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코올류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7초

단호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Based Wine, Makgeolli Added with Sweet Pumpkin)

  • 김지윤;송민규;전은비;박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1-27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능과 관능적 특성이 강화된 막걸리 제조를 위해 통단호박을 직접 찐 후 비율별로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단호박 막걸리 제조를 위해 단호박을 쌀 중량의 5%, 10%, 20% 및 30%를 첨가하였으며 발효 및 담금 후 9일간 단호박 막걸리의 이화학적(pH, 총산 및 알코올), 미생물학적(유산균 및 효모수)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pH의 경우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 및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점차 낮아졌으며 9일차에는 단호박 무첨가군인 대조군(3.27)에 비해 단호박 첨가군(3.28-3.52)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산도는 1일차(0.09-0.55) 및 3일차(0.81-0.86)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서서히 증가하여 9일차에는 단호박 첨가군에서 1.16-1.32의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9일차에 대조군 0%가 4.59로 가장 낮았고 단호박 5-30% 첨가군에서 5.20-5.77%로 단호박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유산균수 측정의 경우 발효초반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5일차부터 다소 감소하거나 유사하여 9일차에는 단호박 첨가 0-30% 첨가군에서 7.95-8.0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효모수의 경우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와 감소를 다소 반복하였으며 9일차에는 7.68-7.99 log CFU/g으로 측정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단호박 30% 첨가군에서 85.96 및 78.97%로 각각 측정되어 단호박 무첨가군의 DPPH (48.29%) 및 ABTS (62.12%) 결과와 비교 시 높은 항산화 활성도를 보였다. 따라서 추후 단호박 첨가에 따른 각종 비타민류, 무기질 및 β-carotene 등의 영양·기능성 성분의 분석과 더불어 소비자의 관능평가 등을 통해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단호박 막걸리의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개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기호식품 중 당류 및 당알코올류 함량분석 (A Study on Contents of Sugars and Sugar Alcohol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 금진영;홍미선;장미라;최부철;이경아;김일영;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1-247
    • /
    • 2014
  • In this study, HPLC-RI was used to determine sugars and sugar alcohols contents in 102 different kinds of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The average amount of sugars per 100 g of candies was 70.25 g, of processed cocoa products was 65.34 g, of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was 47.53 g, of breads was 25.66 g, of cookies was 22.28 g, of ices was 12.47 g, of snacks was 9.74 g. Processed cocoa product items had relatively higher sucrose contents (56.80 g/100 g) than any other items. The average amount of sucrose per 100 g of candies was 44.20 g, of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was 32.89 g, of breads was 23.11 g. When the contents of sugar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per on serving size were compared to WHO guidelines, the percentages were 5.84~28.52 about recommended daily intake of total sugar of 50 g. The result for the analysis of confectioneries showed that 13 samples of 102 were detected and the sugar alcohols content of samples investigated varied between 0.01~15.06%.

Methanol, Ethanol, 2-Propanol 그리고 1-Butanol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101.3 kPa에서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Methanol, Ethanol, 2-Propanol and 1-Butanol at 101.3 kPa)

  • 오인석;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6
    • /
    • 2015
  • 인화점은 화재 및 액체의 폭발 위험의 가능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이고, 산업공정에서 안정성 평가시 중요한 연소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류 위험물 중 알코올계 혼합물인 {methanol + 1-butanol}, {ethanol + 1-butanol} 그리고 {2-propanol + 1-butanol} 이성분계 101.3 kPa에서 최소인화점을 SETA closed cup flash point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에 대하여 Wilson, NRTL 및 UNIQUA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 예측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모든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고 편차가 1.14 K 이내의 결과를 보였다.

