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반면 평가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불연속면을 고려한 암반 사면의 안정성 해석

  • 이상수;박연준;유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177-187
    • /
    • 2001
  • 암반사면의 안정성은 암반 내에 발달한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파괴특성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두 조의 연속성이 좋은 절리가 발달한 암반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FLAC의 FISH 언어로 작성된 편재 절리모델을 사용하여 절리암반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는 절리의 간격과 방향성을 달리하면서 수행된 UDEC 해석과 저면 마찰 모델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UDEC 해석과 저면 마찰 모형시험 의해 발생된 파괴면의 형상은 유사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편재절리모델에 의한 FLAC 해석에서의 파괴면은 두 조의 교차하는 절리를 따라 계단식으로 파괴면이 발생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The Case Studies on Application of Mat Foundation System to Building Structure Founded on Weathered Ground (풍화대지반에 지지된 건축구조물의 전면기초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Choi, Yongkyu;Kim, Sungho;Lee, Minhe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0 no.6
    • /
    • pp.5-18
    • /
    • 2009
  • In construction of buildings in Korea, the buildings are frequently founded on the weathered ground (weathered soil/rock, fractured rock). In this case, to make a full use of a bearing capacity of a weathered ground for economic design, the shallow mat foundation system could be used.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ed three cases of mat foundations on the weathered ground in Korea, and analyzed and considered the design procedures and the reinforcing methods. That is, we have considered the detail design, analysis proceedings, the ground settlement evaluation proceedings, the rock face mapping evaluations after excavation and reinforcing methods of the mat foundation on the weathered ground. And large scale plate load tests on the weathered ground supporting the mat foundation were performed and also load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actual mat foundation, considering the scale effect, were evaluated.

  • PDF

퍼지이론을 이용한 위험절개면 평가법 및 대척공법 결정기법 개발 연구

  • Baek, Yong;Koo, Ho-Bon;Jang, H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10a
    • /
    • pp.83-90
    • /
    • 2001
  •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와 더불어 낙석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와 대책 마련은 도로의 신설과 유지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절개면의 안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위험등급을 분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는 절개면 안정도 평가시 조사인자의 선정에서 전문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법 개발을 위하여 절개면의 조사인자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자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한 퍼지 이론으로 안정도를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정량화 값만으로 평가된 절개면 안정도에 따른 대책공법의 설정은 현장성과 적용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여건을 최대한으로 고려하여 도로 관리자뿐만 아니라 지반 전문가가 대책공법을 선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법과 시스템은 효율적인 정보관리화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시스템화 되어 있으며 도로절개면 유지관리시스템에 병합하여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 PDF

Automatic Extraction of Fracture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Rock Masses by LIDAR System and the Split-FX Software (LIDAR와 Split-FX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암반 절리면의 자동추출과 절리의 특성 분석)

  • Kim, Chee-Hwan;Kemeny, Joh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1
    • /
    • pp.1-10
    • /
    • 2009
  • Site characterization for structural stability in rock masses mainly involves the collection of joint property data, and in the current practice, much of this data is collected by hand directly at exposed slopes and outcrops. There are many issues with the collection of this data in the field, including issues of safety, slope access, field time, lack of data quantity, reusability of data and human bias. It is shown that information on joint orientation, spacing and roughness in rock masses,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point floods using the currently available Split-FX point cloud processing software, thereby reducing processing time, safety and human bias issues.

A Study on the Image Optimization for Digital Vision Measurement (디지털 영상 계측을 위한 이미지 최적화 연구)

  • Kim, Kwang-Yeom;Yoon, Hyo-Kwan;Kim, Chang-Yong;Yim, Sung-Bin;Choi, Chang-Ho;Lee, Seung-D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6
    • /
    • pp.421-433
    • /
    • 2010
  • The digital images to be used for digital vision measurement like digital face mapping and photogrammetric monitoring in construction could be influenced by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kind of light, the intensity of radiation, camera set-up and so on.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assess the rock mass from the digital images acquired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some tests and analysis are carried out to modify the images to be suitable and consistent for the digital image optimization. As a result, the recommended conditions for the acquisition of optimized digital images are suggested.

