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정구조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3초

새 구조의 액정 엑스선 감지기 (A New X-Ray Image Sensor Utilizing a Liquid Crystal Panel)

  • 노봉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9-254
    • /
    • 2008
  • 새 구조의 액정 엑스선 감지기를 만들었다. 이것은 액정판을 만들고 유리판을 얇게 식각한 다음, 그 유리판 위에 반사막과 광전도층을 연속하여 입힌 구조이다. 새 구조의 액정엑스선 감지기는 공정의 안정성, 대면적화, 감도 등에서 이미 상품화된 엑스선 감지기와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성공적으로 상용화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두 종류의 중합기와 수소결합을 가지는 원반형 액정의 합성과 광중합 (Synthesis and Photopolymerization of Discotic Liquid Crystals Containing Hydrogen Bondings and Two Polymerizable Groups)

  • 이준협;이승준;장지선;조재영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373-379
    • /
    • 2006
  • 플로로글루시놀과 중합가능한 피리딘 유도체의 수소결합을 이용해 디아세틸렌과 아크릴로일 그룹을 함유 한 새로운 중합가능한 원반형 액정들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액정들의 광중합 거동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원반형 액정 복합체들은 메소겐의 방향족 고리의 개수에 따라 원반형 컬럼상과 장방형 컬럼상을 형성하였다. 원반형 액정복합체들의 광중합은 액정상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디아세틸렌과 아크릴로일 그룹이 선택적으로 중합되었으며, 짧은 공액구조의 디아세틸렌 올리고머를 가지는 가교 고분자들이 1,4-반응에 의해 형성됨을 적외선 분광법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X-선 회절 실험 결과, 페닐피리딘을 함유한 원반형 액정 복합체의 컬럼상 질서는 광중합 후에도 유지되었고, 바이페닐 단위를 지닌 액정 복합체의 장방형 컬럼상 질서는 라멜라 질서로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의 액정에멀젼 내 고온 제형 안정성 연구 (Study on Stability of Ceramides in Liquid Crystalline Emulsions at High Temperature)

  • 홍성윤;장유진;이준배;박천호;박명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
    • /
    • 2019
  • 본 연구는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라마이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에멀젼의 다층구조에 따른 강화된 계면막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편광 현미경을 통해 제형 내 몰타 크로스(maltese cross) 무늬를 확인하고, cryo-SEM을 이용하여 다층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각 X선 산란법(SAXS)을 이용하여 라멜라 구조 생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변화를 확인하고 정적 광 산란법(SLS)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를 확인하여 액정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4-Methacryloyloxyphenoxy기와 4'-((S)-(+)-2-methylbutoxy)biphenyl-4-carboxyl 메소겐기를 갖는 새로운 메타크릴레이트 액정화합물: 1. 단량체의 합성 및 특성 (New Liquid Crystalline Methacrylate Polymers Containing 4-Methacryloyloxyphenoxy Group and 4'-((S)-(+)-2-Methylbutoxy)biphenyl-4-carboxyl Mesogenic Group: 1.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nomers)

  • 소봉근;이상호;이수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99-608
    • /
    • 2004
  • 유연격자와 메타크릴로일 기 사이에 도입된 벤젠 고리와 메소겐 구조의 말단에 연결된 키랄 중심을 갖는 새로운 두 계열의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합성하였다. 이 두 계열에서 유연격자와 메소겐 기의 길이 변화에 따른 액정형성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계열의 화합물들은 합성과정에서 얻어진 중간물질이나 최종물질에서 액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 번째 계열에서는 중간물질 뿐만아니라 최종물질에서도 액정성을 보였다.

페닐고리의 4-, 3,5-, 또는 3,4,5-위치에 아조-메소젠기를 갖는 반응성 액정화합물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eactive Liquid Crystalline Compounds with Azo-mesogenic Groups at the 4-, 3,5-, or 3,4,5-Positions of Phenyl Ring)

  • 박종률;윤두수;방문수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247-2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분자 내 하나의 페닐고리의 4-, 3,5-, 또는 3,4,5- 위치에 아조-메소젠기가 각각 결합된 화합물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액정성 및 광화학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zo1과 Azo2 계열의 화합물은 각각 선형과 평면형의 구조이며, Azo3 계열의 화합물은 비교적 부피가 큰 구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합물 BA-Azo2와 BA-Azo3는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BE-Azo1와 BE-Azo2는 단방성 액정성을, 나머지 화합물들은 양방성 액정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액정 거동은 분자 내 아조-메소젠기의 존재로부터 부여된 것으로 액정성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스멕틱상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모든 RM-AzoX 화합물들은 분자 내 아조기의 존재로 인하여 광 이성질현상을 나타냈으며, 광 이성질화 속도는 RM-Azo3 < RM-Azo1 < RM-Azo2의 순서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아조벤젠기 주위의 입체 장애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화합물의 액정성과 광화학적 성질들은 분자 내 페닐고리에 결합된 아조-메소젠기의 결합위치나 개수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sogen을 포함하지 않은 액정 polyurethane의 합성과 열적성질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line Polyurethanes Containing No Mesogenic Unit)

  • 이종백;최대웅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339-346
    • /
    • 1997
  • 액정 polyurethane은 DMF 용매중 1,4-bis(6-hydroxyhexoxy)benzene (BHB6)과 2,5-tolylene diisocyanate (2,5-TDI)를 중부가 반응에 의해서 합성하였다. 고유점도는 0.26, $0.42d{\ell}/g$였다. 생성된 polyurethane의 열적성질 및 구조확인은 DSC, 편광현미경, X-ray회절 그리고 $^1H$-NMR 및 FT-IR에 의해 확인하였다 특히 분자량이 서로 다른 polyurethane 2,5-TDI/BHB6의 열적성질 및 물성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였다. 고유점도가 [${\eta}$]=0.26인 polyurethane 2,5-TDI/BHB6는 monotropic 액정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것은 구조적으로는 mesogen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LCPU-L(저분자량)은 $T_{I-LC}$(등방성액체상전이점-액정) 및 $T_{LC-K}$(액정-결정)은 $122^{\circ}C$부터 $89^{\circ}C$까지 관찰되었다.

