • pp.221-233
    • /
    • 2020
  •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eriodically visited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for hygiene, safety and nutrition management, and the 'HSQ (Hygiene Safety Quotient) and NQ (Nutrition Quotient) Management Web & App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health, safety, and nutrition management statu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HSQ is a comprehensive hygiene and safety index consisting of six categories from the hygiene and safety checklist for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NQ is a nutrition index for foodservice facilities consisting of five categories from the nutrition checklist. First, this program can be used to efficiently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ren's foodservice. Foodservice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the result report prepared by the center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or place. Second, it can be used as "a channel for comfortable communication with foodservice facilities". Foodservice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a route where questions and resolutions can be communicated to the center. Third, it is easy to compare and review the results of foodservice facilities by institution and number of visits while downloading the results data at the same time, as the result report is written based on hygiene, safety, and nutrition visits. Through such programs, it is believed that standardized work and integrated management will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center's employees. It is also thought that these programs will promote healthier life-styles in children by establishing a safe food environment for children's foodservice.

상업 시설의 주차공간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디자인 (Designing a Daily Routine Charging Service at Commercial Sites for Electric Vehicle Users)

  • 김정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29-434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물질 배출(CO2, 질산화물 등)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기차 충전기는 비즈니스 지구 및 주택 지구등을 포함하는 도심 지역에 설치되어 있기에 교외에 거주하는 전기차 사용자들은 정기적 충전 루틴을 확립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상황 개선을 위해 국내 거주 전기차 사용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편의점 및 식당(주차장을 보유한) 등과 연계한 생활 밀착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사람들이 카페나 식당에서 짬짬이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처럼 쇼핑과 식사를 하면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서비스가 지향하는 목표이다. 전기차의 충전과 유지보수에 관한 현재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유저 다이어리 연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본 서비스 디자인 개발과정에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서비스가 타게팅하는 상업시설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두 가지 유형의 충전 장치인 벽걸이형 스마트 소켓 및 폴형 스마트 소켓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사이버-물리 교차로 시스템에서 참조이동모형 기반 녹색신호 최적화 가속도 조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ght Optimal Speed Advisory Based on Reference Mobility Models (GLOSA-RMM) in Cyber-Physical Intersection Systems (CPIS))

  • 정한유;수라마다 토미 앗히야사;응웬 호아 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8호
    • /
    • pp.544-55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 주변의 고정된 위치에 있는 노변기지국과 WAVE/DSRC 기반 자동차통신단말, 그리고 스마트폰 앱을 긴밀하게 상호 연동하는 사이버-물리 교차로 시스템(CPIS)을 소개한다. CPIS 구조를 기반으로 교차로 정지시간과 연료소모를 줄이기 위한 참조이동모형 기반 녹색신호 최적화 속도조언(GLOSA-RMM)을 제안한다. GLOSA-RMM은 자동차의 다양한 참조이동모형들을 기반으로 자동차의 현재 위치/속도 정보와 교차로 교통신호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속도조언을 결정하고, 이를 화면과 음성으로 동시에 제공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를 최소화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노변기지국과 자동차통신단말, 그리고 안드로이드 앱(App)의 개발을 통해 CPIS 시작품을 구축하고, 실차 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GLOSA-RMM 알고리듬이 교차로 정지시간과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위한 영상 잡음 제거 알고리즘 (An Image Denoising Algorithm for the Mobile Phone Cameras)

  • 김성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01-6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제한된 연산 환경에 적합한 영상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할 시에 스마트폰에서 보다 빠르게 영상 후처리 결과물을 얻고, 품질적인 면에서도 비교할 만한 수준의 영상을 얻는 앱 환경에서 실용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저조도 환경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위한 영상잡음 제거 알고리즘은 영상획득 과정에서 발생한 가우시안 잡음만 찾아내어 제거함으로써 영상 복원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산량을 감축하면서 윤곽선의 블러링 현상을 방지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평균필터와 메디언 필터 적용 기법들에 비해 훨씬 양호한 PSNR 값을 가짐을 보였다. 그리고 영상 내 윤곽선의 흐려짐을 방지하여 기존의 방법들에 의한 결과들보다 선명한 영상 품질을 가지며, 또한 기존의 라플라시안 마스크 연산적용에 비해 연산량을 약 52% 감소시킴으로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 앱으로 구현 및 적용했을 때도 복원된 영상이 원 영상에 훨씬 근접하는 영상복원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광고 인젝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obile Advertisement Injection)

