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체 진동 측정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변전압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ariable Voltage Sensing for Identification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TLCDs)

  • 장석정;김준희;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75-2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비선형감쇠항을 등가점성감쇠항으로 치환한 등가선형 동조액체기둥감쇠기 모델을 유도하였으며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동적거동인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이론적으로 파악하였다. 동조액체기둥감쇠기에 일정한 전기장을 형성한 후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수직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변전압을 측정하여 수조 내부의 수위로 변환하는 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수위측정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가의 전기 용량식 파고계와 비교 및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위측정 시스템을 동조액체기둥감쇠기에 적용,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여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파악하였고, 이론상의 고유진동수와 실험상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진동수비 변화에 따른 동조액체기둥감쇠기의 감쇠비 변화를 확인하였다.

액체거동의 비접촉 다점측정을 위한 레이저진동계와 갈바노미터스캐너 계측시스템 (Measurement System of Dynamic Liquid Motion using a Laser Doppler Vibrometer and Galvanometer Scanner)

  • 김준희;신윤수;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27-234
    • /
    • 2018
  • 슬로싱과 같은 액체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연구가 다양한 공학분야에서 활발히 진행중이다. 건축공학분야에서도 건축물의 풍진동을 저감시키는 동조액체감쇠기의 연구에 액제 진동이 측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파고 측정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레이저 장비 중 LDV와 스캐닝 장비 중 갈바노미터스캐너를 이용하여 동조액체감쇠기 내의 액체 진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LDV가 속도와 변위를 측정하는 원리를 기술하였고 갈바노미터스캐너의 구동 원리에 따라 LDV의 단일 포인트로 다점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동조 액체감쇠기의 4점 액체 진동을 측정하여 각 점의 시간 영역 데이터를 기존에 사용하던 비디오 센싱 데이터와 비교하였고 파형 분석을 통해 진행파와 정상파를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 딜레이가 있는 데이터를 상호 상관을 취하여 특이값 분해를 하고 이론 및 비디오 센싱 결과와 일치하는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을 도출하였다.

레이저진동계를 사용한 동조액체댐퍼의 액체 진동 측정 (Measurement of Liquid Oscillation in Tuned Liquid Dampers using a Laser Doppler Vibrometer)

  • 신윤수;민경원;김준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13-5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존 파고 측정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레이저 장비 중 LDV를 이용하여 동조액체기둥감쇠기 안의 액체의 파고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비접촉 센서의 장점과 LDV가 속도와 변위를 측정하는 원리를 기술하였고 대상 물체가 액체인 경우에 요구되는 사항들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투명한 액체는 레이저 광선을 대부분 투과시켜 LDV에 되돌아오는 광량이 부족해 측정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염료를 혼합하였다. 이때, 염료의 색에 따라 광량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여 LDV에 사용된 레이저 광선의 파장과 연관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염료를 혼합한 후 광량이 충분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데이터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염료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그에 따른 데이터의 정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든 가시광선의 빛을 반사시키는 흰색의 염료를 충분한 농도로 혼합하였을 때 LDV를 이용한 TLCD의 파고 측정의 실험적인 결과가 용량식 파고계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지상연소시험 및 진동응답 분석 (Ground Firing Test of a 75 Ton Class Engine System for KSLV II and its Structural Vibration Responses)

  • 김진혁;전성민;박종연;유재한;정은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28-929
    • /
    • 2017
  • 한국형발사체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이 개발되었다. 액체로켓엔진을 개발하는데 있어 지상연소시험의 수행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전체 엔진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의 지상연소시험을 수행하고 지상연소시험 중 측정된 진동 신호의 분석에 관하여 개략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진동 응답 특성 측정 및 분석은 전체 구조물의 건전성 및 구조설계를 검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자기 변형 기술을 이용한 액체 밀도 측정의 보정 기술 (Calibration Technique of Liquid Density Measurement using Magnetostriction Technology)

  • 서무교;홍영호;최인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78-184
    • /
    • 2014
  • 자기 변형 기술의 거리 측정을 응용하여, 중력과 액체 밀도에 대응하는 부력의 평형 위치를 측정하는 액체 밀도 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액체 밀도변화에 따른 밀도 센서의 이동거리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액체 밀도 센서의 2 점 보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제작된 액체 밀도 센서 시스템과 유도된 관계식을 사용하여 액체의 밀도들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들을 U-tube 진동주기 측정방식의 고 정밀 밀도 측정기(Oscillating U-tube density meter: 분해능 0.000001 g/cc)의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액체 밀도 측정 시스템간의 측정 편차가 0.001 g/cc 미만임을 확인하였다.

