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환자 피로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xperience about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ir Terminal Cancer Patient)

  • 양은숙;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67-685
    • /
    • 2017
  • 본 연구는 호스피스병동에서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돌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의식 속에 드러나는 현상과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9명의 말기 암 환자 배우자와 직계가족 보호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122개의 중심의미와 4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삶의 집착", "침상 지킴이", "돌봄 희생", "돌봄 장정(長征)의 피로", "애증의 골", "병자에게 복수하기", "소진 후의 허탄함", "간병 돌봄 동역자의 위로", "체념 속에서의 최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 "암의 역설적 축복", "성찰적 전회", "존엄한 죽음의 준비"의 13개 본질적 주제가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호스피스 병동에 말기 암 환자 보호자와 직계가족의 공통적 경험의 의미를 논의했으며, 보호자의 심리 정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심리상담 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암환자의 피로와 기능상태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 손수경;김경희;김상희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3-1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October, 10, 2005.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B, U, and S cities in Korea. Fatigue was measured using the Fatigue Scale for Cancer Patients, and Functional Status was measured using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Index. Result: 1)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79.72{\pm}21.25$(range: 26-130), and the mean score of functional status was $79.33{\pm}13.02$.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fatigue by sex, age, marital status, employment, major care-giver, pain, and period after diagnosi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functional status by employment, major care-giver, pain, stage of cancer, period after diagnosis, and type of cancer. 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r= -.472, p= .000). Conclusion: Increase in fatigu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Nurses must assess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when caring for the cancer patients, and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fatigue and to improve functional status.

  • PDF

치료 암환자와 호스피스 환자에 대한 삶의 질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ving for Therapeutic Cancer and Hospiece Patients)

  • 김승국;이동수;류제만;김종덕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9-8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치료 암 환자와 호스피스를 받는 환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소재의 C 병원의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20세 이상의 암 환자 50명과 J병원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 14명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면담에 의한 설문지 조사와 환자 기록지를 검토해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필요한 자료를 얻었고 결과는 아래과 같다. 1. 암 환자와 호스피스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결혼기간은 30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치료비 부담은 $70\%$이상이 본인이 부담자였다 2. 암 환자와 호스피스 환자의 질병관련특성은 $75\%$이상의 환자가 입원경험이 있었으며, $60\%$이상이 수술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유병기간별로는 6개월 이내가 $57.5\%$이고 2년 이상이 $64.3\%$였다. 3. 신체적 증상 호소율은 암 환자의 경우 $75.5\%$가 피로감을 $60\%$가 식욕감퇴를, $52.5\%$가 체중감소를 호소하였다. 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100\%$가 체중감소를 $92.9\%$가 피로 및 식욕감퇴를 호소하였다. 암 환자의 경우 부종은 $0\%,\;7.5\%$가 출혈을 보였고 호스피스 환자는 $7.1\%$가 피부의 변화를 $14.3\%$에서 설사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정서 및 영적지지, 신체적 증상, 주기전수의 삶의 질의 평균 평점은 암 환자가 각각 3.87, 2.88, 3.10, 2.80, 2.94로 나타났고 호스피스 환자는 3.80, 1.96, 1.58, 2.64, 3.24로 나타났다 5. 문항평균평점에서 암 환자와 호스피스환자의 가족지지는 거의 같았으나. 성격에서는 3.10과 1.58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서는 호스피스 환자의 평점이 조금 낮았다.

  • PDF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피로 변화 양상과 관련요인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during Chemotherapy)

  • 김선희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1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fatigu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during chemotherapy. Methods: Thirty participants (24 males and 6 femal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which utilized a longitudinal and descriptive approach.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Symptom Distress Scale, and Linear Analogue Self Assessment Scale. The participants received 5-FU and Adriamycin at the first week and 5-FU only at the second and third week. The instruments were measured six times in tot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Results: It was found that fatigue scores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receiving 5-FU and Adriamycin (FA) regimen, reached the highest level on the third day (F=9.37, p=.024) after the initial infusion,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ward. The symptom and psychological distress scores illustrated very similar pattern.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ity of fatigu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was supported in this study, showing that all four dimensions of the sca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on fatigue and other related symptoms which they experienced during weekly scheduled chemotherapy with FA regimen.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환자의 피로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in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 정복례
    • 종양간호연구
    • /
    • 제5권2호
    • /
    • pp.97-106
    • /
    • 2005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of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Method: One hundred twenty-six breast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radiotherapy clinic of two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ckage of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the Symptom Experience Scale, mood disturbance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fatigue, physical status, emo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was 4.18, 21.96, 100.95, and 3.70, respectively.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fession support were 3.94 and 3.47, respectively. Fatigue and physical status, fatigue and emotional status, phys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But emo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were emotional status, marital status, and physical status which explained 64.4% fatigue of breast cancer patients.