  • 조상현;허규;최현상;김영갑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049-1058
    • /
    • 2017
  • 최근 무선 네트워크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를 통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광고(mobile advertisement) 형태도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유선 환경에서 발생하였던 광고 인젝션(advertisement injection; ad injection)이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원하지 않는 광고의 노출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광고 인젝션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PC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앱(mobile app)의 광고 인젝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인젝션의 유형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기법을 통하여 광고 인젝션 코드 및 행위에 대한 정적 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존 PC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과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비콘 기반의 온오프라인 관광 솔루션 (BLE Beacon Based Online Offline Tourism and Solutions for Regional Tourism Activation)

  • 류갑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1-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지역 상권들과의 연계가 가능하며 실시간 관광정보 업데이트 및 무선 데이터망 없이도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비콘기반의 온오프라인 관광 솔루션(BBTS)을 제안한다. BBTS는 블루투스 기반의 저전력 데이터 공급시스템과 비콘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공급시스템은 브류투스 비콘 기반의 Pairing/non-pairing 데이터 전송모듈과 일체형 하드웨어로 되어있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은 설치된 비콘 중심으로 사용자의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모듈, 주변정보(교통, 숙박 쇼핑, 관광지 등)를 제공하는 기능 그리고 관광지 정보수집 서버구축과 내부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BBTS는 Beacon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관광객이 요구하는 실내 관광서비스가 가능하며 실외관광 정보는 비콘에서 수신 받는 정보를 APK 파일로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어 스마트관광 서비스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Intention to Use Mobile Delivery Application Services, Depending o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 박민희;권만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40-448
    • /
    • 2017
  • 본 연구는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연구모형으로 채택하고,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개인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희성에,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유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유희성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모바일 배달 앱 서비스 개발에 있어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고려한다면,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불법 촬영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심으로- (Digital forensic framework for illegal footage -Focused On Android Smartphone-)

  • 김종만;이상진
    • 디지털포렌식연구
    • /
    • 제12권3호
    • /
    • pp.39-54
    • /
    • 2018
  • 최근 불법촬영 사건 근절을 위한 논의가 사회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사기관과 정부 관계부처에서도 불법촬영과 같은 사이버 성폭력 범죄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핵심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사이버 성폭력 처벌법을 정비해서라도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이렇듯 불법촬영 사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장수사관과 전문분석관은 불법촬영물 은닉 어플리케이션(앱)들이 마켓과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유포되고 있어 증거 수집과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불법촬영 사건 수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불법촬영 사건의 증거 수집 및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증거 수집 및 분석에 있어, 주요 방해 요인 중 하나인 무음 및 은닉앱을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지 도구를 함께 개발하였으며, 상용 은닉앱을 사용해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기기에서의 그림검사를 위한 Application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the Drawing Test)

  • 김선희;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07-717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을 확인하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PPAT 그림검사는 사람이 사과를 어떤 식으로 따는지 문제해결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검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하 FEATS) 항목 14개 중 '문제해결력' 항목에서 인터넷 과몰입군이 일반사용자군 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과몰입군의 경우 사과를 향해 손을 뻗지 않고 있거나, 사과가 떨어지는 그림, 합리적인지지 기반 없이 사과를 따는 방법으로 사과를 따른 모습을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내용은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사용한 PPAT 그림 검사가 본래의 목적인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드러내었다는 점은 앞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들을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익숙하게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PPAT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연구; 전통시장 배달 앱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igital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Markets;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Delivery Application)

  • 홍수지;양종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84-491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의 시도로 진행되는 전통시장 배달 앱(application; app)의 성공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전통시장 배달 앱의 성공요인을 앱의 시스템 특성, 배송 특성, 상품 특성, 고객 응대 특성의 4가지로 설정하고 운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전통시장 배달 앱을 이용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상인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앱의 시스템 특성, 배송, 상품판매와 관련한 판촉활동은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 응대와 관련해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일부 배달 앱의 경우 고객의 리뷰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메뉴가 탑재되어있지 않아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전통시장 배달 앱이 시행의 초기 단계이고 점진적으로 확대되어가는 현 상황에서 전통시장 배달 앱의 특성을 파악하고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전통시장 배달 앱의 개발 지표를 만들고 디지털 전환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데 본 연구의 시사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