고유진동수 조절이 가능한 액체댐퍼의 건물응답 제어실험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 Liquid Damper with Changeable Natural Frequency for Building Response Control)

  • 김동익;민경원;박지훈;김재건;황규석;길용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23-330
    • /
    • 2012
  • 본 연구진은 최근 U자 형태인 액체댐퍼의 수직관을 다수의 셀(사각 기둥)로 나누어 셀 상부를 개폐함에 따라 다양한 고유진동수를 쉽게 재현하는 새로운 멀티셀 액체댐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댐퍼를 1층 건물 모형에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여 건물응답이 감소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64층의 풍응답인 가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댐퍼를 설계하기 위하여 건물을 1자유도계로 축소하였다. 가속도 기반 상사비인 1/20를 적용하여 1층 건물 모형과 새로운 댐퍼를 제작하였다. 설계 진동수인 0.65Hz가 구현되도록 모형건물의 질량과 강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식으로 제작하였다. 모형건물은 중량을 부담하는 질량부와 하부에 스프링과 LM guide가 설치된 구동부로 나누어서 제작되었다. 18개의 셀을 가지는 액체댐퍼를 제작하여 고유진동수 조절 범위가 0.65Hz~0.81Hz인 것을 파악하였다. 대형 진동대에 설치한 모형건물의 일방향 가진을 통하여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고 모형상부에 멀티셀 액체댐퍼가 설치되었을 경우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진동대 가속도를 입력과 모형건물의 가속도를 출력으로 하는 전달함수를 통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멀티셀 액체댐퍼의 고유진동수를 건물의 진동수에 동조시켰을 경우 건물의 가속도 응답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전달함수를 이용한 LCVA의 설계변수 분석 (Design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Transfer Function of Liquid Column Vibration Absorber (LCVA))

  • 이성경;민경원;정희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5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비선형성을 포함하는 액체기둥진동흡진기(LCVA)의 감쇠항에 대한 등가선형화된 운동방정식을 바탕으로하여 가진입력인 진동대 가속도와 출력인 제어력의 관계인 전달함수를 해석적인 식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LCVA의 주요설계변수인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의 단면적비의 변화에 따른 진동특성분석이다. 셋째, 동조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수직기둥 액체의 높이를 변화시켜 진동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LCVA를 진동대 위에 설치하고 가진하여 제어력을 측정하여 실험 전달함수를 구하였다. 이것을 해석적인 전달함수와 비교 및 최적화작업을 수행하여 LCVA의 진동특성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진동수, 감쇠비 및 질량비 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액체 수위 및 단면적비의 변화에 따라 감쇠비 및 참여질량비의 특성이 변화하였다.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이 교차하는 엘보우에서 액체의 흐름 변화로 인하여, LCVA 실험체의 수직기둥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감쇠비와 참여질량비가 증가하였다.

Slit-jet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탄화수소계 액체연료 분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Atomized Hydrocarbon Liquid-fuel Spray Injected through a Slit-jet Nozzle)

  • 김민성;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2016
  •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미립화된 탄화수소계 액체연료를 분사하는 버너(burner)의 연소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미립화된 액체연료의 화염형상을 획득하였고, 이미지 후처리를 통해 그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또한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소장의 온도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너 내부에 주입되는 수송가스의 질량유량과, 초음파 진동자의 진폭에 비례하여 화염의 크기가 커졌다. 또한, 버너 작동조건의 변이에 따른 연소장의 온도분포를 측정, 제시한다.

파이프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액체밀도측정 센서개발 (Development of Liquid Density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Natural Frequency of a Pipe)

  • 장경호;이용재;김광표;안병덕
    • 센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9-14
    • /
    • 1995
  • 파이프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유체의 밀도측정 센서개발을 위한 제작원리와 방법을 소개하고 길이 32 cm이고 내경과 외경이 각각 2.3 cm와 2.5 cm인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를 사용하여 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파이프의 진동과 진동신호를 얻기 위해 가진코일과 포토센서를 사용하고, 지속석인 진동을 위한 궤환회로로 구성되었다. 센서의 고유진동수는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값과 일치된 결과를 얻었으며, $0.8\;g/cm^{3}$ 부터 $1.4\;g/cm^{3}$까지의 밀도범위의 액체로 시험한 길과 0.0027 %의 직선성과 0.032 %의 감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10^{\circ}C$$35^{\circ}C$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고유진동수 변화율은 $0.024\;%/^{\circ}C$임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