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액체 전리함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termining Ion Collection Efficiency in a Liquid Ionization Chamber in Co-60 Beam (Co-60 빔에서 액체 전리함의 이온 수집 효율 결정 연구)

  • Choi, Sang Hyoun;Kim, Chan Hyeong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5 no.1
    • /
    • pp.46-52
    • /
    • 2014
  • Liquid ionization chamber is filled with liquid equivalent material unlike air filled ionization chamber. The high density material allow very small-volume chamber to be constructed that still have a sufficiently high sensitivity. However liquid ionization chamber should be considered for both initial recombination and general recombination. We, therefore, studied using the Co-60 beam as the continuous beam and the microLion chamber (PTW) for comparing the ion collection efficiency by Greening theory, two-dose rate method and our experiment method.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ratron 780 as the cobalt machine and water phantom and 0.6 cc Farmer type ionization chamber was used with microLion chamber in same condition for measuring the charge of microLion chamber according to the dose rates. Dose rate was in 0.125~0.746 Gy/min and voltages applied to the microLion chamber were +400, +600 and +800 V. As the result, the collection efficiency by three method was generally less than 1%. In particular, our experimental collection efficiency was in good agreement within 0.3% with Greening theory except the lowest two dose rates. The collection efficiency by two-dose rate method also agreed with Greening theory generally less than 1%, but the difference was about 4% when the difference of two dose rates were lower. The ion recombination correction factors by Greening theory, two-dose rate method and our experiment were 1.0233, 1.0239 and 1.0316, respectively, in SSD 80 cm, depth 5 cm recommended by TRS-398 protocol.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loss by ion recombination was about 3% in this condition. We think that our experiment method for ion recombination correction will be useful tool for radiation dosimetry in continuous beam.

Development of On-line Portal Imaging System and its Linearity (온라인 방사선 치료 조사야 영상 시스템의 제작과 선형성 조사)

  • 김성환;김재철;박인규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8 no.2
    • /
    • pp.77-85
    • /
    • 1997
  • Verification of patients setup was very important during radiotherapy.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n 1-dimensional on-line portal imaging system and measured the differential linearity of the system. Isooctane(2,2,4-TetraMethyl Pentane) was used as liquid ionization material. And the geometry of the system was designed which has 2mm position resolution and 20cm measurable range. And then the differential linearity of the system was 4.7%.

  • PDF

The Present and the Prospects for Batteries (전지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 이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
    • /
    • 1999
  •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양질의 음성, 화상, 문자정보의 교환을 위한 노력으로 디지털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음성과 문자정보의 교환분야에 커다란 진보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휴대폰이 음성정보에 문자정보교환이 추가된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도 관련 정보교환기술 및 기기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의 기능을 통합하고 화상정보까지 결합된 휴대용 정보기기를 위해서는 전자회로의 집적화 및 통신속도 증대가 필수적이다. 또한 이들 휴대용 정보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도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현재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더욱 증패된 전지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내연기관의 배기에 의해 발생되는 환정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전기자동차에 2차전지를 장착하기 위해서 경제성이 있고, 고속충전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은 고에너지 밀도의 2차 전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2차전지는 음극재료나 양극재료에 따라 낚축전지, 니켈/카드륨(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라륨 2 차전지등이 있으며, 전극재료의 고유특성에 의해 전위와 애너지 밀도가 결정된다. 특히 리튬 2차전지는 리튬의 낮은 산화환원전위와 분자량으로 인해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동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2차전지는 음극 재료가 금속리튬인 경우는 리튬금속으로, 탄소재료인 경우는 리튬이온이라 하며, 한편으로 전해질이 고체 고분자이거나 혹은 역체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고분자와 혼성시킨 겔(gel)인 경우는 고분자로, 전해짙이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유동성 액체일 경우는 고분자를 생략하여 구분하고 있다. 즉 리튬금속 2 차전지(LB), 리튬이온 2 차전지(LIB), 리튬금속 고분자 2차전지(LPB), 리튬 이온 고분자 2차전지(LIPB)로 크게 구분된다. 금속리듐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전해질로는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액체유기용매 를 사용한 리튬금속 2차전지는, 금속리튬전극이 충방전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리된 리튬이 균일하게 산화환원되지 못하고 표변에서 양극방향으로 성장하는 수지상 (dendrite) 현상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에 문게가 있었다. 리튬과 알루미늄 합금형태로 음극에 사용한 동전형 전지는 상용화 되었지만,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리튬이온이 금속으로 석활되는 환원반응전위보다 높은 전위에서 전극재료가 충전되면서 리튬이온이 저장되고, 방전되면서 배출되는 탄소를 음극재료로, 그리고 리튬이온이 충방 전시 가역적으로 삼입 탈리되는 층상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양극으로 구성하고, 엑체 전해질과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한 것이 LIB이다. LIB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액체전해질의 가능을 고분자 전해질이 대신함으로서 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 한 전지가 LIPB 이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금속리튬상에서의 수지상 성장이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서, 이론용량이 3,860mAh/g 에 달하는 리튬금속 혹은 합금을 고분자 전지에서 음극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2 차전지가 LPB 이다. 리튬 2차전지는 비록 1989년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금속리튬 2차전지의 실패전력을 안고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론적으로 최대의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는 LPB를 지 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까운 장래에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향후의 라튬 2차전지의 전개방향은 현재의 LIB를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는 LIPB로 진행시커면서 저가의 전극재료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리튬 2차전지는 소형전지에 국한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나 전력저장용으로 이를 대형화시커기 위해서는 열적특성이 우수하고 저가인 전극재료개발이 선행되야하기 때문에, 저가의 탄소재료와 코발트산화물을 대신할 수 있는 철, 망칸 또는 니켈산 화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Leather's Environment-friendly Adhesion Surface Treatment of shoe's material by Plasma (플라즈마를 이용한 신발소재의 환경 친화적인 접착 표면 처리(I))