  • PDF

액정 고분자/에틸렌-아크릴산 이오노머 블렌드의 반응상용화에 관한 연구 (Reactive compatibilization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ethylene-acrylic acid ionomer blends)

  • 하이디 크루즈;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53-3659
    • /
    • 2015
  • 방향족 열방성 액정 고분자와 에틸렌-아크릴 산 공중합체 및 그 금속염 고분자간의 반응 상용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블렌드는 배치 믹서에서 제조하였으며 액정 고분자의 에스터 그룹과 이오노머의 아크릴산 사이에 발생하는 acidolysis 반응으로 형성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반응의 정도는 배치 믹서에서 시간에 따른 토크의 증가와 열분석 및 형태학 상 구조를 통해 평가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 (EAA) 이오노머의 Na 염이 반응을 증진시키는데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응의 진행 정도는 금속염의 종류 뿐 아니라 이오노머의 조성과 반응 시간에 따라 변하였다. 액정 고분자와 Na로 중화된 이오노머 간의 반응으로 생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액정 고분자와 EAA 이오노머 블렌드의 반응상용화제로 효과가 높음을 미세 구조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바이컨티니어스 큐빅상 액정의 생성과 자기조직화 (Self Assembly and Formation of Bi-continuous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 김인영;최화숙;이소라;최성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8-485
    • /
    • 2014
  • 이 연구는 경표피흡수를 위하여 큐빅액정의 자기조직체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복수 수산기(-OH)를 가지는 친수부에 4개의 메칠 그룹을 가지는 양친매성지질인 diglyceryl phytylacetate (DGPA)를 합성하여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GPA의 유화력은 1%의 적은 농도에서도 고 내상의 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W/O water-in-oil)에멀젼이 유지되었다. DGPA, dimethicone (2CS), water의 3성분계의 특정영역에서, 안정한 큐빅상의 액정이 형성되었다. 3상 구조도 작성을 통하여 큐빅 액정영역, 헥사고날 영역, 물과 헥사고날이 혼제된 영역, 역미셀 영역을 확인하였고, SAXS (small angled x-ray scattering)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증명하였다. 화장품의 응용으로, 큐보좀 (cubosome)에 10%의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5%의 피리독신트리헥사데카노에이트를 봉입하여 캡슐화하였다. 큐보좀의 occlusive 효과는 역미셀(reverse micelle)보다 1.7배 우수한 효과를 가졌다. 큐보좀을 분산제인 poloxamer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만든 것으로부터 큐빅구조의 액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DGPA의 양친매성지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큐빅상의 액정을 형성하는 기재로써 화장품 산업과 의약품분야에서 경표피흡수제로써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FT LCD의 고속응답 속도 달성을 위한 LC, TFT 구조 및 구동회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iquid Crystal, TFT Structure, Operating Circuit of a-Si TFT LCD for High Response Time)

  • 김범진;이준신;강승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053-2054
    • /
    • 2006
  • 본 연구는 LCD 화질의 중요 Issue중 하나인 고속 응답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액정의 물성 및 TFT 구조 그리고 구동회로에 있어 필요한 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응답속도에 관련된 주요 인자 중 특히 pixel에 인가되는 전압에 관련된 구동회로 조건과 TFT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비전류 Issue가 없는 Monitor 향 제품과 달리 Note 향 LCD 제품의 경우 액정의 유전율을 상승시켜 고속응답을 달성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Cst/Clc의 비율이 응답속도의 중요 인자로 작용하며 이에 최적 응답속도 달성을 위한 Cst/Clc 비율을 시뮬레이션 및 Test SPL 제작을 통해 제안하며 실제 pixel에 인가되는 Offset 전압에 의한 응답속도 유의차 및 Cusp 현상에 대해 논하였다

  • PDF

Optically Addressed Spatial Light Modulators Using Smectic $C^*$ Liquid Crystal and Intrinsic Hydrogenerated Amorphous Silicon

  • 전형욱;손정영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8-299
    • /
    • 2000
  •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반사형 광기록식 공간 광소자(Optically Addressed Spatial Light Modulator)를 연구하였다. 다시점 영상으로 표현되는 3차원 영상을 시분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프레임 구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소자가 있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Surface Stabilized Ferroelectric 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그림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소자를 제작하였다.$^{(1)}$ 입력상이 입사되는 방향에 1.1 미리 미터 정도의 ITO 유리 기판이 있으며 투명 전극 다음에 약 2마이크론 정도의 비결정질 구조를 갖는 Si:H 감광층이 있다. 반사형 구조를 위해서 반사경으로 알루미늄 층을 10마이크론 X 10 마이크론 크기의 미소 패턴으로 화소화하였으며 강유전성 액정 결정을 Surface Stabilized화하기 위해서 배양막과 2 마이크론 이하의 Spacer를 두었다. 일반적인 액정 소자와 같이 다시 배양막과 유리 기판을 갖게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