  • PDF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 (Needs and Related Factors for Return-to-Work Support in Cancer Survivors)

  • 이성원;이광민;오규한;염찬우;정상협;함봉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26-134
    • /
    • 2020
  • 연구목적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는 암 관리의 중요한 영역이 되었지만 암의 예방과 치료 영역에 비해 관련한 지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와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19년 세 차례 진행된 암 경험자를 위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0~10점 범위의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가족의 시각에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암환자 군 182명과 암환자 가족 군 114명에 대해 두 군간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하였고, 각 집단의 요구도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고한 비율이 암환자 군과 가족 군에서 각각 34.6%, 28.1%이었다.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 군에서 6.60±3.365점, 암환자 가족 군에서 6.17±3.454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282). 암환자가 스스로 평가한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수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OR=2.592, p=0.007), 가임능력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6.137, p=0.025), 외모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2.081, p=0.041), 피로를 경험하는 경우(OR=2.330, p=0.0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가족이 평가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가 유방암 경험자인 경우(호흡기 암종 대비 OR=13.038, p=0.022 ; 혈액암 대비 OR=4.517, p=0.025 ; 기타 암종 대비 OR=13.102, p=0.019), 직장/학교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OR= 4.578, p= 0.005), 우울을 호소하는 경우(OR= 3.213, p=0.0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암환자 군과 암환자 가족 군 모두에서 높고,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은 두 군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 대책이 필요하며, 대책 수립에는 암환자의 임상적 특성, 디스트레스, 암환자와 가족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치료 방법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피로와 삶의 질 (Comparison of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the Women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wo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 Chemotherapy vs Radiotherapy)

  • 양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4-252
    • /
    • 2003
  • This study was inten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Ninety-on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 medical unit and a therapeutic radiologic clinic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ungnam, Korea. Fatigue was measured using Lee's scale(1999) translated from Piper's Fatigue Scale an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Yang's scale(2002). The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were less fatigued and had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receiving radiotherapy(t=-2.914, p=.005; t=2.565, p=.012, respectively). The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the women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ancer treatments were influenced by the weight change during the past 3 months(F=24.70, p=.039). Cancer stage, metastasis and weight were not associated with fatigue and quality of life. Health professionals can help cancer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s prepare to cope with the expected side effects by providing a specific treatment-related information to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he knowledge of these information.

  • PDF

암증상과 피로가 소화기 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기능 감퇴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ncer Symptoms and Fatigue on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People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 오복자;이정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20-43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CRCI) and depression in people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198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as recruited from November 2014 to July 2015. The instruments were Everyday Cognition (ECog),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ADS),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Fatigue (FACIT-F), and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Gastrointestinal Cancer Modu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Results: CRCI was directly affected by cancer symptoms (${\beta}=.19$, p=.004) and fatigue (${\beta}=.56$, p<.001)($R^2=47.2%$). Depression was directly affected by fatigue (${\beta}=.48$, p<.001) and CRCI (${\beta}=.27$, p<.001). However, The impact of cancer symptoms on depress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RCI.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along with the direct physiologic effects (fatigue, symptoms) of cancer treatment may have altered cognitive function leading to depression.

국내 암환자 피로에 적용한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1990-2010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related Fatigue in Korea: 1990-2010)

  • 오복자;정지아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163-17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applied to cancer-related fatigue in Korea. Methods: For meta-analysis, a total of 963 studies were retrieved from search engines. And 19 studies with a total of 721 participants published from 1990 to 2010 were selected up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clusion criteria. Two authors independently extracted data from the selected studies and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4 studies on foot-reflexo-massage (21.1%), comprehensive program (21.1%), and exercise (21.1%), respectively, 3 for hand-reflexo-massage (15.8%), and 4 for others.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studies shown higher effect size in order of exercise (d=-1.80), and foot & hand-reflexo-massage (d=-0.5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exercise can reduce the intensity of cancer-related fatigue, even though the number of intervention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very few. There is limited evidence that reflexo-massage is effective in reducing cancer-related fatigue.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 김주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60-126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갑상선 특이적 증상, 자가간호이행도, 불안 및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수술 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154명의 갑상선 유두암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평균점수는 2.72점이었고 사회/가족상태 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연구대상자들의 대부분은 피로, 추위를 견디지 못함, 변덕스런 기분변화 등의 갑상선 특이적 증상을 호소하였다. 자가간호이행 참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갑상선호르몬제 복용(100%)이었으며 외래방문을 통한 추후관리는 두 번째로 높았다(99.4%). 불안은 45.3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대상자의 63%가 우울한 상태로 판정되었다.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은 갑상선 특이적 증상, 불안, 우울과 부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r=-.573, p<.001; r=-.739, p<.001; r=-.742, p<.001) 갑상선 특이적 증상, 불안, 우울이 수술후 삶의 질 정도를 64.9% 설명하였다. 이에 갑상선 유두암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건강관리전문가들은 장기간의 암치료과정에서 느끼는 부정적 정서를 완화시키고 지지체계를 개발하며 신체적, 심리적 증상관리를 돕는 실무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