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축강도특성

검색결과 2,611건 처리시간 0.024초

순환굵은골재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on Compressiv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 양인환;정준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05-113
    • /
    • 2016
  •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재료 및 역학 특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압축강도 40 MPa 이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40 MPa 이상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사용의 확대를 위해 40 MPa 이상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역학 특성을 파악하였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역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을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실험변수로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45 및 60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은 30, 50, 70 및 100%이다. 실험변수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고강도 콘크리트일수록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 감소량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탄성계수 실험결과와 기존설계코드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설계코드에 의한 예측결과는 실험결과를 과다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설계코드에 의한 파괴계수 예측결과와 실험결과는 잘 일치한다.

준설토를 활용한 경량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연구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Soils Using Dredged Soils)

  • 윤길림;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5-8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 EPS 그리고 고화재를 혼합한 경량혼합토의 역학적 특성을 일축 및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역학적 특성은 다양한 준설토의 초기 함수비, EPS 함유율, 시멘트 함유율 그리고 양생압력에 대한 경량혼합토의 압축강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삼축압축상태에서 EPS를 함유한 경량혼합토의 압축강도는 유효구속압에 의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PS 함유율이 감소할수록($A_E$<2%) 그리고 시멘트 함유율이 증가할수록($A_c$>2%) 삼축압축강도-변형 거동특성은 극한 압축강도를 지나 급격한 압축강도의 감소를 보이는 시멘트 혼합토의 압축강도-변형 거동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kpa 이상의 압축강도를 요구하는 개량지반에 본 경량혼합토를 적용하는 경우에서 적절한 준설토의 초기함수비, EPS 함유율은 각각 약 165%~175%이상 그리고 3%~4%이상으로 제시할 수가 있었다. 삼축 및 일축압축상태에서 극한 압축강도는 시멘트 함유율이 2%이상에서 거의 증가하지 않음으로서 한계 시멘트 함유율은 2%로 제시할 수가 있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함수율에 따른 폭렬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xplosive Spalling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Moisture rate)

  • 이재영;김동준;권영진;원전화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47-154
    • /
    • 2009
  • 화재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폭렬(Explosive Spalling)이라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폭렬의 원인으로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콘크리트의 폭렬발생 있어서 압축강도 및 함수율이 초기 폭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기위하여 건축구조물의 화재 온도조건인 ISO834 화재온도이력곡선을 15분, 30분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초기 폭렬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 가열시간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폭렬발생 및 폭렬현상이 증대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5분, 30분 가열시간에 따른 잔존강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강도 및 함수율에 따른 폭렬발생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압축강도 50${\sim}$100 MPa의 경우 함수율 3%이하, 100 MPa이상의 경우는 1%이하로 제어할 경우 폭렬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현장타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확률적 분석 (Statistical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Field-Cast Concrete)

  • 김상효;배규웅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3-100
    • /
    • 1989
  • 철근콘크리트부재의 강도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변이를 보이고 있다. 주요 요인들은 콘크리트나 철근의 강도 및 역학적 특성의 변이, 시공오차등이다. 이들중 콘크리트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불확실성을 가지며, 다양한 요인(배합, 운반, 타설, 양생등)에 의해 변화정도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가지는 신뢰도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로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설계강도별로 직접채취하여 습윤양생과 현장조건양생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의 확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현장타설 부재내에서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였다.

고온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Exposed at High Temperature)

  • 윤현도;김규용;한병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98-7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발생된 화재와 같이 단기간에 빠르게 가열되는 조건하에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내화실험결과를 수집 및 분석하며 아울러 현행 노출온도에 따른 압축강도의 상관관계 기준식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노출온도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변화 특성은 내화실험방법(재하, 비재하 및 비재하 잔여 강도실험) 및 골재종류(천연 및 경량골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실험방법 및 골재종류별로 나누어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은 보통강도와는 노출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노출온도 약 2$0^{\circ}C$에서 40$0^{\circ}C$범위에서 보통강도 콘크리트보다 급격하게 압축강토가 저하되었으며 40$0^{\circ}C$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0$0^{\circ}C$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상온 압축강도의 30%까지 감소되었다. 노출온도에 따른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와 유럽 기준을 비교하여 볼 때 현행 기준식은 안전측이지 못하므로 화재에 노출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토 및 탄성계수 평가에 적응 가능성이 결여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복하중을 받는 ├형 철근콘크리트 접합부의 전단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Characteristic of├ Type Reinforced Concrete Joints under Cyclic Loading)

  • 이상호;이동화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73-82
    • /
    • 2001
  • 본 연구는 실험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반복하중을 받는 ├형 철근콘크리트 접합부의 전단특성을 파악함을 목적으로 한다. ├형 접합부는 고강도 재료의 사용으로 인한 체적의 감소 뿐만 아니라, 지진발생 시 반복하중의 작용으로 인한 변동축력 등으로 ,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 접합부의 전단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동축력, 콘크리트 압축강도, 접합부 전단보강근비를 변수로 한 1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본 실험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한 후, 기둥축력과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변화에 대한 변수해석을 통하여 접합부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변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실험에 의한 실험체의 전단내력을 기존에 제안된 AIJ, ACI 규준 등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로부터 기둥축력과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형 철근콘크리트 접합부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PDF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골재의 형상 특성과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ased on Aggregate Shape Featur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전준서;김홍섭;김창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35-1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범위 콘크리트의 단면에서 골재 형상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인공신경망과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면적, 둘레, 길이 등과 같은 일반적인 골재 형상 특성과 함께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물성치 예측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단면의 골재 형상 특성만을 사용하여 압축강도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구축을 통해 예측 강도와 실제 강도의 상대오차 4.43% 이내의 범위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 휨·인장강도 등 다양한 특성을 예측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ed by High Calcium Sulfate Cement)

  • 박승범;임창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35-146
    • /
    • 1992
  •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콘크리트 말뚝이 KS F4306 규격에 제정되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800kg/$ extrm{cm}^2$ 이상의 제조가 불가한 실정이 것으로 평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 말뚝 제조에 적용하기 위한 고황산염 시멘트의 실험적 연구로써 석고계 첨가량 및 단위 시멘트량 변화가 증가양생 콘크리트의 제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로부터 석고첨가량이 증대하면 콘크리트강도가 향상되지만, 7.5% 이상 첨가시에는 오히려 강도 저하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단위 시멘트량 변화에 따른 압축강도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고 압축강도 발현은 석고첨가량 5~7.5% 첨가와 단위시멘트량 500~540kg/㎥ 조건에서 800kg/$\textrm{cm}^2$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플라이애시 입도가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ineness of Fly Ash on the Compressive Strength)

  • 조영근;김호규;김영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313-319
    • /
    • 2017
  • 일반적으로 플라이애시의 입도, 화학성분, 비정질양, 비정질 Si, Al 양등 매우 다양한 요인이 시멘트와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의 입자 특성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표준사를 플라이애시와 유사한 입도로 분쇄하여 플라이애시와 동일하게 시멘트와 배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압축강도 결과 값을 사용하여 시멘트 수화반응에 의한 강도와 입자 충진 효과에 의한 강도 증진을 확인하였다. 표준사 분말을 치환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결과를 활용하여 플라이애시의 포졸란 반응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결과 값과 플라이애시의 입자 특성을 비교한 결과, 분말도는 압축강도와 약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PI(Pozzolanic Index)는 10% 통과직경(D10)과 50% 통과직경(D50)과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향후 PI와 D10과의 상관성은 플라이애시의 화학적 특성과 함께 플라이애시 특성을 파악하는 좋은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