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액체화물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Present and the Prospects for Batteries (전지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 이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
    • /
    • 1999
  •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양질의 음성, 화상, 문자정보의 교환을 위한 노력으로 디지털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음성과 문자정보의 교환분야에 커다란 진보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휴대폰이 음성정보에 문자정보교환이 추가된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도 관련 정보교환기술 및 기기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의 기능을 통합하고 화상정보까지 결합된 휴대용 정보기기를 위해서는 전자회로의 집적화 및 통신속도 증대가 필수적이다. 또한 이들 휴대용 정보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도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현재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더욱 증패된 전지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내연기관의 배기에 의해 발생되는 환정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전기자동차에 2차전지를 장착하기 위해서 경제성이 있고, 고속충전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은 고에너지 밀도의 2차 전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2차전지는 음극재료나 양극재료에 따라 낚축전지, 니켈/카드륨(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라륨 2 차전지등이 있으며, 전극재료의 고유특성에 의해 전위와 애너지 밀도가 결정된다. 특히 리튬 2차전지는 리튬의 낮은 산화환원전위와 분자량으로 인해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동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2차전지는 음극 재료가 금속리튬인 경우는 리튬금속으로, 탄소재료인 경우는 리튬이온이라 하며, 한편으로 전해질이 고체 고분자이거나 혹은 역체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고분자와 혼성시킨 겔(gel)인 경우는 고분자로, 전해짙이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유동성 액체일 경우는 고분자를 생략하여 구분하고 있다. 즉 리튬금속 2 차전지(LB), 리튬이온 2 차전지(LIB), 리튬금속 고분자 2차전지(LPB), 리튬 이온 고분자 2차전지(LIPB)로 크게 구분된다. 금속리듐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전해질로는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액체유기용매 를 사용한 리튬금속 2차전지는, 금속리튬전극이 충방전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리된 리튬이 균일하게 산화환원되지 못하고 표변에서 양극방향으로 성장하는 수지상 (dendrite) 현상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에 문게가 있었다. 리튬과 알루미늄 합금형태로 음극에 사용한 동전형 전지는 상용화 되었지만,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리튬이온이 금속으로 석활되는 환원반응전위보다 높은 전위에서 전극재료가 충전되면서 리튬이온이 저장되고, 방전되면서 배출되는 탄소를 음극재료로, 그리고 리튬이온이 충방 전시 가역적으로 삼입 탈리되는 층상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양극으로 구성하고, 엑체 전해질과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한 것이 LIB이다. LIB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액체전해질의 가능을 고분자 전해질이 대신함으로서 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 한 전지가 LIPB 이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금속리튬상에서의 수지상 성장이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서, 이론용량이 3,860mAh/g 에 달하는 리튬금속 혹은 합금을 고분자 전지에서 음극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2 차전지가 LPB 이다. 리튬 2차전지는 비록 1989년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금속리튬 2차전지의 실패전력을 안고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론적으로 최대의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는 LPB를 지 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까운 장래에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향후의 라튬 2차전지의 전개방향은 현재의 LIB를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는 LIPB로 진행시커면서 저가의 전극재료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리튬 2차전지는 소형전지에 국한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나 전력저장용으로 이를 대형화시커기 위해서는 열적특성이 우수하고 저가인 전극재료개발이 선행되야하기 때문에, 저가의 탄소재료와 코발트산화물을 대신할 수 있는 철, 망칸 또는 니켈산 화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An Examination on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Boil-off Gas in Vent Mast Exit of Membrane Type LNG Carriers (멤브레인형 LNG선박 화물탱크 벤트 마스트 출구에서의 BOG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Ho-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2
    • /
    • pp.225-231
    • /
    • 2013
  • Liquefied gas carriers generally transport cargoes of flammable or toxic nature. Since these cargoes may cause an explosion, fire or human casualty, the accommodation spaces, service spaces and control stations of liquefied gas carriers should be so located as to avoid ingress of gas. For this reason, the paragraph 8.2.9 of IGC Code in IMO requires that the height of vent exits should be not less than B/3 or 6 m whichever is greater, above the weather deck and 6 m above the working area and the fore and aft gangway to prevent any concentration of cargo vapor or gas at such spaces. Besides as known, the LNG market has been growing continually, which has led to LNG carriers becoming larger in size. Under this trend, the height of a vent will have to be raised considerably since the height of a vent pipe is generally decided by a breadth of a corresponding vessel. Accordingly, we have initiated an examination to find an alternative method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afe height of vent masts, instead of the current rule require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boil-off gas spouted from a vent mast under cargo tank cool-down conditions in the membrane type LNG carriers.

An Assessment of Structure Safety for Basic Insulation Panel of KC-1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under Sloshing Load (슬로싱 하중을 받는 한국형 LNG선 화물창(KC-1)의 보냉 판넬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 Jin, Kyo-Kook;Oh, Byung-Taek;Kim, Young-Kyun;Yoon, Ihn-Soo;Yang,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2
    • /
    • pp.85-89
    • /
    • 2013
  •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KC-1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is reduction in royalty and increase in competitiveness of shipbuilding industry. An assessment of structure safety for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under sloshing load due to ship motion has become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e ideal way is to implement fully interaction of the fluid domain and the cargo containment system. However the irregular sloshing pressure were idealiz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wave for safety assessment because the fluid- 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is taken the extensive computation time and difficult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the sloshing load was assumed to be a triangular wave with a maximum pressure of 10 bar during 15/1000 seconds. In the analytic results, the basic insulation panel of KC-1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was assessed to be structurally safe for sloshing load.

