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로터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rcular Hub 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ircular Hub타입 해상용 풍력발전기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Byeongseong;Kim, Namhun;Oh, Jinseok;Kim, Dong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3.2-183.2
    • /
    • 2010
  • 본 개발에서의 해상용 풍력발전기는 크게 허브와 블레이드를 합한 상부 구조물, 전기 발전기와 연결 조인트의 중간구조물, 각종 제어 장치가 들어있는 제어박스로 나누어진다. 상부 구조물은 Circular Hub 타입의 Darrieus 형상으로 양력(lift)을 이용한 회전력이 발생하며, Circular Hub 타입은 기존의 허브와 블레이드를 연결하여주는 암(arm)에 의해 유발되는 항력토크를 최소화 하기 위한 신개념 형상설계가 이루어 졌으며, 저속에서 우수한 회전특성을 가진다. 이는 바람을 받아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 하는 역할을 하며, 풍력발전기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간구조물의 전기발전기는, 상부에서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전환된 전기적 에너지는 하부의 제어박스를 거쳐서 해상용 부이(buoy)의 하단에 위치한 베터리 뱅크로 전달, 저장되어 부이에서 쓰이는 전력을 충당하게 된다. 한편 본 개발은 풍력발전기의 공력하중 해석과 로터블레이드의 설계, 풍력발전기의 구조, 진동해석, MPPT 제어컨트롤러와 Breaking controller, 풍동 및 차량시험을 통한 성능평가 및 분석 등의 순으로 개발을 수행하였다.

  • PDF

Groundwater Intake System Using Wind Energy in Jeju Island (제주지역의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

  • Kim, Seong-Beom;Go, Jin-Seok;Yeo, Un-Gi;Lee, Seung-Yun;Ji,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85-1889
    • /
    • 2006
  • 제주지역은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요충지로서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사면은 $3{\sim}5^{\circ}$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연평균 강우량은 1,975mm로서 국내 최다우 지역이나 제주도의 지질 특성상 도내 대부분의 지역이 투수성이 높은 다공질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지표수의 발달이 미약한 반면 지하수가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으며 기저지하수, 준 기저지하수, 상위지하수, 기반암지하수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교토의정서 비준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이 불가피함에 따라 대체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한 풍력발전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제주 행원풍력발전단지에 설치된 총 15기 발전장치의 현실성과 경제성 입증을 통해 제주지역의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 고산, 서귀포, 성산포지역에 대한 제주지방기상청 연평균 풍속자료$(2004{\sim}2005)$를 통하여 대상지역내 적용 가능한 로터(Roter), 나셀(Nacelle), 타워(Tower), 발전기를 포함한 발전장치를 선정하였으며, 공기역학적(Aerodynamic)특성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풍력에너지를 지하수 취수시스템으로 적용하기까지의 전력공급절차를 도출하였다. 또한 생산되어진 풍력에너지 용량에 적용 가능한 수중.육상모터펌프를 산정하여 '제주도 지하수개발.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2004)'에서 제시한 구조도를 바탕으로 대상지역내 지하수위를 고려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도시하였다. 제주도는 지형 및 지질적인 특성상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특수한 지역이므로 2002년말 통계를 살펴보면 생활용, 공업용, 농업용으로 각각 57만$m^2$, 11만$m^2$, 56만$m^2$를 포함한 1일 최대 124만$m^2$의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도입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이용 효과와 세계인이 공감하는 청정한 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of Protumor Effects of Leucine-Rich Repeat Kinase 2 with Interleukin-10 Expression in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폐 편평세포암종 내 Leucine-Rich Repeat Kinase 2 암촉진 효과와 Interleukin-10 발현과의 연관성)

  • Sung Won LEE;Sangwook PAR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5 no.2
    • /
    • pp.105-112
    • /
    • 2023
  • Leucine-rich repeat kinase 2 (LRRK2) is known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Parkinson's disease. LRRK2 is predominantly expressed in the lung as well as the brain.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LRRK2 expression correlates with the pathogenesis of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LUSC). This study analyze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LRRK2 in LUSC using the Kaplan-Meier plotter tool. High expression of LRRK2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bad prognosis in patients with LUSC. Patients with high LRRK2 expression, tumor mutational burden, high neoantigen load, and even gender correlation reportedly have the worse survival rates. In the gene expression profiling interactive analysis (GEPIA) database, the severity of pathogenesis in LUSC with high LRRK2 expression positively corresponds to a high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but not inflammatory cytokines. Similarly, the increased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0-related genes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linked in LRRK2-high LUSC patients having a poor prognosis. Moreover, the tumor immune estimation resource (TIMER) database suggests that macrophages are one of the cellular sources of IL10 in LRRK2-high LUSC patients. Coll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stulated LRRK2-IL10 axis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and prognostic biomarker for LU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