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와 접근법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로봇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의 액와-유륜 접근법과 유일-액와 접근법의 비교 (Comparison of an Axillo-Breast Approach and Only-Axillary Approach in Robotic Endoscopic Thyroidectomy)

  • 원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85-6991
    • /
    • 2015
  • 서론: 통상적인 갑상선 암 수술시 생기는 목의 전면에 있는 흉터를 피하기 위해 여러 다양한 수술 기법들이 고안되고 있다. 저자들이 고안한 로봇 내시경 갑상선 수술법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256예를 대상으로 기구의 변화와 더불어 로봇 내시경적 수술방법(액와 유륜 접근법과 유일-액와 접근법)에 따라 수술 결과를 비교하여 각 수술 방법의 안정성 및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로봇 내시경 갑상선 수술을 시행 받은 2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접근방법에 따라 2008년 1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액와-유륜 접근법(Axillo-Breast approach, AB group)이 128례, 2010년 8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유일-액와 접근법(Only-Axillary approach, OA group)이 128예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2 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x^2$-test로 양측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종양의 특성, 수술범위, 채취된 평균 림프절 개수(AB group 5.1개, OA group 6.1개), 수술 후 주요 합병증(AB group 0.8%, OA group 0.8%)은 양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유일-액와 접근법의 경우 유륜의 흉터를 피할 수 있었다. 결론: 액와-유륜 접근법과 유일-액와 접근을 통한 로봇 내시경적 갑상선 절제술 모두 안전하고 유용한 수술법이다. 로봇 내시경 갑상선 수술에서 유륜의 흉터를 피하고자 하는 경우, 5 mm Maryland dissector 2개를 이용한 유일-액와 접근을 통한 로봇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액와 단일절개 접근법을 이용한 내시경적 갑상선 절제술 (Gasless Endoscopic Thyroidectomy Via 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

  • 김소영;유윤종;정우진;안순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4-117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o assure the surgical completeness of the gasless endoscopic thyroidectomy via 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 using flexible videoscope which provide wide angle and working space, we compared 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 and axillo-areolar approach by means of clinical, surg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ch 2011 to July 2012, 24 patients who had underwent endoscopic thyroidectomy via transaxillary approach were enrolled. Of total, 17 patients underwent 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group I) and the other 7 underwent axillo-areolar approach(group II). Results : Patient demographics, surgical indic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operating time(group I 144.6min, group II 153.6 min ; p=.29), blood loss(group I : 55.4cc, group II : 35.7cc : p=.64), hospital stay(group I : 4.2days, group II : 4.4 days ; p=.65)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Overall, two patients in group I(2/17, 11.8%) experienc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one hematoma and one seroma. Due to narrow working space, one patient was change to axillo-areolar approach during 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 with $30^{\circ}$ rigid endoscope. Conclusion:Single incision axillary approach is safe and effective similar to other endoscopic thyroidectomy methods using flexible videoscope. Different with $30^{\circ}$ rigid endoscope, 10-mm flexible videoscope can put inside the axillary inicision site in different axis with endoscopic instruments. This difference in endoscopic axis help to prevent crash with endoscopic instrument.

수술현미경하 액와접근 갑상선 절제술 (Axillary Approach for Thyroidectomy under Operating Microscope)

  • 최종욱;전병선;이장우;이동진;손항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36
    • /
    • 2007
  • Background and Objective:A post-operative hypertrophic scar of the anterior neck is the leading complaint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thyroid surgery. In order to minimize the post-operative scar of the anterior neck, we performed thyroidectomy via axillary approach using operating microscope and a specialized retractor to determine technical feasibility. Patients and Methods: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we performed thyroidectomy via axillary approach under operating microscope(f=400mm, ${\times}2.5$;OPMI $pico^{(R)}$;Zeiss, Germany) for benign unilateral nodule in 25 cases(all female, average age 34.5yrs). Under general anesthesia less than 7cm of skin incision was made in the axilla of ipsilateral side. A subcutaneous tunnel went over the pectoralis major muscle and the clavicle, and then through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sternothyroid muscle was excised. The area around the thyroid was sufficiently dissected, and then a retractor designed for exposure via axillary approach was placed within the tunnel and under operating microscope thyroidectomy was performed. Results:There were 17 cases of thyroid nodulectomy and 8 cases of subtotal lobectomy. The mean average operative time was 102.64minut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one case of postoperative bleeding, one case of temporary vocal cord paralysis, two cases of delayed wound healing, two cases of paresthesia of shoulder and arm, and two cases of hypertrophic scar of the axilla. Postoperative histopathology includes 17 cases of adenomatous hyperplasia, six cases of cyst, and two cases of follicular adenoma. For all cases hospitalization period was two days. Conclusion:Thyroidectomy via axillary approach under operating microscope has a good cosmetic advantage without a post-operative scar of the anterior neck. The procedure is simple due to direct vision using operating microscope, easy to identify important structures by magnifying them, and therefore surgical time can be reduced.

