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앨퉁이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Yousu)

  • 유재명;이은경;김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5-302
    • /
    • 1999
  • 여수주변해역에서 부유성 어란과 치자어의 분포 조사가 1996년 8월, 11월과 1997년 1월, 4월에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 중 어란은 4종, 치자어는 24종이 동정되었다. 어란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가 전체 어란 출현량의 $8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동갈양태류 (Callionymidae spp.) ($1.6\%$), 그리고 전어 (Konosirus punctatus)와 앨퉁이 (Maurolicus muelleri)는 $1.0\%$ 미만으로 출현량 비율이 매우 낮았으며 기타 미동정 어란은 $17.8\%$를 차지하였다. 치자어의 출현 종 수는 여름철에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봄철에 4종으로 가장 적었다. 어종별 출현비율은 동갈양태류가 전체 치자어 출현량의 $25.7\%$로 가장 높았고 망둥어류 (Gobiidae spp.)가 $23.5\%$,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이 $17.2\%$, 멸치가 $12.2\%$,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 )가 $9.9\%$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의 종은 모두 $2.0\%$ 미만이었다.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는 망둥어류, 동갈양태류, 쥐노래미등의 연안성 어종과 비록 출현량은 작지만 제주도 주변해역을 통과하는 난류수의 영향으로 출현한 몽치다래류, 만새기, 자리돔 등과 같은 난류성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Kori, Korea)

  •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3-642
    • /
    • 1994
  •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앨퉁이,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79.52\%$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1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52.39\%$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갈양태속어류가 $29.36\%$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쥐치, 조피볼락, 까나리 및 벵에돔이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4.3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연안쪽에서는 온배수 영향으로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에 서는 용승류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이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대서양 Rockall Trough과 Porcupine Seabight에서의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성 소형어류의 수직분포와 생물학적 특성 (Vertical Distribution and Biology of Micronektonic Fishes from Meso- 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Rockall Trough and Porcupine Seabight, Eastern North Atlantic Ocean)

  • 고유봉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2
    • /
    • 1988
  • 북동대서양의 Rockall Trough과 Porcupine Seabight에서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성 어류 마이크로넥톤 52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두 해역에서의 종조성과 출현양상은 비슷하였는데, 그중 앨퉁이과, 샛비늘치과 및 Sternoptychidae에 속하는 어류가 우점하였다. 이들 3과에 속하는 생물은 주간에는 서식심도에 중복되는 경향이 많으나, 야간에는 현저한 서식지 분할현상이 보였다. 양해역에 있어서 출현종수는 500-900m에서 많고, 개체수는 야간에는 표층 (10-200m)에, 주간에는 상부중심층 (200-500m)에 많았다. 하부중심층(500-900m) 및 그보다 깊은 곳 (900-190m)에서는 주야수직이동이 별로 없었다. 몇개의 주요종에 대해서는 성비, 성숙, 수심별 서식개체크기 등이 논의되었다.

  • PDF

북동 대서양에서의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산 앨퉁이과 어류 마이크로넥톤의 섭이양식 (Food and feeding activity of micronektonic fish, Gonostomatidae, from meso-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northeastern Atlantic)

  • 고유봉;쥴리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1
    • /
    • 1986
  • 북동대서양 Rockall Trough(수심 약 3,000m)과 Poucupine seabight(수심 약 4,000m)의 중심층 및 상부 점심층에서 채집된 어류 micronekton 중, 우점생물인 Gonostomatidae과 10개 종에 대해 먹이 및 식성을 조사했다. 양해역 모두에서 2종 류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술했다. 이들 생물은 일정한 섭이시간대가 없이 비주기적 으로 섭이했고, 한번에 조금씩 섭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요먹이생물은 요각류 (약 72% 이상) 및 패충류(약 13% 이상)로서 대부분이 어체장의 10%미만인 소형생 물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먹이생물이 풍부치 못한 환경인 심층에서의 서식에 매우 적합한 적용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시식층과 먹이생물을 둘러싼 종간 관계가 역시 논의 되었다.

  • PDF

황해 남부 및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채집된 Polymetme elongata (앨퉁이목: 긴앨퉁이과) 한국 첫기록 (First Record of Polymetme elongata (Stomiiformes: Phosichthyidae)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and Jejudo Island, Korea)

  • 임민영;박정호;장서하;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1-128
    • /
    • 2023
  • 2016년 10월 제주도 남부 연안(체장 70.65 mm) 및 2022년 8월 전라남도 영광군 근해(체장 54.04 mm)에서 Phosichthyidae과 Polymetme속에 속하는 Polymetme elongata 2개체를 저인망으로 채집하였다. 본 종은 길쭉한 체형과 큰 입을 가진다. 등지느러미 연조는 11개, 가슴지느러미 연조는 10개, 배지느러미 연조는 7개, 뒷지느러미 연조는 30~32개, 기름지느러미는 1개이다. 눈 앞 발광기는 1개, 복부의 발광기는 1~2열, 아래턱 유합부에 1쌍의 발광기, 새조골에 9개의 발광기, 배지느러미 기점과 뒷지느러미 기점 사이에 8개의 발광기가 2열로 나 있고, 그 뒤로 23개의 발광기가 1열로 나 있다. 뒷지느러미 기점의 두 번째 발광기는 세 번째 발광기보다 높이 위치하고, 첫 번째 발광기가 가장 낮게 위치한다. 본 개체는 체장 대비 두장의 비율(1/5)과 새파수(18개)에서 동속의 다른 종과 확실한 차이를 가진다. 한국 연근해에서 처음 출현한 Phosichthyidae과, Polymetme속, Polymetme elongata의 국명으로 각각 "긴앨퉁이과", "긴앨퉁이속", "긴앨퉁이"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