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발생

Search Result 2,0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지혜 깊어지는 건강 - 50대를 지켜라 - 갑자기 배변습관에 변화가 찾아왔다면?

  • Yu, Yeong-Jin
    • 건강소식
    • /
    • v.35 no.11
    • /
    • pp.18-20
    • /
    • 2011
  •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약성의 종양을 말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고,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이라는 양성 종양(폴립, 용종)이 진행되어 발생하며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유암종 등이 발견된다.

  • PDF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induced Mouse Epidermal and Forestomach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비상품 양파추출물의 Mouse 피부암 및 위장안 억제효과)

  • 이찬중;김희대;정은호;서전규;박철우;하영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525-530
    • /
    • 2000
  • 상품가치가 없는 비상품구로부터 추출한 OWE를 mouse의 피부암 및 위장암 저해 효과에 관한 실험을 한 결과 피부암의 경우 control구에서는 6주부터 종양이 발생하여 23주에는 mouse 당 2.9개의 종양이 발생하였으나 20mg OWE 처리구에서는 8주부터 종양이 발생하여 23주에는 mouse 당 1.3개의 종양이 발생하여 control에 비해 55.2%의 종양 억제효과가 있었다. 20mg quercetin 처리에서는 6주부터 종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23주에는 mouse 당 1.2개의 종양이 발생하였다. 처리별 암 발생율은 20mg OWE 처리에서 85.7%, 20mg quercetin 처리에서는 76.2%의 발생율을 보여 control의 95.2%에 비해 낮은 암발생율을 보였다. 위장암의 경우 control에서는 mouse 당 9.2개의 종양이 발생하였고, 50mg OWE 및 25mg OWE 처리에서는 각 6.1, 6.3개의 종양이 발생하여 control에 비해 각각 33.7%, 31.5%의 종양억제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25mg quercetin 처리에서는 mouse 당 5.3개의 종양이 발생하였다. 처리별 암발생율은 50mg OWE 및 25 mg OWE 처리에서 각 88.2%, 94.1%, 25mg quercetin 처리에서 83.3%의 발생율을 보여 control 100%에 비해 낮은 암발생율을 보였다.

  • PDF

유방암 환자의 폐경 전후에 따른 생활습관 및 산과요인에 관한 연구

  • 김은정;최봉순;이희자;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6.1-406
    • /
    • 2004
  • 유방암은 선진국형 질병으로 미국의 경우 가장 흔한 암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유방암 발생률이 낮았으나, 생활방식이 서구화되고 영양상태가 좋아지면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이 증가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서구화 되어가는 생활 패턴으로 초경 연령이 빨라지고, 폐경연령이 늦어지는 등 유방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 중에 유방암이 있거나 출산하지 않을 경우 등에서도 유방암의 발생률이 다소 높다고 한다.(중략)

  • PDF

소통+섬기는 마음: 역사 속으로 -암을 정복한 암 개척자

  • Choe, Yong-Gyun
    • 건강소식
    • /
    • v.34 no.11
    • /
    • pp.38-39
    • /
    • 2010
  • 옛날 유럽에서는 굴뚝 청소부의 음낭에서 암이 자주 발생했다. 1775년 영구의 의사 포트는 음낭암에 대해 이런 보고를 했다. 굴뚝 청소 중에 그을음이 음낭의 주름에 끼어 암이 발생한다고. 암을 연구하던 의사와 과학자들은 피부에 타르를 바르면 인공적으로 암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소 허무맹랑하게 암에 대한 접근이 시작된 지 200여년이 지났지만 암은 여전히 정복대상이다. 암에 대한 연구로 암에 대해서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던 암 개척자들을 알아본다.

  • PDF

Correlation Between Pancreatic Cancer Incidence and Lifestyle Modification in Urban Residents (도심지역 주민들의 건강생활습관과 췌장암 발생과의 연관성)

  • Lee, Seong-R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59-76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지역 주민들의 건강생활습관과 췌장암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종합병원에 내원한 췌장암 환자군 51명, 대조군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주량이 증가함에 따라 췌장암발생 위험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둘째, 췌장암 발생위험에 대한 식사속도, 자극성 음식선호여부, 뜨거운 음료선호여부, 채식선호 정도 등은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수입이 낮을수록 도시보다는 농 어촌에 거주할수록 췌장암 발생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P<0.01). 셋째, 췌장암 발생에 대한 흡연과 음주의 상협효과 결과 흡연과 음주를 동시에 이용하였을 때 췌장암 발생위험도는 흡연 또는 음주만 이용할 때보다 상협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상에서 볼 때 췌장암 진단을 위한 정기적인 검사가 보편화되지 않고 대상자의 판단에 의해서만 실시되고 있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위험요인들을 기초로 췌장암 위험 사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연구.학문.기술 - 암 예방과 식생활

