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석 분류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풍화조사

  • 이수곤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12001-12049
    • /
    • 2004
  • 암석의 풍화과정은 화학적인 변질, 물리적인 분해 및 생물학적인 작용으로 나뉘어 진다. 풍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기후, 조성광물의 종류 및 구조, 절리와 단층, 열수변질작용과 광화작용, 염기성 및 산성암맥과 지형 등이다. 또한 암석의 풍화는 성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암석을 이루고 있는 각각 광물들이 열역학적인 반응경로가 서로 다르고, 이에 수반되는 물리적인 풍화진행속도가 차이가 있으며, 암석의 균질성, 투수성 등이 암종별로 다양하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암석의 풍화정도는 조성광물의 변질과 분해정도를 육안 등으로 정성적으로 판단하고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략)

  • PDF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under Natural Environment and Strength Evaluation of Weathered Rock (자연환경하에서 암석의 풍화특성과 풍화암석의 강도평가)

  • Kang, Dae-Wan;Obara, Yuzo;Hirata, Atsuo;Kang, Seong-Seo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6
    • /
    • pp.460-470
    • /
    • 2011
  • Wave velocity was measured to define th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and the strength evaluation of weathered rock on a target of the Aso gravestones with various siz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size correction method which was changed sample of the different size to one of the same size for evaluating wave velocity was proposed, and also suggested the NET (Normalized Elapsed Time) as a new weathering index of rock.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weathered rock was estimated from the weathering classification of rock using the NET. Wave velocity of welded tuff was high and didn't show velocity degradation, on the other hand, one of andesite was low and showed velocity degradation. The degree of weathering between rocks of the different size is considered to be comparable, applying the NET based on the on the $V_p/V_o$-NET curve.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of rock weathering stages using the NET based on the $S_c/S_o$-NET curve was available, and the estimation of strength for the weathered rock was also possible.

Summary of igneous rocks and lava caves in CHEZU-ISLAND (화성암과 제주도의 용암동굴 연구)

  • 권동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4 no.45
    • /
    • pp.49-63
    • /
    • 1996
  • 암석에는 그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 성인에 의한 분류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이 분류방법은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의 세분류로 되고 있다. 이는 1862년에 독일의 콜타(B. von Cotta)가 분류 제창한 것으로 현재까지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류기준이다.(중략)

  • PDF

Investigation of Resistivity for Rock and Soil in South Korea (전국의 암석, 토양층에 대한 토양비저항 조사)

  • Lee, H.G.;Bae, J.H.;Ha, T.H.;Kim, D.K.;Choi, S.B.;Jeong, S.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c
    • /
    • pp.1354-1356
    • /
    • 1999
  • 토양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토양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분류법이 제안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해방 전부터 토양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농업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각의 연구결과는 물리, 화학적으로 정량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다. 또한 접지설계 등의 전기관련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양의 개념, 생성인자, 분류 및 전기적 특성 등의 개요를 알아보고,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국내의 암석 및 토양에 대한 비저항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암석과 토양에 대한 개략적인 토양비 저항도를 작성하여 접지설계 및 지하매설 금속물의 방식 설계 등에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Rock Mass Classification by Rock Mechanics (암석역학 전문자 시스템(ROMES)에 의한 암반분류 연구)

  • 양형식;이희근;김호영;김남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5 no.1
    • /
    • pp.41-47
    • /
    • 1995
  • 터널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ROME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기존 Classextltmxpa으로 검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얻었으며 기존의 암반분류 사례에 적용한 결과 정밀하고 객관적인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가평지역에서 발견된 철운석에 대한 암석학적, 광물학적 기재 및 예비분류

  • An In-Su;Kim Tae-Gyeong;Choe Byeon-Ga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1-115
    • /
    • 2006
  • 최근 경기도 가평지역에서 새로운 철운석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에 낙하(fall) 또는 발견(find)된 운석 중 다섯 번째 기록이다. 가평운석(가칭)은 북위 $37^{\circ}52'08'$, 동경$127^{\circ}27'54'$, 고도 147m 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운석의 분류상 철운석에 속한다. 가평운석의 표면은 지표상에서 풍화를 받은 흔적이 나타나나, 내부는 비드만스태튼 무늬(Widmanstatten pattern)와 같은 철운석의 특징이 잘 보존되어 있다. 가평운석의 암석학적, 광물학적 기재와 분류를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및 전자 현미분석기(electron probe micro-analyzer)를 이용했다. 풍화의 산물인 철산화물이 나타나는 최외각부를 제외하면 가평 운석은 거의 순수한 철-니켈 금속광물(Fe-Ni metal)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니켈 함량이 적은 카마사이트(kamacite)가 대부분이며 소량의 태나이트(taenite)가 산출되어 비드만스태튼 무늬를 구성한다. 비드만스태튼 무늬의 특징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가평운석은 중립질 또는 조립질 옥타헤드라이트(octahedrite)에 속한다. 철운석은 화학적으로 열 개 이상의 하부그룹으로 세분되며, 가평운석의 정확한 하부그룹으로의 분류는 친철원소에 대한 미량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가평운석의 냉각률은 $^{\sim}1^{\circ}C/Ma$이하로 나타나며, 이는 가평운석이 천천히 냉각된 비교적 규모가 큰 소행성의 핵에서 유래했음을 지시한다.

  • PDF

암석역학 전문가 시스템(ROMES)에 의한 암반분류 연구

  • 양형식;김남수;이희근;김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5.03a
    • /
    • pp.181-185
    • /
    • 1995
  • 현재 구미에서 터널의 설계에는 RMR, Q와 같은 암반분류 기법과 경계요소 해석법과 같은 간략한 탄성 프로그램에 경험적 파괴조건식을 적용하여 이완대를 계산하고 터널의 지보량을 추정하는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RMR이나 Q와 같은 암반분류법은 지하공동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질 요인들에 근거하여 암반을 몇가지 등급으로 분류하고 지보방법을 결정하는 분류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각 항목의 평가방식이 경험적인 판단을 요하게 되어 주관적인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많고, 또 여러 가지 대체 수단이 있어 종합적인 판단을 얻기가 용이하지가 않다. (중략)

  • PDF

Spectral analysis of mineral materials for mineral exploration (광물탐사를 위한 광물소재의 분광특성 분석)

  • Hyun, Chang-Uk;Park, Hyeong-D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18-322
    • /
    • 2009
  • 광물탐사 과정 중에 원격탐사 기법을 도입하면 지표 광역조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성영상에서 특정 광물의 분포 위치와 분포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 광물의 분광반사특성을 분류 기준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산 및 채석장에서 채취한 광물과 암석 시료를 이용하여 구성 광물을 분석하고 분광반사특성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위성영상들의 구성 밴드들에 대한 파장영역을 추출하고 측정된 분광반사특성 자료를 추출된 파장영역으로 재구성하여 광물 및 암석들의 고유한 분광특성들의 보존 유무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