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호알고리즘

Search Result 1,134, Processing Time 0.114 seconds

격자 기반 양자내성암호 양자 분석 기술

  • Chanho Jeon;Donghoe Heo;Myeonghoon Lee;Changwon Lee;Younglok Choi;Byeongho Cheon;Suhri Kim
    • Review of KIISC
    • /
    • v.33 no.1
    • /
    • pp.23-30
    • /
    • 2023
  • Peter Shor의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항식 시간 안에 인수분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제안됨에 따라, 다양한 수학적 난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현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유망한 양자내성암호는 격자 기반 암호이고, 격자 기반 암호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격자 암호 분석 알고리즘들 또한 함께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격자 암호 분석 알고리즘 및 양자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한 격자 암호양자 분석 기술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PKC Block Cipher Algorithm (PKC 블록 암호 알고리즘)

  • Kim, Gil-Ho;Cho, Gyeo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261-264
    • /
    • 2005
  • 선진국들은 공모 사업을 통해 많은 블록 암호가 개발되었으나 국내에서 개발된 블록 암호들은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블록 암호 개발은 기본의 암호와 차별성, 안전성 그리고 여러 플랫폼에서의 효율성이 중시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다 만족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128bit 블록 단위에서 128, 196, 256bit 키를 사용하는 새로운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블록 암호 알고리즘은 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구조, Feistel Network구조 등인데 본 논문에서 제안한 블록 암호 알고리즘은 변형된 Feistel Network구조로 입력 값 전체에서 선택된 32bit 만 update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기존은 블록 암호 알고리즘들과 큰 차별이 되고 있다. PKC블록 암호 알고리즘은 국제 표준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ES와 국내 표준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SEED와 수행 속도 면에서 동등하거나 많이 개선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제한된 환경에서 수행해야 하는 스마트카드 와 같은 분야에 많이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lass of Public Key Residue Cryptosystems (고차잉여류 문제에 기반을 둔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류)

  • 박성준;양형규;원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5.11a
    • /
    • pp.195-199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gamma}$$^{th}$ -잉여류 문제를 이용하여 제안된 공개키 잉여류 암호알고리즘들을 살펴보고, ${\gamma}$의 크기에 따라 제안된 각 암호알고리즘들을 분류해 본다. 특히 이산대수 문제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제안된 공개키 잉여류 암호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gamma}$의 크기와 헝태를 더욱더 일반화한 새로운 공개키 잉여류 암호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암호화 선제대응력(Crypto-Agility) 도입 방안

  • Jong Wook, Park;Seon Yeob, Baek;Jang, Sang-Woon;Sang Yun, Han
    • Review of KIISC
    • /
    • v.32 no.6
    • /
    • pp.53-63
    • /
    • 2022
  • 양자컴퓨팅 시대가 도래하면 현재까지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암호 알고리즘이 쉽게 해독될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NIST에서는 PQC 알고리즘 개발 프로젝트를, 한국에서는 KpqC 프로젝트를 통해 양자컴퓨팅 대응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양자컴퓨팅 시대에 안전한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 개발도 중요하지만, 암호취약점 발견이 일상이 될 경우 시스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암호 알고리즘을 신규 암호 알고리즘으로 대체할 수 있는 암호화 선제대응력(Crypto Agility)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암호 관련 요소들(암호 알고리즘, 암호 파라미터, 암호 프로토콜 등)을 대체하기 위해 필수적인 암호화 선제대응력 요구사항을 제안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정책기관에서 추진되어야 할 실행항목을 제시한다.

Analysis o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LEA Algorithm for Server Environment (서버환경에서의 LEA 암호 알고리즘 구현 및 성능분석)

  • Yun, Chae-won;Lee, Jaehoon;Yi, Okyo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359-362
    • /
    • 2014
  • With recent growing of application service, servers are required to sustain great amount of data and to handle them quickly: besides, data must be processed securely. The main security algorithm used in security services of server is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2001 published by NIST), which is widely accepted in the world market for superiority of performance. In Korea, NSRI(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 has developed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algorithm in 2004 and LEA(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 algorithm in 2012. In this paper, we show advantage of LEA by comparing performance with AES and ARIA in various servers.

