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반대수층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

  • 김태형;정상용;강동환;이민희;권해우;유인걸;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3-236
    • /
    • 2003
  •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500여개 공을 대상으로 총3회 측정하였다. 봄에서 늦가을까지의 시기별로 측정된 현장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밀양시 전역의 충적층 및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밀양지역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는 계절별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계절적인 지하수위 변동이 약한 것은 밀양지역의 지하구는 대부분이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봄과 가을에는 용수 사용량이 비슷하며, 여름에는 강수량은 맑지만 농업용수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함양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대수층유형에 따른 지하수위는 암반대수층의 피압 정도와 충적 및 암반 지하수공들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프락탈 모델을 적용한 우리나라 균열 암반 대수층의 수리상수

  • 함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5.03a
    • /
    • pp.121-134
    • /
    • 1995
  • 대수층의 수리상수를 산출하기 위한 양수시험 분석에 이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이론은 Theis 이론이다. Theis 이론에서는 지하수의 흐름은 2차원의 방사상 흐름이다. 그러나, 1차 공극으로 이루어진 충적층 대수층이나 사암과 같은 다공질 대수층과는 달리 기반암내에 발달되어 있는 균열 대수층은 균열(fractures), 열극(fissures) 또는 단층과 같은 2차 공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략)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Aquifer Characteristics Using Pumping Test Data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for Korea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양수시험 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수층 특성의 통계적 분석)

  • Jeon Seon-Keum;Koo Min-HO;Kim Yongje;Kang In-Oa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0 no.6
    • /
    • pp.32-44
    • /
    • 2005
  • 314 pumping test data of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NGMWs) are analyzed to present statistical properties of fractured-rock and alluvial aquifers of Korea such as distribu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ransmissivity and specific capacity, and time-drawdown patterns of pumping and recovery test. The mean hydraulic conductivity of alluvial aquifers (1.26 m/day) is 17 times greater than that of fractured-rock aquifers (0.076 m/day). Hydraulic conductivity of fracture-rock aquifers ranges in value over 4 orders of magnitude which coincide with representative values of fractured crystalline rocks and shows distinctive differences among rock types with the lowest values for metamorphic rocks and the highest values for sedimentary rocks. In consideration of the estimated transmissivity with some simplifying assumptions, it Is likely that $32\%$ of groundwater flow for NGMWs would occur through fractured-rock aquifers and $68\%$ through alluvial aquifers. Based on 314 pairs of data,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ransmissivity and specific capacity are presented for both fractured-rock and alluvial aquifers. Depending on time-drawdown patterns during pumping and recovery test, NGMWs are classified into $4\~5$ types. Most of NCMWs $(83.7\%)$ exhibit the recharge boundary type, which call be attributed to sources of water supply such as streams adjacent to the pumping well, the vertical groundwater flux between fractured-rock and the alluvial aquifers, and the delayed yield associated with gravity drainage occurring in unconfined aquifers.

균열암반에서의 양수시험자료 해석과 GRF 모텔

  • 성현정;이철우;우남칠;김구영;김용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50-2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해석해를 이용하여 균열암반 대수층에서 얻어진 양수시험자료를 해석하였다. 균열암반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을 연구해 본 결과, 1.3차원에서 2.9차원까지 다양한 분포 차원을 나타나며, 양수시험 자료중 52%에 해당하는 자료가 1차원과 2차원 사이의 분할 유동차원을 보여준다. 이에 대하여 6.3%만이 Theis 이론에 맞는 2차원의 방사상 흐름을 보여준다 2∼3차원의 대수층이 암반대수층에서 나타나기는 어려우며, 만약 2차원 이상으로 해석되는 경우는 다른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즉, Leaky, constant head boundary, no flow boundary 등을 고려해야 한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hydraulic properties of fractured rock aquifer using the deep borehole (심부시추공을 활용한 결정질암반 대수층에 대한 수리적 예비연구)

  • Cho, Chung-Ho;Park, Kyung-Woo;An, Sang-Won;Kim, Kyung-Su;Han, Wo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29-1933
    • /
    • 2009
  • 수자원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단열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를 개발해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암반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 지역 내에 NX 규격의 직경 78mm를 갖는 500m 심도의 심부시추공 (DB-01)을 굴착하였다. DB-01에 대한 시추공 단열조사 (BHTV) 및 시추코아 분석을 통해서 심부 시추공에 대한 예비 투수성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투수성이 큰 구조로 단열과 연결된 지점으로 판단되는 심도에 대해서 현장 수리시험을 수행하여, 결정질 암반의 투수성 구조에 대한 수리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적 투수성이 큰 심도를 결정질 암반의 대수층이라 정의하였다. 수리특성이 비슷한 3가지의 그룹 중 3그룹은 투수계수도 가장 크고 단열빈도도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와 심부 200m에서 250m이하의 이 단열구간은 수자원으로 지하수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 PDF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Uunconsolidated Formations and Bedrocks in the Central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 도심지역 미고결층과 기반암의 수리지질 특성)