THE EFFECT OF XYLITOL AND CARBOHYDRATES ON THE REPLICATION OF STREPTOCOCCUS ORAL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자일리톨과 탄수화물이 Streptococcus oralis와 Streptococcus salivariu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Kyu-Ho;Han, Su-J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0 no.4
    • /
    • pp.722-727
    • /
    • 2003
  • Xylitol is a 5-carbons carbohydrate, which can be replaced with sucrose for preventing caries. The effect of carbohydrates and their combinations with xylitol was studied for the replication of oral bacteria such as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The replication of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was inhibit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xylitol. When Streptococcus oralis was incubated for 8 hours in the media added with lactose or sucrose, the optical density was 0.915 and 1.107, repectively. while being 0.127 and 0.104, respectively in the media combined with xylitol. When Streptococcus salivarius was incubated for 8 hours in the media added with lactose or fructose, the optical density was 1.550 and 0.420, repectively. while being 0.271 and 0.905, respectively in the media combined with xylit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plication of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was changed according to kinds of carbohydrates and combined addition of xylitol.

  • PDF

Development of Smart Cargo Level Sensors Including Diagnostics Function for Liquid Cargo Ships (액체운반용 선박을 위한 진단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카고 센서 개발)

  • Bae, Hyeon;Kim, Youn-Tai;Park, Dae-Hoon;Kim, Sung-Shin;Choi, Moon-Ho;Jang, Y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8 no.3
    • /
    • pp.341-346
    • /
    • 2008
  • This paper is to develop a monitoring system with diagnosis for smart cargo sensors that is for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liquid cargo ships. The main goal of the system is to achieve the total automation system of the cargo sensor. By this study, the active smart sensor for the liquid cargo ships is designed and developed that guarantees high-confidence, stability, and durability.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monitoring part of the steam pressure, high-level monitoring, over flowing monitoring, gas monitoring, and tank temperature monitoring. The signals transferred from each unit system are used for sensor diagnosis based on confidence and accuracy. Finally, in this study, the total supervisory monitoring system is developed to maintain and manage the cargo effectively based on fault diagnosis and prognosis of the each sensor system.

Establishment Strategics for Making a Port Specialized in Liquid Cargoes Safer - Focusing on Accident Scenario and Risk Analysis - (액체화물특화 항만의 해양환경사고 안전항만 구축방안 연구 -사고 시나리오 및 위험도 분석을 중심으로-)

  • Jung, Won-Jo;Lim, Sang-Seop;Park, Nam-Ki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6 no.3
    • /
    • pp.227-23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and vulnerability of marine accidents based on statistical data on marine accidents at Ulsan Port, which has the largest amount of liquid cargo in Korea. It was found to be quite vulnerable to the risk of marine accidents, environmental damage, and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Based on analysis results, marine accident scenarios and accident response strategies were prepared. Additionally, as a response strategy to prepare for large-scale marine pollution accidents at Ulsan Por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trol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as well as establish a control center to integrate marine accident safety functio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iquid cargo specialized ports such as Ulsan Port,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argo volume and the frequency of marine pollution accidents, it is urgent to build professional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which should make the port safer.

Development Strategy of Seosan-Daesan Port using AHP Analysis (AHP를 이용한 서산 대산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Yun, Kyong-Jun;Ahn, Seung-Bum;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9-52
    • /
    • 2018
  • The Seosan-Daesan Port is a representative trade port in Chungnam, and has the sixth largest total cargo throughput and the third largest oil cargo throughput in Korea. However, research on this port's development is lacking relative to that for Busan Port, Incheon Port, and Gwangyang Port, and no study exists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Seosan-Daesan Port.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role of Seosan-Daesan Port in preparation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hat should be established. Using the AHP, a development strategy is provided for Seosan-Daesan Port from short/mid-term and long-term viewpoints for three aspects: operation activ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olicy support. Operation activation is chosen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rom a short/mid-term viewpoint, where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s recognized as important from a long-term viewpoint. Specifically, from a short/mid-term viewpoint, sustainable container cargo attraction, multipurpose dock construction, management pier construction, and opening of international passenger ferry lines are important factors while from the long-term viewpoint, hinterland construction, petrochemical industry cluster construction, automobile industry cluste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mprovement system are important. Establishing action plans for each strategy and a cooperative network for sharing goal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is necessary.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3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Heat Flux Calculation for Thermal Equilibrium of Cofferdam in a LNG Carrier (LNG선 Heating Coil의 설계를 위한 Cofferdam내 열정산)

  • Joo-Ho Heo;Young-Bum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5 no.1
    • /
    • pp.98-106
    • /
    • 1998
  • This paper show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double hull compartment and of cofferdam in a large LNG Carrier. In LNG Carrier, due to the lower cargo temperature($-163^{\circ}C$), structures are forced to lose their strength if additional heat is not supplied. So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heat flux needed to maintain the structure properly. The temperature of each compartment is obtained using 2-dimensional model analysis and compared with 3-dimensional results. And also this paper gives preliminary estimation of pipe length to supply necessary heat flux in bare pipe and finned pi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