  • PDF

코드 기반 암호와 아이소제니 기반 암호의 공격 사례

  • Yujin Yang;Yujin Oh;Kyungbae Jang;Hwajeong Seo
    • Review of KIISC
    • /
    • v.33 no.1
    • /
    • pp.51-58
    • /
    • 2023
  • 차세대 컴퓨터인 양자 컴퓨터는 현재 정보화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개키 암호 시스템인 RSA와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양자 알고리즘인 Shor 알고리즘은 RSA와 ECC가 기반하고 있는 수학적 난제들을 다항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NIST에서는 양자컴퓨터 상에서 내성을 가진 공개키 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2022년도에 NIST에서는 4개의 3라운드 최종 표준화 알고리즘을 발표하였다. 이와 동시에, 4라운드 표준화 알고리즘을 진행함으로써, 공개키 분야에서 코드 기반 또는 아이소제니 기반의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을 추가로 표준화할 예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NIST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 공모전 4라운드의 후보 알고리즘인 코드 기반 암호 Classic McEliece, BIKE, HQC와 아이소제니 기반 암호 SIKE의 최신 동향에 대해 확인해본다. 추가적으로, 해당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분석 기법과 공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록 한다.

Feistel Structure of TEA Algorithm (TEA 알고리즘의 페이스텔 구조)

  • 최태환;서성훈;송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463-465
    • /
    • 2001
  •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은 스트림 암호화 알고리즘에 비해 빠르며 안전성이 뛰어나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은 새로운 방식이 제안되기 보다는 페이스텔 암호(Feistel Cipher)에 기반하거나 그것의 변형에 기반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는데 그것은 페이스텔 암호의 안전성이 검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1994년에 발표된 TEA는 작고 구현이 쉬운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페이스텔 암호를 기반으로 하여 크기가 작고 빠르면서 구현이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페이스텔 암호에 대한 연구는 암호학적인 측면에서 암호학의 기반을 이루므로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페이스텔 암호의 구조보다는 키 스케줄이나 페이스텔 암호를 이루는 라운드 함수에 대한 연구가 주도족이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이러한 페이스텔 암호를 이루는 페이스텔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지한 형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TEA에 적용된 페이스텔 암호를 분석하여 TEA가 가지고 있는 페이스텔 구조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경량 블록암호 알고리즘 설계 연구 동향

  • Hong, Deukjo
    • Review of KIISC
    • /
    • v.30 no.3
    • /
    • pp.25-29
    • /
    • 2020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최적화는 제품의 성능 및 기능 향상, 개발 비용 최소화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암호학자들은 경량 암호 알고리즘을 가용 자원이 제한된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구현 및 동작할 수 있는 암호 알고리즘으로 정의하고, 그것에 맞는 다양한 설계 방법들이 연구해왔다. 본고에서는 경량 블록암호 알고리즘 설계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논의한다.

A Study on Hybird Authentication Algorithm for Security Channel Retention (안전한 통신채널 확보를 위한 혼합형 인증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ee Seon-Keun;Kim Hwan-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3 no.2 s.344
    • /
    • pp.22-26
    • /
    • 2006
  • Symmetric cryptographic algorithm is incongruent in network environment by absence of authencation in spite of advantage of easy etc. on data processing and implementation of high speed. Therefore, proposed merging style authentication algorithm that use MAC and MDC so that symmetric cryptographic algorithm can achieve authentication. Proposed algorithm made security can wide of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as to achieve authentication to cryptographic algerian itself not that act independently of symmetric cryptographic algorithm.

KpqC 암호 알고리즘의 효율성 관점에서의 분석

  • Hyeok-Dong Kwon;Min-Joo Sim;Gyeong-Ju Song;Min-Woo Lee;Hwa-Jeong Seo
    • Review of KIISC
    • /
    • v.33 no.3
    • /
    • pp.73-83
    • /
    • 2023
  •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는 양자 컴퓨터가 가져올 현대 암호 체계 붕괴에 대비하여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개최하였고,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1종, 전자서명 알고리즘 3종을 표준으로 선정하였다. 이어서 국내에서도 국내 표준양자내성암호 도입을 위한 시도가 시작되었다. KpqC 공모전은 국산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 표준화를 선정하기 위한 공모전으로, 현재 Round 1을 진행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KpqC 암호 알고리즘들의 암호 구현 효율성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NIST에서 선정한 표준 알고리즘들과 실제 활용 사례를 확인해 보며 추후 표준화가 될 KpqC 암호 알고리즘들의 운영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