분말청국장에서 알코올로 추출한 물질의 항상화능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 Powder)

  • 이재중;조창훈;김지연;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7-181
    • /
    • 2001
  • Bacillus licheniformis Bl을 이용하여 청국장발효를 거쳐 보존성이 높은 분말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분말청국장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중에서도 항산화물질의 존재여부와 그 효괴를 결정하였다. 분말청국장을 증류수로 추출하여, Sephadex G-75 Bel filtration chromatography 작업을 수행한 후, 390 nm에서 광범위한 분자량의 갈변물질을 검출 할 수 있었다.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하여 갈변물질의 항산화도를 결정하였다. 분자량이 큰 갈변물질의 항산화도는 매우 약하였으나, 분자량이 작은 갈변물질에서는 10-20%의 항산화능이 결정되었다. 체내에서는 분자량이 작은 갈변물질의 흡수가 더 유리할 수 있다. 분말청국장의 항산화물질 추출에 ethanol을 이용했을때는 60.1%, methanol을 이용했을 때는 58.97%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주어, 증류수로 추출했을 때에 비해 휠씬 효 율적이었다. 또한 분말컹국장을 ethanol 5%이상 되게끔 녹였을 때 항산화도가 가장 컸다. 본 분말청국장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은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는 데, 앞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식용류, 주류에 첨가하는 천연 항산화물질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알코올 발효전 포도 전처리 효과 (Effect on Wine Quality of Pre-treatment of Grapes prior to Alcohol Fermentation)

  • 장은하;정석태;노정호;윤해근;박교선;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24-83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방법(열처리, CM처리)이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총산에 있어서 CM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나 열처리구에 비해 포도주의 총산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총안토시아닌과 탄닌 함량에 있어서, 열처리한 후 발효시킨 포도주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인반면 CM처리의 경우는 대조구나 열처리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적색도는 안토시아닌이나 탄닌이 높은 열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는바, 폴리페놀류 함량이 와인의 적색도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 방법이 포도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전처리 기술은 원료 포도의 단점을 극복하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증류식 소주 증류중 유기산에 의한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 류이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5-299
    • /
    • 2002
  • 증류주에서 중요한 향미 물질인 에스테르 생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효완료 술덧에 알코올과 함께 존재하는 초산, 젖산, 구연산 같은 유기산의 종류별, pH별, 증규 온도별로 에스테르 생성 과정을 실험하였다. 유기산의 종류별 실험에서 생성 에스테르량은 ethyl acetate가 기주에 비해 최고 2.890%, ethyl lactate가 최고 6,410% 린 iso-amyl acetate가 최고 5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차시 pH는 중요한 요인이며,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ace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2,804% 증가하였고. 젖산 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lac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1,09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온도는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가압(약 1.9 기압) 증류액은 상압(1기압) 증류액보다 ethyl acetate 생성은 18% 증가하였고, iso-amyi acetate 생성은 24% 감소하였고, 젖산첨가 데스테르화 가압 증류액은 상압 증류액보다 ethyl-lactate 생성이 33%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시간은 pH 3.0에서는 ethyl acetate 생성은 반응시간 240분으로 충분하고, ethyl lactate 생성은 30된 이상 긴 반응 시간이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증류주 제조에 있어서 2차 증류시 1차 증류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증류하면 에스테르량이 증가한 2차 증류액을 얻을 수 있었다.

세척제에 의한 상아류 유물의 안정성 평가 연구 (Stability Assessment of Ivory Materials by Cleaning Agents)

  • 강대일;이병주;이희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상아 시편에 습식 세척과 약산을 통한 색상 회복 처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상아 시편은 블랙라이트와 능형무늬 분석을 통해 진위여부를 확인하였다. 습식 세척제로는 상아 및 골각류 유물 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증류수, 에틸알코올, 아세톤으로 처리하였으며, 세척 결과 표면관찰, 중량 측정, 색도 측정에서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약산을 통한 색상 회복 실험에서는 UV-A, UV-B, UV-C 세 가지 파장 하에서 1주일간 인공 열화 시킨 시편을 대상으로 약산 용액인 2%와 5%로 희석된 아세트산 용액과 레몬즙을 이용해서 처리하였다. 처리 결과, 모든 시편에서 표면에 균열과 공극이 관찰되었으며, 레몬즙을 사용한 경우 시편의 색이 붉게 변색되어 유물에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마찌니 조반니 파올로 더블베이스의 마감층 재현연구 (A Reproduction Study on Finishing Layer of Double Bass, Maggini Giovanni Paolo)