  • Ha, Soon-Hee;Jang, U-Jin;Seul, Soo-Du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6 no.2
    • /
    • pp.6-12
    • /
    • 2005
  • The plasma generally, ionized gas state, is the 4th material state composed the universe. Generating the plasma artificially has been studied by spending energy and it has a lot of applications in human's life. There are several merits to modify the surface of polymer using plasma. Above all, plasma maintains the property of polymer because of it changes the property of surface only. Also, it doesn't use a organic solvent and it is the environment friendship because of there are no waste under processing. Furthemore, in case of high-pressure plasma, it is possible that automated-processing continuously. In this study, we tried the reforming of surface to ris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aterial of polymer, experimented the rising of adhesive strength through a experiment of peel strength by virtue of processing time and using gas, confirmed the change of polymer's surface through measuring the surface contact angl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 PDF

Feasibility Study of the microDiamond Detector for Measurement of Small Field Photon Beam (광자선 소조사면 선량측정을 위한 microDiamond 검출기의 유용성 고찰)

  • Lee, Chang Yeol;Kim, Woo Chul;Kim, Hun Jeong;Ji, Young Hoon;Kim, Kum Bae;Lee, Sang Hoon;Min, Chul Kee;Jo, Gwang Hwan;Shin, Dong Oh;Kim, Seong Hoon;Huh, Hyun Do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5 no.4
    • /
    • pp.255-263
    • /
    • 2014
  • The dosimetry of very small fields is challenging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a lack of lateral electronic equilibrium, large dose gradients, and the size of detector in respect to the field size.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a new commercial synthetic diamond detector, namely, the PTW 60019 microDiamond, for the small field dosimetry in cyberknife photon beams of 6 different collimator size (from 5 mm to 30 mm). Measurements included dose linearity, dose rate dependence, output factors (OF), percentage depth doses (PDD) and off center ratio (OCR).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pinpoint ionization chamber, diamond detector, microLion liquid Ionization chamber and diode detector. The dose linearity results for the microDiamond detector showed good linearly proportional to dose. The microDiamond detector showed little dose rate dependency throughout the range of 100~600 MU/min, while microLion liquid Ionization chamber showed a significant discrepancy of approximately 5.8%. The OF measured with microDiamond detector agreed within 3.8% with those measured with diode. PDD curves measured with silicon diode and diamond detector agreed well for all the field sizes. In particular, slightly sharper penumbras are obtained by the microDiamond detector, indicating a good spatial resolution. The results obtained confirm that the new PTW 60019 microDiamond detector is suitable candidate for application in small radiation fields dosi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