Effectiveness Estimation of Rock Slope Stability Evaluation Items for Geometrical Configuration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기하학적 형상 및 지형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항목의 유효성 평가)

  • Lee, Yonghee;Kim, Jongryeol;Lee, Jinsoo;Kang, Kwonsoo;Kim, Na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5
    • /
    • pp.61-69
    • /
    • 2008
  • In general, it has been usually used the method that assess rock slope stability using stereographic projection method, limit equilibrium analysis, numerical analysis and slope stability evaluation table. Several methods for assessing the stability of rock slopes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site investigation data. These method adopted different evaluation items and weighting factors by researchers, organization and nation. But the researches for each evaluation items were insufficient. So the effectiveness of rock slope stability evaluation items for geometrical configuration (slope height, slope direction and angle, dip and dip direction of major discontinuity, absolute value for the direction difference for slope and major discontinuities)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possibility of topographical water concentration, upper natural slope angle, slope configuration) using 315 failure and stable highway rock slope analysis data, AV (abnormal value) analysis and NMAV (normalized maximum abnormal value) analysis were evaluated.

  • PDF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 김도형;박준경;김영근;오세준;이두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3.03a
    • /
    • pp.51-66
    • /
    • 2003
  • 최근 용지매입의 제한과 자연환경훼손의 최소화를 도모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대단면 근접병설터널 계획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중앙벽체부의 지지기능을 활용한 2Arch터널의 형태로 도심지 지하철의 정거장이나 고속도로의 일부구간에 계획되고 있으나,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 대한 시공실적 및 설계사례가 부족한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역학적 거동과 합리적 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 대한 국내·외의 설계 및 시공사례를 정리·분석하므로서 차후 제한된 구간에서의 터널계획시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도심지 구간에 계획중인 터널의안정성 검토 사례를 중심으로 터널 및 인접구조물, 중앙필러부 및 콘크리트 라이닝에 대한 상세 안정성 검토방법을 고찰함으로써 기존 병설터널의 거동특성과는 구별되는 대단면 근접 병설터널의 안정성 평가기법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Direct Shear Apparatus Considering the Boundary Conditions of Rock Joints (암반의 경계조건을 고려한 절리면 직접전단시험기 개발)

  • 이영휘;김용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2
    • /
    • pp.147-157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a rock joint which influence the stability of rock mass structures such as cut slopes and tunnels are largely controlled by the conditions of the rock joint as well as its boundary conditions. The conditions of rock joints comprise asperity strength, roughness, and filling materials. Boundary conditions can be represented by assuming that the deformability(or stiffness) of the rock mass surrounding the joints is modelled by a spring with stiffness. A new direct shear apparatu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adapts a servo control system using PID algorithm. This apparatus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aspects of shear characteristics of the rock joints at conditions of constant normal stress and constant normal stiffness and so on. The test results for saw-cut teeth joints show that shear strength should be evaluated by considering its specific boundary conditions far the design of tunnels and cut slopes.

절리암반 중에 굴착된 터널의 거동평가를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Kang, Yong;Yoo, Gwang-Ho;Park, 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97-108
    • /
    • 2001
  • 절리가 발달한 암반의 거동평가를 위한 해석적 방법은 연속체 모델과 불연속체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연속체 모델을 사용할 경우에는 유한요소법이나 유한차분법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불연속체 모델은 개별 블록들의 움직임을 일일이 계산하므로 매우 매력적인 방법이지만 현재의 지반조사 기술수준으로는 지반내의 절리발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컴퓨터의 계산용량이 너무 과다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불연속면을 포함한 암반을 연속체로 가정한 편재절리 모델(ubiquitous joint model)을 이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터널의 경우는 사면의 경우와는 달리 파괴면의 형상을 사전에 가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계평형법에 기초한 해석법 등을 적용하여 안전율을 구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터널을 대상으로 한 수치해석은 안전율을 구하기보다는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편재절리모델을 이용한 절리암반터널의 거동 평가기법과 수치해석에 의해 터널의 안전율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터널의 안전율 구하는 방법을 강도감소기법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