  • 이채훈;류승환;정용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93-106
    • /
    • 2018
  • 국내 악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악기는 목재, 석재, 금속, 가죽, 흙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유기재료로 제작된 악기는 시간 경과에 따라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악기를 보존·복원하는 경우, 소리를 내는 악기라는 특성상 악기재료의 연구뿐만 아니라 제작자의 의도와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17세기에 제작된 더블베이스를 대상으로 마감층을 연구하였다. 마감층은 표면관찰과 FT-IR, SEM-EDS를 이용한 정성분석을 실시하였고 바탕재인 목재 수종분석을 통해 제작자가 사용한 재료와 제작기법을 확인하였다. 목재 수종은 단풍나무류로 식별되었고 수지의 일종인 곰마라카(Gommalacca)를 주 용매인 알코올로 혼합하여 마감처리를 진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마찌니 조반니 파올로(Maggini Giovanni Paolo) 더블베이스 마감층 제작방법을 재현하여 바이올린을 제작하였다.

침전법에 의한 폴리비닐부티랄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of Poly(vinyl butyral) by Precipitation Method and Its Characterization)

  • 서광원;김덕준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168-173
    • /
    • 2002
  • 폴리비닐알코올(PVA)을 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부티랄(PVB)을 합성하였다. PVB는 물을 용매로 침전법에 의하여 입자형태로 제조되었으며 생성된 PVB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측정하였다. 제조된 PVB입자는 100~700 $\mu\textrm{m}$의 입도분포내에서 약 380$\mu\textrm{m}$의 평균입자크기를 나타내었다. PVB의 화학구조는 FT/IR과 NMR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정분석 결과 아세탈화정도는 약 77%로 나타났다. DSC 분석결과 PVA가 PVB로 아세탈화됨에 따라 PVA의 결정성이 사라졌으며, 유리전이온도가 $70^{\circ}C$근처에서 나타났다. TGA 분석결과 제조된 PVB는 반응물인 PVA에 비해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300^{\circ}C$까지 열분해를 보이지 않았다. 용해도 분석결과 PVB는 PVA와는 달리 알콜류에는 용해되었으나 물에는 용해되지 않았다.

Opuntia ficus-indica 다당 A-1의 특성 및 알코올유도 간 산화스트레스의 보호 효과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and it's protection effect on alcoholic induced hepatic oxidative stress)

  • 류일환;권지웅;이어진;윤용갑;권태오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74
    • /
    • 2009
  • Reactive oxygen species(ROS) can induce hepatotoxicity and trigger apoptosis in the liv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lfated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against alcoholic oxidative stress in human liver Hep G2 cell. An antioxidant substance A-1 obtained from the enzymatic extract of Opuntia ficus-indica fruit was purifi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and sephadex G-100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urification yield and molecular weight were 14.3% and 1.8 KDa, respectively. The A-1 predominately contained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also sulfate group. The structure of A-1 was investigated by periodate oxidation, FT-IR spectroscopy, $^1H$-NMR spectroscopy. The A-1 mainly composed of alternating unit of ${\rightarrow}4$)-$\alpha$-L- Rapp-2-$SO_3^-$-$\alpha$-L-Galp-($1{\rightarrow}$ and branched linkage of $\beta$-D-Arbp- ($5{\rightarrow}$.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SOD, CAT activity and GSH assay,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Nrf2 protein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The viable cell count analyzed by autofluorescenc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thanol(1 M) were dramatically reduced by A-1 treatment. A-1 also prevented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t also increased expression Nrf2 protein level. We concluded that sulfated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effectively protect Hep G2 liver cell from alcoholic oxidative stress.

  • PDF