양측 액와유방 접근법과 개방성 접근법과의 비교를 통한 일측 액와유방 접근 내시경 갑상선 전 절제술과 중심 경부 절제술의 수술적 완전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and Open Approach)

  • 최익준;임일한;이병철;이국행;이명철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2호
    • /
    • pp.697-701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UABA)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BABA) and open approach (OA) by means of the radioactive iodine uptake (RAIU) ratio and thyroglobulin (Tg) of remnant thyroid. Subjects and Method From July 2010 to March 2013, 82 patients who had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RAI) ablation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re enrolled. Of these patients, 27 patients underwent UABA, 24 patients BABA, and 31 patients OA. Clinicopathologic data, surgical outcome,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on the first postoperative RAI ablation scan were compared among 3 groups. Results Patients in the endoscopic surgery groups (UABA, BABA) were younger than those in the OA groups. Invasiveness such as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pain, and drain amount in UABA was less than that in BABA and severer than that in OA. Other variables regarding clinicopathologic and surgical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p=0.659 and p=0.664). Conclusion The completeness of UABA was comparable with that of BABA and OA. The UABA may be a safe option for patients who need endoscopic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액와접근법을 통한 제 1 늑골 절제술로 치료한 흉곽출구 증후군 - 증례보고 - (Transaxillary Approach for First Rib Resection to Relieve Thoracic Outlet Syndrome - A Case Report -)

  • 권기영;전병찬;조용운;조성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1443-1448
    • /
    • 2001
  •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in left side. Thoracic outlet syndrome is a collective term in which symptoms and signs are due to bony and soft tissue compression of the neurovascular bundle at the thoracic outlet. It is a rare case in neurosurgical field. So we had experienced one cas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which was improved by transaxillary approach for resection of first rib.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tic test, radiological findings, and operative technique are presented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후이개 절개를 이용한 내시경 갑상선 절개술-전임상 사체연구 (Non-Robotic, Endoscopic Hemi-Thyroidectomy via Retro-auricular Single-incision Approach : A Preclinical Feasibility Study in Cadavers)

  • 이소윤;선동일;안수현;이일환;박영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4
    • /
    • 2014
  • 목 적 CO2 가스 삽입 없이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 특히 액와 절개를 이용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기구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흉부 또는 유륜에 절개를 넣어 시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후이개 절개를 통하여 추가적 절개 없이 내시경을 이용한 갑상선 절제술 및 중심 임파선 절제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사체연구를 통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 법 사체 이용 해부 및 수술 후이개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이 가능한지의 확인은 수술 시야 및 접근성, 수술 완성도, 그리고 주요 구조물의 보존 여부인 3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 시야는 기구를 다루고 수술을 하기에 충분하였으며, 추가 절개 없이 수술을 완성할 수 있었다. 절제된 갑상선 조직의 피막은 손상되지 않았으며, 잔존 갑상선 조직이 없음을 수술 부위를 통하여 확인하여, 수술의 완성도 여부를 평가할 수 있었다. 모든 사체에서 되돌이 후두신경 및 상 또는 하부갑상선의 보존을 확인하였으며, 주변 구조물들의 손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로봇이 아닌 후이개 절개를 이용한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은 시행 가능한 접근법 및 수술방법이라 사료된다.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삽입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고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방법의 타당성과 안전성 (Feasibility and Safety of a Technique Intended to Place the Catheter Tip in the Right Atrium without Abutment Against the Cardiac Wall during Implantation of the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 박혜진;서태석;송명규;양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61-170
    • /
    • 2024
  • 목적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이식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기술의 타당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를 삽입하고 추적관찰 CT를 시행한 환자 총 33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정맥 접근 포트는 절개선에서 직접 액와정맥으로 접근하는 단일절개법을 적용하여 이식하였다. 카테터 팁을 자르기 전 정맥 환류를 확인하여 우심방 내벽에 닿지 않도록 위치를 확인하였다. 카테터의 길이 및 연관된 합병증은 의료영상 그리고 의료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카테터 팁은 심벽과의 닿음과 기능장애 없이 성공적으로 위치 조정되었다. 카테터 팁의 위치는 cavoatrial junction 기준으로 fluoroscopy에서 15.3 mm, 첫 번째 CT에서 6 mm 원위부에 있었다(중앙값). 카테터 팁은 fluoroscopy 대비 첫 번째 CT에서 10.4 mm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였다(중앙값). 추적 CT에서 우심방과 상대정맥에서 각각 1건씩의 혈전증이 발견되었다. 결론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의도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혈전증 발생률이 낮고 기능장애가 없는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안전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