  • Hamm Se-Yeong;Cha Yong-Hoon;Cheong Jae-Y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5 no.4 s.42
    • /
    • pp.407-421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the central area from Yangjeong-Dong to Sujeong-D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r this study, pumping tests were carried out in the bedrock aquifer of Yangjeong-Dong and the unconsolidated aquifer near Busanjin railway station. The pumping test in the bedrock aquifer containing the Dongrae fault revealed specific hydraulic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fault. The pumping test in the unconsolidated aquifer revealed the hydrogeologic properties of both coastal landfill and fine sediments. It was found that the Moench's sphere-shaped dual-porosity model fits the bedrock aquifer, whereas the Neuman's uncofined aquifer model accords with the unconsolidated aquifer. The average transmiss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of the bedrock aquifer are $2.75{\times}10^{-5}m^2/s\;and\;6.41{\times}10^{-5}$ and those of the unconsolidated aquifer are $8.24{\times}10^{-4}m^2/s\;and\;3.70{\times}10^{-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slug tests gave average transmiss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values of $9.84{\times}10^{-4}m^2/s\;and\;1.21{\times}10^{-2}$, respectively.

국내 지하수 미소생물 분포 조사를 통한 Bio-Indicator System 작성

  • Jeon Seon-Geum;Won Lee-Jeong;Berkhoff Sven;Kim H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40-343
    • /
    • 2005
  • 국내 지하수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훌륭한 방안이 될 수 있는 Stygofauna를 이용한 biological indicator system 개발을 위해 국내 지하수를 대표할 수 있는 국가지하수관측망 약 200여 개소를 선정하여 국내 지하수 미소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국의 지하수 생물 채집 결과, Cyclopoida(41.4%)가 우리나라 지하수 생태계에서 가장 전형적인 동물로 나타났으며, 암반대수층보다 에너지와 유기물이 충분한 충적대수층에서 동물의 밀집도가 두 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생물 분포 또한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이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권역별 동물 개체수 비교 결과, 금강권역에 비해 영산강과 낙동강권역은 종과 개체수가 적게 나타났다.

  • PDF

균열암반에서의 양수시험자료 해석과 일반화 방사상 유동모델의 적용성 연구

  • 성현정;김용제;우남칠;이철우;김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493-496
    • /
    • 2003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균열암반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을 해석ㆍ평가하기 위하여 양수시험 해석해(Theis, 1935; Cooper-Jacob, 1946; Papadopulos-Cooper, 1967; Hantush, 1962a,b; Moench, 1985; Hantush-Jacob, 1955) 및 일반화 방사상 유동 모델을 이용하여 균열암반 대수층(화강암, 화산암, 변성암, 백악기퇴적암, 제3기 퇴적암에 굴착된 100개 조사공)에서 수행되어진 양수시험으로부터 얻은 122개의 양수시험자료(수위강하 자료)를 분석하였다. AQTESOLV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양수시험자료 분석에 의하면, 122개 자료중 86개(71%)의 자료들이 이 연구에 사용된 해석해와 일치하며, 양수시험자료 해석해 중에 누수(leaky) 및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고려한 해석해들이 53개(4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양수시험자료의 해석은 균열암반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적합한 개념모델의 설정이 중요하다. 일반화 방사상 유동(GRF)모델을 적용해보면, 122개의 자료중 77개(63%)의 자료들이 Barker(1988)의 표준곡선에 의한 차원(1.1차원-2.9차원)을 보여준다. 이중 44.2%에 해당하는 39개 자료가 1.1차원과 1.9차원 사이의 분할 유동차원을 보여주는 반면에 26개(6.5%)만이 Theis 이론에 맞는 2차원의 방사상 흐름을 보여주며, 38개(49.3%)는 2.1차원에서 2.9차원에 속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균열암반 대수층에서 지하수 유동은 대부분 분할차원의 유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Hydrogeology and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of a Mountainous Area in Kangwon Province (강원도 흥호리 지역 암반대수층의 수리지질 및 지하수 오염취약성 예비조사)

  • 이진용;이강근;정형재;배광옥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0 no.1
    • /
    • pp.27-38
    • /
    • 2000
  • We hydrogeologically studied a mountainous area and its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Groundwater flow and recharge occur mainly through a network of fractures in this areaTransmissivity and storativity obtained from slug, slug interference, and pumping tests range from 3.2$\times$10$^{-3}$ to 2.0$\times$10$^{-2}$$m^2$/min and 1.3$\times$10$^{-7}$ to 9.15$\times$10$^{-4}$, respectively. The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bylivestock activities in the upgradient. The groundwater in the downgradient residential area wasthreatened by the upgradient livestock activities.

  • PDF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llaborative Geoscientific Study in Pocheon Area for Groundwater Survey, Part III : Resistivity Technology (포천지역 지하수기초조사 산학연 공동탐사 사례연구(III): 전기탐사기술)

  • You, Young-June;Kim, Jong-Nam;Yoo, In-Kol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29-136
    • /
    • 2005
  • The groundwater survey was carried out by electrical resistivity and resistivity tomography using several kinds of electrode array to delineate the depth of the saturated zone and basement complex, the aquifer system of fractured rock, and the 2-D resistivity structure was obtained by inversion technique. And the hole-to-surface and crosshole tomography were applied for two boreholes and the inverted resistivity tomogram are obtained. The comparison of those data with core logging data was performed and those results were relatively well correlated. And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configuration of basement and the fracture zone and the aquifer system from the 2-D resistivity structure and resistivity tom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