  • Park, Geon-Yeong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3
    • /
    • pp.85-88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암 발생이 계속 증가하여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체 사망자의 27%나 된다. 이렇게 지속된다면 우리나라 인구의 3분의 1은 암으로 사망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는 국민건강 및 경제적 측면에서 정말 큰 걱정거리다. 물론 노령인구가 증가 되면서 암 발생 및 사망수가 점차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 주위에서 젊고 아까운 사람들이 암으로 사망하는 모습을 보면 너무나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그러나 누구도 암에 걸리지 않는다고 자신할 수 없으며 암은 일단 걸려 시간을 놓치게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 그래서 미국의 경우에도 암과의 전쟁을 선포한 후 치료의 어려움을 알고는 암 예방으로 정책을 선회하여 최근 들어 암 발생이 감소되고 있다고 한다.

  • PDF

건강한 생활습관실천으로 암을 예방합시다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2 s.279
    • /
    • pp.6-13
    • /
    • 2002
  • 세계에서 매년 약 1,000만명의 새로운 암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650만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약 85,000명의 새로운 암환자가 등록되고 있으며, 55,000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의 20%를 차지하는 수치로서 사망원인으로는 단연 1위에 해당한다. 이처럼 암 발생과 암으로 인한 사망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암을 일으키는 원인인자를 밝히고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여 암을 예방하려는 노력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몇몇 암의 경우에는 그 발생 원인들이 일부 밝혀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금연을 통하여 폐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간염백신 접종을 통해 간암을 예방하는 경우 등이다. 한편,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 발생인구 가운데 1/3은 예방가능하고, 1/3은 조기진단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1/3의 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완치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등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거의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암들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실시할 겨우 암으로 인한 사망을 상당수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정부는 2002년부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대해 조기검진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으며, 암 예방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국민들에게 암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나아가 생활양식의 변화를 유도하여 암을 예방하도록 하는 마스터플랜을 추진하고 있다.

  • PDF

우리나라 암 질환의 분포

  • An, Yun-Ok
    • 건강소식
    • /
    • v.10 no.12 s.97
    • /
    • pp.21-23
    • /
    • 1986
  • 인구8-9만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에서는 인구 10만명당 연간 암발생율은 남자 140,여자 103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암발생율은 진단기술의 정도나 주민의 의료 양상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겠으나 현재 우리나라 암발생율은 대략 130-150/10만명으로 추정되며 연간 약5~6만명의 암환자가 새로이 발생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 PDF

The Status for Radiation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focused on Busan Area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된 암환자의 방사선 치료 현황)

  • Park, Euntae;Park, Sungkw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7 no.2
    • /
    • pp.151-156
    • /
    • 2013
  •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its death rate increas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ccurrences in cancer patients in Busan area and to provide active help for treat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It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446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Jan. 2011 to Dec. 2012 at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in Busan area. The seven main cancer types were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colon rectal cancer, brain tumor, laryngopharyngeal cancer and liver cancer.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as breast cancer which takes up 38.1% of cancer patients stood out from other cancer types. Breast cancer is that shows increasing trend and in need of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managements for decreasing cancer risk. Therefore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breast cancer analysis, an appropriate management program is required.

Literature Review on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Oral Cancer (구강암의 발생현황과 원인)

  • Han, Ji-Hyoung;Kim, Eung-Kwon;Lim, Soon-Hwan;Kim, Chang-Hee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5
    • /
    • pp.451-45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vasive trends in oral cancer in different countries in an effort to discuss what to do to prevent cancer and drop a death rate. The material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articles of oral cancer by searching risk factor and epidemiology at a website (www.oraloncology.co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ed literature, it's found that in our country, the percentage of oral cancer in total cancer dropped but the number of oral cancer patients was on the rise every year. In foreign countries, the number of oral cancer patients was on the increase as well, whereas the lethality dropped.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overall.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was larger among older people. The major causes of oral cancer were smoking and drinking. To reduce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every possible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and legal measure should be taken to ensure of anti-smoking policies, and publicity of moderation in and abstinence from drinking should be reinforced. The additional causes of oral cancer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country and region.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at was affected when the level of personal economy and education was low. Therefore it's important to redress social imbalance within a country and among countries to remove socioeconomic divide. As the oral cancer patients has increased every year, the incidence rate of it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rly diagnosis, public oral health education and preventive policies are all required to decrease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